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재생가능에너지법 입법과정의 주요쟁점과 이해당사자 입장분석 : Analysis of the Legislative Process in China: Renewable Energy Law Key Issues and Stakeholders Opin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향란

Advisor
윤순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재생가능에너지에너지재생가능에너지법입법중국이해당사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3. 2. 윤순진.
Abstract
2006년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시행에 힘입어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 이용규모는 끊임없이 증가되었고 재생가능에너지가 에너지소비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중국을 대상으로 중국에서 그러한 재생가능에너지 기술의 개발과 확대에 「재생가능에너지법」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제정과 개정 과정에서 어떤 쟁점들이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재생가능에너지의 보급 확대는 경제발전과 에너지 안전 및 환경발전 등 다양한 이유로 추진된다. 중국은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입법목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의 개발이용 촉진, 에너지공급 증가, 에너지구조 개선, 에너지안전 보장, 환경보호, 경제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금 단계에서 환경보호, 에너지확보 및 사회적형평성이 모두 경제발전이라는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 기능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재생가능에너지법」이라는 특정된 분야를 통해 중국의 법 발전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를 보여주었다. 2005년의 법 제정으로부터 시작하여 2009년의 법 개정 및 현재의 법 개정 논의를 통해 중국의 법제정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중국 「재생가능에너지법」의 해석과 문제 분석에만 치중한 것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제정과 개정과정에 있었던 논의내용들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무엇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들이 존재하게 되었고 아직 해결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 연구하였다. 오직 이유를 파악해야만 그 해결방안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유의 파악에만 그치지 않고 현존하는 문제점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극복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그 해결책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와 그 부문, 지방정부와 그 부문, 전력회사, 발전회사, 연구기관, 사회대중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법」 제정에 어떠한 형태로 관여하고 그 의견을 제출하며 실제로 입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체는 누구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에너지국, 국가전력감독관리위원회 등 다양한 중국의 정부부문이 재생가능에너지산업에 대한 관리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해 어떤 형태로 입법에 개입하였으며 그 반영상태를 통해 과연 어느 정부부문의 영향력이 가정 큰지에 대해서도 실태를 살펴보았다. 정부부문을 제외하고도 서로 다른 재생가능에너지원과 발전상태를 가지고 있는 지역들이 어떤 의견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기업체와 사회대중을 포함하여 비 정부부문이 입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미국과 EU 등 국가가 중국의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산업 등 재생가능에너지산업에 대해 보조금과 덤핑이 존재한다는 이유를 들어 조사를 개시하여 일부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 입각하여 중국정부의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국제무역규범과의 양립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향후 중국정부가 이들 산업에 대해 정책조치를 수정해야 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분석하였다. EU의 항공산업에 대한 탄소세의 국경조정 도입 및 미국의 유사조치 도입논의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중국을 상대로 취했을 경우 발생 가능한 분쟁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국제무역규범에 기초하여 이들 국가가 중국에 대해 상술한 조치를 취할 경우, 합법적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렸다.
이 연구는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 법제는 많은 발전을 가져왔고 또한 이는 중국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을 이끌었으나 아직 많은 문제점이 존재함을 지적하였다. 이들 중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정부부문과 기업체)의 이익충돌로 인해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적용범위, 주도역할을 하는 정부부문과 기타 정부부문의 관계 확정, 전력회사와 발전회사의 이익조정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특히 현재의 FIT제도가 문제에 봉착한 시점에서 RPS제도로 과도를 할 것인지 아니면 양자를 결부시켜 사용할 것인지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이 연구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한국 등 선진국들이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을 입안하면서 경험하였던 FIT제도와 RPS제도의 선택과 실제 효과, 재생가능에너지 주관부문과 기타 부문의 관계 확정, 「재생가능에너지법」의 적용범위, 전력회사와 발전회사의 이익조정 등에 대해서도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Attributable to Renewable Energy Law enacted in 2006, the use volume of renewable energy of China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the energy out of total energy consumption has gradually expanded. This study is about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Law on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of China which has been the standout in the global renewable energy area and survey and analyze issues for discussion and stances of interested parties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and revision of Renewable Energy Law.
The penetration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has been pursued with various reasons such as economic development, energy safety and green development. China has proposed the legislation objectives of Renewable Energy Law such as development and use facilitation of renewable energy, expansion of energy provision, improvement of energy structure, securement of energy safet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In reality, however, environmental protection, energy securing and social equity have been used as tools for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stage.
This study illustrates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area of Renewable Energy Law on legislative development of China. The legislation process of China has been analyzed from the enactment in 2005 to the revision in 2009 and current discussion on legislative revision. This study has taken research methods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researches. Unlike conventional studies which focused only on interpretation and issue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Law, this study has analyzed discussions in detail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and amendment of Renewable Energy Law. Through such analysis, in-depth study and analysis are ensured on the backgrounds of these issues and difficulties to solve them. The solutions can be provided correctly only when the causes are assessed.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to propose solutions after contemplation on how to overcome the existing problems rather than being complacent to case assessment.
In addition, engagement and opinion submission of various interested partie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and its relevant department, local governments and their relevant areas, electronic companies, power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ublic in legislation of Renewable Energy Law of China and important players in enactment process in reality are addressed. This study also assesses the engagement of National Development Reform Committee, National Energy Department, National Power Supervision and Management Committee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in the enactment process to take a leading role in management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and it is assessed which government authorities have strong power in this regard through the reflection status. Excluding government areas, opinion differences among regions with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development status
and engagement of non-government parties including enterprises and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of enactment are assessed.
Based on the reality where the U.S. and EU have imposed partial regulations by initiating inspections on the reasons of dumping and financial assistance to the renewable energy industries such as wind generation facilities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e comparability between renewable energy industry support policies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trade regulations is analyzed. Regarding national boundary adjustment of carbon taxes on the aerospace industry of the EU and discussions of the U.S. for introduction of similar measure, this research assesses potential disputes which be arisen when the measures are effective against China. One step further, this study also makes a decision whether it is legitimate to impose such measures stated above. This study point out that the legislation of renewable energy of China has brought about many developments and led the development of Chines renewal energy areas
but still have many problems. Among them, application scope of Renewable Energy Law, confi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circle playing a leading role and other government areas and profit adjustment of electronic and power companies caused by interest conflicts of various interested parties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should be solved in an urgent manner.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FIT regime gets into trouble, there is an issue whether it is suitable to transfer to RPS regime or use them after integration. This study also points out China should derive significance and accept it critically after making comparative analysis on selection and practical effects of FIT and RPS experienced by the advanced nations such as the U.S., Britain, Germany, Japan and Korea in the process of legisl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licies, relationship confirmation between leading department and other areas, application scope of Renewable Energy Law, profit adjustment between electronic and power companies.


◆ Key words : Renewable Energy Law, Renewable Energy, Energy, Legislative, China, Stakeholder
◆ Student Number : 2004-31262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49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