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거지역 색채경관의 자율적 구성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Coordination and Aesthetic Values of Colors in Residential Townscap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막중-
dc.contributor.author정재훈-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4:10Z-
dc.date.available2017-07-14T05:34:10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163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947-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계획학과, 2017. 2. 최막중.-
dc.description.abstract경관에서 색채를 개인의 자율적 선택이 만들어낸 결과물로 이해하고 색채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자연발생적인 도시경관의 구성원리는 지금껏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따라서 이해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색채의 결정은 지역성, 개별 물리조건, 인접한 주변과의 관계 등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 중 색채구성 및 조형적 질서를 만드는 주요 인자가 주변색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상호관계성을 중심으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색채관계분석은 조사된 색채자료를 색상관계, 한 쌍씩의 배색관계, 구성적 조화관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구성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관계성이 만들어지는 요인과 구성원리를 밝혀 자율적 색채경관에 내재된 질서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이후 통계적 해석을 통해 자율적 질서는 색채선택에서 상호 조화하려는, 또는 보완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물임을 검증하였다.
다음 단계로 자율적으로 구성된 색채경관이 어떤 조형가치를 가지는가를 고전적인 색채조화이론에 비추어 분석하고, 이것이 유의한 결과인지 시민 설문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설문은 조화이론에서 조화롭게 평가하는 색채구성을 실제로 조화롭다고 느끼는가와 자율적으로 구성된 경관과 계획경관을 비교하였을 때 어떤 심상의 차이를 가지는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적으로 구성된 색채경관에서 발견된 심미적, 기능적 가치와 경관계획에서 추구하는 가치 및 지속가능성을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대상 및 구성 3

제 2 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5
제 1 절 분석의 근거이론 5
1. 경관연구 관련 이론 6
2. 색채조화이론 8
3. 지각 및 인지이론 14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19
1. 경관계획 관련 연구 19
2. 환경결정의 자율성 관련 연구 25
3. 색채경관의 지각 및 인지 관련 연구 28
제 3 절 경관색채계획제도 고찰 30
1. 경관색채계획의 전개과정 30
2. 경관색채 관련법률 및 관리체계 32

제 3 장 분석의 틀 35
제 1 절 대상지 선정 35
1. 분석대상지 35
2. 비교분석 대상지 40
제 2 절 조사 및 분석방법 42
1. 분석체계 42
2. 색채조사 및 색채추출 44
제 3 절 분석기준 47
1. 색상관계 분석기준 47
2. 오스트발트 색채조화기준 50
3. 문-스펜서 미도 계산식 53

제 4 장 자율적 색채경관의 구성특성 60
제 1 절 색채정보 기초통계 60
1. 조사지역 표본추출 60
2. 색상·명도·채도의 구성 및 분포 61
제 2 절 주택규모와의 상관관계 64
1. 색상과 주택규모의 상관관계 64
2. 명도·채도와 주택규모·지가의 상관관계 65
3. 조사표본 색채면적의 해석 66
제 3 절 색상구성의 패턴분석 68
1. 색상관계 통계 및 분석 68
2. 색상흐름 분석 및 패턴정의 72
제 4 절 소 결 76

제 5 장 자율적 색채경관의 조형성 78
제 1 절 조형성 분석 78
1. 오스트발트 색채조화도 분석 78
2. 문-스펜서 미도평가 80
3. 오스트발트와 문-스펜서 색채조화의 상관성 83
제 2 절 주민설문평가 86
1. 주민설문조사1 - 어의차척도 이미지 평가 86
2. 주민설문조사2 - 색채구성에 대한 선호도 87
3. 주민설문조사3 –색채블록별 조화도 89
제 3 절 색채계획이후 자율적 변경 92
1. 경관색채계획의 조형성 92
2. 주민의 색채변경과 조형성의 변화 95
제 4 절 소 결 100
제 6 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8
부 록 112
Abstract 11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58994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색채경관-
dc.subject자율성-
dc.subject구성원리-
dc.subject조화-
dc.subject질서-
dc.subject.ddc711-
dc.title주거지역 색채경관의 자율적 구성특성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Coordination and Aesthetic Values of Colors in Residential Townscap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ung, Jae Hoon-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15-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