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요관리를 통한 한국 제조업부문 고효율기기 전력소비 감축잠재량 분석 - 전동기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순진-
dc.contributor.author한준-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1:46Z-
dc.date.available2017-07-14T05:31:46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3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910-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4. 2. 윤순진.-
dc.description.abstract급격한 전력수요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는 2011년 대규모 순환정전을 겪은 바 있고 2012년 말에는 전력 예비율이 3.8%까지 떨어지는 등 심각한 전력수급 불안정 상황에 있다. 이렇게 급증하는 전력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공급 관리(Supply-Side Management)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펴왔으나, 원자력과 화력은 물론이고 재생가능에너지에서의 대규모 공급방식은 심각한 환경피해를 야기하고 수급 측면에서도 심각한 한계를 드러냈다.
그러나 에너지 서비스(Energy Service) 관점에서 보면 에너지의 절대량 확보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에너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서비스가 중요하다. 에너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만 있다면 특정 에너지원을 고수할 필요도 없고, 에너지절대량을 확보해야 된다는 집착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래서 에너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 모색이 가능할 수 있고, 특히 에너지 이용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에너지 서비스는 공급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중요한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전력수요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50.2%(OECD 5위)이고, 이 중에서 42.9%를 차지하는 것이 전동기(electric motor)이다(2011년 기준). 이는 우리나라 전체 전력 수요의 21.7%에 해당하는 양으로서 전동기는 제조업에서 매우 중요한 대표적 에너지다소비 공통기술이다. 따라서 제조업부문에서의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우리나라 전력수요관리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전동기의 효율 향상을 위해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전동기에 대한 최저소비효율제도(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
-
dc.description.abstractMEPS)를 시행하고 있다. 최저소비효율제도란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기에 대해 정부차원에서 효율기준의 하한선을 정해놓고 생산자로 하여금 그 이상의 효율을 가진 제품만을 생산, 판매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전동기 최저소비효율기준은 EU 및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고효율 전동기 확산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업용 전기요금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낮고 화석연료보다 싼 요금의 역전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서 에너지 수요가 전기로 계속 집중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이나 EU가 최저소비효율제도를 거의 모든 전동기에 대해 적용하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삼상유도 전동기 200kW 이하에만 적용하고 있어서 대용량 전동기에 대한 효율 개선은 담보하기 어렵다. 게다가 필요 이상으로 큰 용량의 전동기를 선택하는 관행(oversizing)으로 인해 전동기 부하율이 낮아져 전동기 효율도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전동기 속도 조절을 통해 전력 소비를 줄이는 인버터도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설치율이 낮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 전력수요는 추가적인 감축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를 대상으로 상향식 최적화 에너지시스템 모형인 MESSAGE 모형을 이용하여 최저소비효율제도 시행 이외에 추가적인 감축방안을 도입할 때의 전력 감축잠재량과 경제성을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감축방안으로는 OECD 수준으로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과 대용량 전동기에 대한 최저소비효율제 확대, 전동기 부하율 개선, 인버터 설치를 고려하였으며, 전기요금 인상의 경우 세 가지 수준의 가격탄력성을 적용하여 수요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비교 차원에서 해외의 최적가용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
-
dc.description.abstractBAT) 도입에 대해서도 감축잠재량과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력수요 감축잠재량은 단일방안으로는 전기요금 인상이 가장 효과가 커서 2030년까지 BAU 대비 7.5% 전력을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왔고, 모든 감축수단을 다 적용했을 경우 2030년까지 BAU 대비 9.8%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전력 가격탄력성 -0.460 적용). 한편, 200kW 이상 전동기에 대한 최저소비효율제도 확대는 절감 효과가 매우 작았다. 단위절감비용의 경우, 전동기 부하율 개선은 -108.7원/kWh로 가장 편익이 크게 나왔고, 전기요금 인상도 -83.7~-88.3원/kWh 수준으로 편익이 크게 나왔다. 비용이 (-)으로 나온 것은 전동기에서 전기 비용이 전체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전력 절감이 바로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200kW 이상 전동기에 대한 최저소비효율제도 확대는 32.7원/kWh로 가장 비싼 대안으로 나왔는데, 그래도 이는 산업용 전기요금 전망치보다는 작으므로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다.
이를 통해 얻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은 다른 어떤 대안보다 전력 감축잠재량이 크고 그에 따른 전력비용 절감도 크기 때문에 전력 수요관리를 위해서는 전기요금 인상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둘째, 전동기의 전력 수요관리는 시행으로 인한 편익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동기의 최저소비효율제도는 전동기 효율 향상을 통해 상당한 전력 수요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지속적으로 시행해 갈 필요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4
3. 연구 흐름도 6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8
1. 에너지 서비스와 효율 8
2. 전동기 효율 향상을 통한 전력 감축잠재량 11
1) 수요관리의 중요성과 잠재량 11
2) 전동기 전력 감축 잠재량 연구 13
3. 전력 수요 추정 및 가격탄력성 17
1) 구조 모형 접근 17
2) 비구조 모형 접근 20

III. 제조업 전동기 전력수요와 전동기 효율향상 정책 29
1. 제조업 부문의 전동기 전력 수요 29
1) 제조업 부문의 전력 수요 29
2) 제조업에서의 전동기 전력 수요 34
3) 제조업 업종별 전동기 전력사용량 변화 요인 39
2. 전동기 최저소비효율제도 44
1) 해외의 전동기 최저소비효율제도 44
2) 우리나라의 전동기 최저소비효율제도 51
3) 국내 전동기 관련 실태 조사와 자료구축 현황 57
3. 전동기의 부하율과 인버터 59
1) 전동기의 부하율 59
2) 인버터 62
4. 산업부문 전기 요금 66

IV. MESSAGE 모형과 입력자료 71
1. MESSAGE 모형 71
1) 개요 71
2) 분석원리 73
2. 주요 전제 및 입력자료 77
3) 전동기 동력서비스 수요 추정 80
4) 최적가용기술 및 고효율 전동기 특성자료 89
5) 전동기 과거 보급용량 추정 94
6) 부하율 적용 95
7) 인버터의 특성 자료 96
3. Scenarios 98

V. 분석 결과 101
1. MESSAGE 모형 분석 결과 101
1) 시나리오별 전력소비량 전망 101
2) 시나리오별 전동기 평균 효율 108
3) 시나리오별 전력소비 감축량 및 비용 111
2. 신기술 전동기의 초기투자비 회수 기간 분석 120

VI. 결론 122
1. 요약 및 결론 122
2. 연구의 의의와 정책적 함의 124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개선방향 126

참고문헌 127

부록 140





표 차례


우리나라 산업 및 제조업 부문 전력 수요의 가격 탄력성 연구 25
주요 55개국의 부문별 전동기 전력수요량 35
전기 소비에서 업종별 연도별 전동기 비중 39
미국 최저소비효율제도에서의 전동기 유형․용량별 효율 기준 46
EPAct 전동기의 전부하 효율기준 (NEMA MG-1 Table 12-11) 47
NEMA Premium(60Hz) 전동기의 전부하 효율 기준 48
EU의 전동기 최저소비효율 기준 도입시기와 대상 및 기준 49
EU의 전동기 명목 효율 기준(50Hz) 50
우리나라 삼상유도 전동기의 최저소비효율기준 적용시기 52
우리나라 삼상유도 전동기의 최저소비효율기준 53
우리나라 삼상유도 전동기의 프리미엄 효율기준 55
미국과 EU의 200kW 이상 전동기에 대한 최저소비효율기준 57
국내 전동기 관련 실태조사의 조사항목 58
전동기 크기 선택 시 고려하는 기준에 대한 응답 결과 61
인버터의 효율 개선 효과 63
국내 고효율 인버터 지원금 65
MESSAGE 분석 공식 74
MESSAGE 모형에서의 균등화 비용 공식 75
GDP 성장률 전망치(KDI) 85
제조업 업종별 경상부가가치 비중 전망 85
제조업 업종별 전동기 전력소비 비중 86
삼상유도 전동기의 고효율 기술 특성자료 93
부하율에 따른 효율 저하율 (부하율 75% 기준) 96
인버터의 효율개선 효과 및 수명, 비용 97
시나리오 구분 100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의 2010-2030년 누적 전력사용량과 누적비용 113
시나리오별 BAU 대비 전력사용량․비용 증감 및 단위절감비용 115
고효율 전동기의 초기구입비용 증가분 회수기간 121
우리나라 IE2 전동기의 평균 효율 141
우리나라 IE3 전동기의 평균 효율 142
우리나라 IE2 전동기의 평균 비용 143
우리나라 IE3 전동기의 평균 비용 144


그림 차례


연구 흐름도 7
OECD 국가 전력소비에서 산업 비중 (2010년 기준) 30
OECD 국가 산업부문 전력소비 증가율 (1973-2010년) 31
우리나라 연도별 업종별 전기소비량 32
제조업 설비용 에너지원 비중 및 사용량 추이 33
우리나라 부문별 주요 전력량 37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 전력 사용량 분해분석 결과 (1992~2010년) 41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 전력 사용량 분해분석 결과 (1992~2001년) 42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 전력 사용량 분해분석 결과 (2001~2010년) 43
효율등급별 전동기 용량에 따른 효율 곡선 45
한국, 미국, EU의 용량별 최저소비효율제 기준 56
전동기 부하율과 효율과의 관계 59
전동기 용량별 부하율과 효율과의 관계 60
우리나라 고효율 인버터 지원금 추이와 절감전력량 추이 64
OECD 국가 명목 산업용 전기요금 (2009년 기준, 구매력지수 미고려) 67
OECD 국가 명목 산업용 전기요금 (2009년 기준, 구매력지수 고려) 67
주요국의 산업용 경유․천연가스 요금 대비 산업용 전기 요금의 비율 68
우리나라 용도별 전기요금의 실질요금 변화 추이 70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의 명목․실질 산업용 전력요금 전망 78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시나리오 80
전동기 동력서비스 추정 단계 81
우리나라 산업/제조업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치 83
제조업부문 전력수요 전망 84
제조업 전동기 동력서비스 수요 전망 87
IMSSA 캡쳐 화면 1 91
IMSSA 캡쳐 화면 2 92
우리나라 제조업 전동기 연도별 보급용량 추정치 (1995-2010) 95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전력 가격탄력성 0.66 적용) 102
M계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3
B계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3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전력 가격탄력성 0.460 적용) 104
M계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5
B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5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전력 가격탄력성 0.045 적용) 106
M계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7
B계열 시나리오의 제조업 전동기 전력사용량 전망 107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평균 효율 전망 109
M계열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평균 효율 110
B계열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평균 효율 110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2010-2030년 누적 전력사용량 및 누적비용 114
BAU 대비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전력감축량 118
BAU 대비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비용증가분 119
BAU 대비 시나리오별 제조업 전동기 단위절감비용 11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67115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에너지 서비스-
dc.subject전동기-
dc.subject수요관리-
dc.subjectMESSAGE 모형-
dc.subject효율-
dc.subject최저소비효율제도-
dc.subject산업용 전기요금-
dc.subject인버터-
dc.subject부하율-
dc.subjectBAT-
dc.subject.ddc711-
dc.title수요관리를 통한 한국 제조업부문 고효율기기 전력소비 감축잠재량 분석 - 전동기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oon Ha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viii, 148-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