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and regener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defects at three different surfaces: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beagle dog : 세 가지 다른 표면의 임플란트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임플란트주위염의 진행과 수술치료 후 골치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Namgoong Hee

Advisor
구기태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nimal studydental implantsligature induced breakdownhydroxyapatiteacid etched surfaceguided bone regener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치주과학전공, 2016. 2. 구기태.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다른 표면의 임플란트에서 실험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을 유발하여 질환의 진행과 수술적 치료 후 골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절삭표면 임플란트 열 개, 샌드블러스트 후 산으로 식각한 표면(sandblasted/acid etched (SA))의 임플란트 열 개, 샌드블러스트 후 산처리 및 나노미터 두께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 표면 임플란트 열 개를 각각 다섯 마리 성견의 하악에 구치부위에 고루 나누어 식립하였다(3×3 Latin square). 12주간 골유착 시간이 지난 후 임플란트 주위에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를 감고 구강관리를 하지 않아 치태가 침착되도록 하여 23주간 실험적으로 임플란트 주위염을 유발하였다. 와이어 제거 후 3주간 연조직 치유를 거쳐 판막을 거상하고 임플란트 표면을 소독하고 콜라겐막을 적용 한 후 창상을 봉합하였다. 수술 2주 후 칼세인을 자입하며, 수술 12주 후 성견을 희생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 실험기간에 설쳐 주기적으로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방사선사진상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의 유발에 따른 수직적 골소실을 확인할 수 있으나 임플란트 표면간의 골소실 량의 통계학적 의미는 찾을 수 없었다. 조직학적 분석에서는 수술 치료 후 골 형성 높이를 측정하여 샌드블라스트 후 산처리 표면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표면 임플란트에서 절삭표면보다 더 골생성 높이가 증가함을 보였다(p<0.05). 골생성 면적을 비교하였을 때,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표면이 절삭표면보다 골생성 면적이 넓었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이번 동물 실험 모델에서 실험적으로 유발된 임플란트 주위염이 진행되는 양상은 임플란트 표면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임플란트 주위염의 수술치료로 판막수술 및 임플란트 표면 소독 그리고 콜라겐 막을 적용한 재생 수술 후 골이 재생되는 양상은 절삭표면보다 샌드블러스트 후 산처리 표면이나 이와 동시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을 한 표면의 임플란트에서 더 많이 재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0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