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연구 :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동만-
dc.contributor.author백주영-
dc.date.accessioned2017-07-14T05:37:04Z-
dc.date.available2017-07-14T05:37:04Z-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other00000006761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4980-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협동과정 조경학전공, 2015. 8. 안동만.-
dc.description.abstract자발적 환경협약이란 정부가 환경기준과 그와 관련한 통제와 규제수단을 통해 환경문제에 대응해 왔던 명령과 통제(Command and Control)에 기반을 둔 기존 방식으로부터 탈피하여 환경 규제 대상자들에게 프로그램 목적과 범위에서 정한 기준 내에서 자발적으로 환경목표와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결정하고 그 목표를 성취하도록 친환경적 행태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특히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Volunatry Sustainability Standard)은 Eco'나 Sustainability'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생태적인 면이나 지속가능성 분야를 다루고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여러 분야에서 이러한 지속가능성 표준 시스템에 따라 생산된 제품의 수요와 공급에 주목해 왔지만 최근 들어 Water and Sports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가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영국에 본부를 둔 Golf Environment Organization(GEO)는 골프장산업분야에 적합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인 GEO OnCourse 프로그램과 GEO Legacy 프로그램을 통해 GEO Certified®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환경영향평가와 같은 골프장 조성과 관리에 대한 환경규제와 함께 각 골프장의 자발적인 친환경적 노력을 장려하고 평가하여 시상하는 녹색경영골프장 선정 프로그램과 지속가능한 친환경골프장 인정계획을 발의하였으나 시행예고에 그친 상태다. 그러나 환경정책당국이 주도한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규제기관이라는 정체성이 훼손된다는 민간 환경단체 지적과 또 하나의 규제로 받아 들였던 골프산업 이해 당사자들 반대 때문에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친환경 골프장이라는 용어 사용과 환경정책당국이 주도한 녹색경영골프장 선정은 규제대상인 골프장들로 하여금 위장환경주의라 부르는 그린워싱 Greenwashing과 같은 다각적이며 애매한 친환경적 주장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규제위주 정책에 익숙한 한국의 골프장산업분야는 최소한의 법적 기준 준수에 익숙해 있으며 오염원인자인 이해당사자로서 자발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의식을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렇듯 골프장산업분야가 지역사회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자발적 참여를 하지 않고 있어 지역사회와 조화롭게 공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골프장 조성과 관리에 비지속가능한 개발이나 유지관리방식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도하고 비골퍼들의 골프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완화할 수 있는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하여 골프장산업분야가 자발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골프장산업분야 이해당사자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골프장 조성과 운영단계에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정책중의 하나인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최종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개념 및 골프장 관련 인증 지표 그리고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내용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 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지표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유사한 의미와 중복된 내용을 정리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에 따라 평가지표를 분류하고 각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계산하여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셋째, 기존 골프장 자발적 표준시스템으로 인증을 취득한 국내외 골프장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을 적용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골프장산업분야가 본 연구 결과물이 표준시스템을 도입하여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은 골프장 조성과 운영단계에 종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골프장 조성과 운영단계에 지속가능성을 자발적으로 추진하고 년차별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문헌 분석과 전문가 포럼을 통해 6개 평가부문, 15개 평가항목, 18개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6개 평가부문에는 생태환경 및 경관, 환경오염 방지, 수자원 관리, 에너지 관리, 재료 및 자원, 환경경영 및 지역사회 기여가 있으며 15개 평가항목에는 생태환경 및 경관부문에 생태적 가치, 수환경 보전 및 적정성,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대, 건강한 녹지가 있으며, 환경오염방지에 2개 평가항목, 수자원관리에 2개 평가항목, 에너지관리에 2개 평가항목, 재료 및 자원 3개 평가항목, 환경경영 및 지역사회 기여에 2개 평가항목이 있으며, 생태환경 및 경관분야에 7개 평가지표를 비롯하여 환경오염방지 등 분야 11개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셋째, 골프장 사전환경성 검토나 골프장환경규제관련 법규를 바탕으로 18개 지표에 대한 평가지침을 설정하였다. 또한 평가지표간 상대적 중요도를 AHP 분석결과 도출된 가중치에 따른 평가지표별 배점을 부여한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외 지속가능성 골프장 표준시스템으로 인증을 받은 2개 골프장에 본 표준시스템을 적용하고 검증하였다. 각 골프장 이해당사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기존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도입이 각 골프장 지속가능성 개선에 어느 정도 동기부여가 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GEO Oncourse 프로그램을 통해 최초 인증 취득후 3년 후 재인증을 받은 두 곳의 해외 골프장에 대한 재인증 전후 지속가능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은 첫째, 향후 500개 이상 골프장이 조성 및 운영될 예정인 상황에 환경정책당국은 각 골프장이 골프장 조성과 관리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보고서를 활용함으로써 각 골프장을 감독할 수 있으며 그동안 투입된 시간과 인력낭비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골프장산업분야는 골프장 조성과 관리에 본 표준시스템을 도입하여 환경규제기준 이상의 지속가능성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골프장 각 분야 지속가능성 증감요인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골프장의 경제적 생존력에 기여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국제적인 표준시스템인 ISEAL 연합 표준제정 코드시스템에 따라 제정된 GEO 표준시스템을 참조한 본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은 국제적 수준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본 표준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국제적인 지속가능성을 인정받는 수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Voluntary environmental agreements is environmental policy tools to encourage sustainable approach for polluters to decide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and environmental goals voluntarily within the standards set by the scheme. So they are totally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ast command and control approach based on environmental regulations. The use of eco or sustainability in the name differentiates voluntary sustaninability standards from other similar non-gonvernmental initiatives that are not focused on addressing sustainability concerns.
Many industry sectors have experienced with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and they have become important tools in demand and supply of some products. New voluntary standard systems have begun to emerge in water and sports sectors. Golf Environment Organization(GEO) is one of them which is dedicated to helping the industry come together around sustainability, building a reputation where golf equals sustainability. GEO provides three programs and also administers golfs sustainability assurance, GEO Certified® - the symbol of great golf environments worldwide, available for Club and Course Operations, for Developments, and for Renovations.
There is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gulation to control and command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addition, Korea environmental policy authorities implemented a green golf course award to encourage voluntary sustainable efforts of golf courses and announced a certifi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golf courses but both programs have been suspended. However, environmental groups pointed out that these two programs could violate the identity of environmental policy authorities and golf industry stakeholders opposed the regulation. Furthermore, the usage of environmental friendly term and the green golf course award could provide greenwashing. Korea Golf industries are familiar with the regulatory policy to comply with the minimum legal standards and did not recognize to pursue sustainability voluntarily as pollutant. As such the golf industry did not take part in voluntary basi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the community so it has not coexisted in harmony with local communities. Therefore, a voluntary suatainability standard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o induce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to be sustainable and to mitigate the negative view of the golf 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non-golfers. The golf industry can take advantage of this voluntary sustainability system enhance awareness of sustainabilty and apply it to pr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which can provide a platform for stakehold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and apply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sustainability initi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 present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r application in both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econd,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forums were executed to pursue sustainability to identify assessement items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the above studies, six assessment divisions, fifteen assessment items, and eighteen assessment indicators were finally selected. The six assessment divisions are: ecological environment and landscape, environmental pollution, water management, energy management, materials and resource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community contributions. The fifteen assessment items are: ecological valu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landscape, water resources conservati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sustainable planting, pollution prevention assessment on two items, two on water resourc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wo on energy management assessment items, three items on materials and resources, and two evaluation items on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mmunity contribution. There are seven indicators on ecological environment and landscape items and eleven assessment indicators on five items.
Third, guidelines for the 18 assessment indicators were set up based on Korea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prior environmental review lawsfor golf course.
Finally,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two golf courses certified by local and international standard golf sustainability syste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conclusion,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s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esented in this study can help achieve the following: First, in the future more than 500 golf courses environmental policy makers can supervise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save costs and time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report applied in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s systems
-
dc.description.abstractsecond, the golf course industry can be practic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s over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introducing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s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and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he economic viability of the golf course for identifying sustainability factors of each sector of golf course facilities-
dc.description.abstractthird, it can be recognized as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level when 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systems will be applied because the system was developed in this study referenced the GEO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standard system ISEAL Alliance Code standards for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s syst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범위 및 방법 6
가. 연구 범위 6
나. 연구 방법 7

Ⅱ.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1
1.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11
가.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개념 11
나.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유형 14
다.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진화 15
라.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구조 17
2. 골프장 지속가능성 개념 정립 20
3. 골프장 환경영향 및 지속가능성 평가 관련 연구 24
가. 골프장 환경영향 24
나. 골프장 지속가능성 평가 25
4. 국내외 골프장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28
가. 국내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28
나. 국외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29
다. 국내외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비교 및 제언 33

Ⅲ.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개발 38
1. 평가지표 방향설정 38
2. 평가지표 개발과정 39
3.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 시스템 구축 40
가. 평가지표 선정 40
나.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전문가 포럼 42
다. 평가지표 도출 42
4.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개발 43
가. 평가지표 가중치 43
나. 표준시스템 산정식 53
5.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평가지표별 지침 54
가. 생태환경 및 경관 54
나. 환경오염 방지 62
다. 수자원관리 65
라. 에너지 관리 67
마. 재료 및 자원 68
바. 환경경영 및 지역사회 기여 71
사.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효과 74

Ⅳ.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및 사례 검토 75
1.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및 사례 검토 골프장 개황 75
가.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및 사례 검토 골프장 선정 75
나.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및 사례 검토 골프장 현황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추진 현황 76
2.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적용 결과 83
가. 저류지 관리 83
나. 유해물질 관리 84
다. 수자원 관리 85
라. 에너지 관리 87
마. 재료 및 자원 89
바. 환경경영 및 지역사회 기여 93
사. 표준시스템 적용 결과 94
아. 심층 인터뷰 95
3.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사례 검토 100
가. St Andrews Links Trust 100
나.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105
4.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시행방안 107
가. 시행기관 107
나. 시행절차 108

Ⅴ. 결론 110
1.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의의 110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2

인용문헌 114
부록 123
부록 1. 1차 전문가 포럼 123
부록 2. 2차 전문가 포럼 127
부록 3. 3차 전문가 포럼 131
부록 4.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를 위한 설문지 137
부록 5. 심층 인터뷰 질문지 145
부록 6. 골프장산업 환경규제법규 146
부록 7. 용어정리 175

표 차 례

표 Ⅰ-1. 골프장 지역별 분포 5
표 Ⅰ-2. 9단계 척도에 의한 중요도 예시 9
표 Ⅰ-3. AHP 설문 척도 9
표 Ⅱ-1. 글로벌 자발적 표준시스템 12
표 Ⅱ-2.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유형 15
표 Ⅱ-3.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진화 16
표 Ⅱ-4. 주요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이슈 18
표 Ⅱ-5. ISEAL 표준준수 평가원칙 19
표 Ⅱ-6. 지속가능성 해석 21
표 Ⅱ-7. 친환경/지속가능한 골프장 정의 22
표 Ⅱ-8.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지속가능성 평가영역별 등급구분 기준에 관한 선행 연구 27
표 Ⅱ-9. GEO 인증 프로그램 32
표 Ⅱ-10. 국내외 골프장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진행절차 34
표 Ⅱ-11. 국내외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사례 요약 37
표 Ⅲ-1. 평가지표 유효성 결정 요인 39
표 Ⅲ-2. 문헌조사를 통한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평가지표후보 정리 41
표 Ⅲ-3. 전문가 포럼 참석자 현황 42
표 Ⅲ-4.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평가지표선정과정 44
표 Ⅲ-5.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평가지표(최종) 45
표 Ⅲ-6. AHP 설문 참여 전문가 현황 49
표 Ⅲ-7. AHP 분석에 활용한 설문 부수 49
표 Ⅲ-8. 전체 쌍대비교 행렬 50
표 Ⅲ-9. 가중치 산정결과 51
표 Ⅲ-10. 급경사 훼손지 면적 최소화 평가지표 55
표 Ⅲ-11. 급경사 훼손지 복원 평가지표 55
표 Ⅲ-12. 기존 부지 생태적 가치에 따른 평가지표 56
표 Ⅲ-13. 골프장 부지 내 기존 부지의 생태적 가치가 높은 구역에 대한 보호·관리 활동에 따른 평가지표 57
표 Ⅲ-14. 하천 수계 보전 평가지표 58
표 Ⅲ-15. 습지 보존 평가 등급표 59
표 Ⅲ-16. 생물서식지 보전 및 생물다양성 증대 산출기준 평가지표 60
표 Ⅲ-17. 산림 원형녹지 보존 평가지표 61
표 Ⅲ-18. 국내 골프장의 원형녹지율 평가지표 61
표 Ⅲ-19. 향토수종 도입 평가지표 62
표 Ⅲ-20. 재순환시설 및 수질정화시설 설치 평가지표 63
표 Ⅲ-21. 수생식물 도입 63
표 Ⅲ-22. 유해물질 취급 전문가 고용 64
표 Ⅲ-23. 유해물질 오염방지 방안 64
표 Ⅲ-24. 용수 사용 절감 산출기준 65
표 Ⅲ-25. 용수 공급원 및 총소비량 66
표 Ⅲ-26. 관개용수 중 재이용수 비율 평가 등급표 67
표 Ⅲ-27. 운송수단 배출량 감소방안 67
표 Ⅲ-28. 신·재생에너지 이용 평가 등급표 68
표 Ⅲ-29. 재료 및 서비스 공급 평가내용 69
표 Ⅲ-30. 폐기물의 재사용, 재활용 등의 처리방법 70
표 Ⅲ-31. 농약·비료 사용 최적화 70
표 Ⅲ-32. 최근 3년간 농약·비료 사용량 71
표 Ⅲ-33.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평가지표 73
표 Ⅳ-1. 대상지 특성 및 개요 76
표 Ⅳ-2. 베어크리크 녹지현황 78
표 Ⅳ-3. 해슬리 나인브릿지 녹지현황 80
표 Ⅳ-4. 재순환시설 및 수질정화시설의 설치 평가지표 83
표 Ⅳ-5. 수생식물 도입 84
표 Ⅳ-6. 유해물질 취급 전문가 고용 84
표 Ⅳ-7. 유해물질 오염방지 방안 85
표 Ⅳ-8. 용수 사용 절감 산출기준 86
표 Ⅳ-9. 용수 공급원 및 총소비량 86
표 Ⅳ-10. 운송수단 배출량 감소방안 87
표 Ⅳ-11. 신·재생에너지 이용 평가 88
표 Ⅳ-12. 재료 및 서비스 공급 평가내용 89
표 Ⅳ-13. 폐기물의 재사용, 재활용 등의 처리방법 90
표 Ⅳ-14. 농약·비료 사용 최적화 91
표 Ⅳ-15. 최근 2년간 농약·비료 사용량 추이 92
표 Ⅳ-16. 환경의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93
표 Ⅳ-17. 지역사회 기반활동 프로그램 94
표 Ⅳ-18. 표준시스템 평가지표(운영단계) 적용 결과 요약 95
표 Ⅳ-19.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참여자 개요 96
표 Ⅳ-20. 골프장 주변 자연환경 보호에 대한 우선순위 96
표 Ⅳ-21. 골프장 주변 자연환경 보호에 계획안에 대한 실천 정도 97
표 Ⅳ-22. St Andrews Links Trust 물 사용량(2011-2013) 100
표 Ⅳ-23. St Andrews Links Trust 비료 사용량(2011-2013) 101
표 Ⅳ-24. St Andrews Links Trust 농약 사용량(2011-2013) 102
표 Ⅳ-25. St Andrews Links Trust 에너지 사용량(2011-2013) 103
표 Ⅳ-26.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물 사용량(2011-2013) 105
표 Ⅳ-27.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비료 사용량(2011-2013) 106
표 Ⅳ-28.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농약 사용량(2011-2013) 106
표 Ⅳ-29.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에너지 사용량(2011-2013) 107
표 Ⅳ-30.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인증절차 109

그 림 차 례

그림 Ⅰ-1. 연구 흐름도 10
그림 Ⅱ-1.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참여 혜택 13
그림 Ⅱ-2. 에코라벨 증가곡선 13
그림 Ⅱ-3.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구조 17
그림 Ⅱ-4. 인증절차 Assurance Process 19
그림 Ⅱ-5. 녹색경영골프장 평가 및 선정절차 28
그림 Ⅱ-6. GEO Partners, Sponsors 30
그림 Ⅱ-7. GEO 거버넌스 구조 31
그림 Ⅱ-8. GEO OnCourse™ 인증과정 32
그림 Ⅱ-9. GEO OnCourse™ 프로그램 표준항목 33
그림 Ⅲ-1.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개발 흐름도 39
그림 Ⅲ-2. 해슬리 나인브릿지 전경 43
그림 Ⅲ-3.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계층구조(초안) 43
그림 Ⅲ-4. 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계층구조(최종) 50
그림 Ⅲ-5.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상위기준 가중치 54
그림 Ⅲ-6. 골프장 자발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가중치 비교 55
그림 Ⅳ-1. 베어크리크 골프클럽 위치도 77
그림 Ⅳ-2. 베어크리크 골프클럽 위성사진 77
그림 Ⅳ-3. 베어크리크 골프클럽 토지이용계획도 78
그림 Ⅳ-4. 해슬리 나인브릿지 위치도 79
그림 Ⅳ-5. 해스리 나인브릿지 위성사진 79
그림 Ⅳ-6. 해슬리 나인브릿지 토지이용계획도 80
그림 Ⅳ-7. St Andrews The Old Course Swilcan Bridge 81
그림 Ⅳ-8. St Andrews Links Trust 골프장 현황도 81
그림 Ⅳ-9.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82
그림 Ⅳ-10. 베어크리크 신재생 에너지 사용현황 88
그림 Ⅳ-11. 각 골프장 농약/비료/미생물 생산/구매내역 91
그림 Ⅳ-12. 토착미생물 코스 선순환관리 사례(베어 크리크) 92
그림 Ⅳ-13. 해슬리 나인브리지 GEO 협의체 98
그림 Ⅳ-14. St Andrews Links Trust 물 사용량(2011-2013) 101
그림 Ⅳ-15. St Andrews Links Trust 비료 사용량(2011-2013) 102
그림 Ⅳ-16. St Andrews Links Trust 농약 사용량(2011-2013) 103
그림 Ⅳ-17. St Andrews Links Trust 에너지 사용량(2011-2013) 104
그림 Ⅳ-18. Machrihanish Dunes Golf Club 물 사용량(2011-2013) 105
그림 Ⅳ-19. 베어 크리크 코스 전경 10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8912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dc.subject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dc.subject환경협약-
dc.subjectGEO-
dc.subject평가지표-
dc.subject인증-
dc.subject골프장-
dc.subject.ddc712-
dc.title골프장 조성과 관리를 위한 자발적 지속가능성 표준시스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 for Golf Course Development and Managemen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k, Juyou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84-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dc.date.awarded2015-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