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 of various surface modification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dental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재봉-
dc.contributor.author김희경-
dc.date.accessioned2017-07-14T05:49:48Z-
dc.date.available2017-07-14T05:49:48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85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5200-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과학과, 2014. 2. 이재봉.-
dc.description.abstract국문 초록

다양한 표면 변화가 치과용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과학과 치과보철학 전공
(지도교수 이 재 봉)
김 희 경

연구 목적: 다양한 표면 변화가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1) 염색 횟수가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의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2) 연마와 광택 처리가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의 색상과 투명도에 미치는 효과, 3) 다양한 삭제량이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의 색상과 투명도에 미치는 효과.

재료 및 방법: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로 BruxZir, 염색액으로 A2 색상의Tanaka ZirColor를 선택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총 18개의 지르코니아 시편(가로 27.6mm, 세로 27.6mm, 두께 2.0mm)을 염색액을 이용한 염색 횟수에 따라 6개의 그룹(그룹 O 에서 그룹 V)으로 나누고 각각 색상, 색 차이, 투명도 및 유백광도를 측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총 45개의 지르코니아 시편(가로 16.3mm, 세로 16.4 mm, 두께 2.0mm)을 염색액을 이용한 염색 횟수에 따라 5개의 그룹(그룹 I 에서 그룹 V)으로 나누고, 각 그룹을 표면 처리 방법에 따라 3개의 소그룹(대조군(N), 연마군(P), 광택군(G))으로 나눈 후, 각 시편의 색상, 색 차이 및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총 165개의 지르코니아 시편(가로 16.3mm, 세로 16.3mm, 두께 2.0mm)을 염색액을 이용한 염색 횟수에 따라 5개의 그룹(그룹 I 에서 그룹 V)으로 나누고, 각 그룹을 두께 삭제량에 따라 0.1mm 간격으로 1.0mm 삭제까지 11개의 소그룹(소그룹 0 에서 소그룹 10)으로 나눈 후, 각 시편의 색상, 색 차이 ·및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CIELAB 색공간을 사용하였고, CIE 표준 광원 D65에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한 시편 당 다섯 부위를 측정하였다. 통계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é 다중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측정값 간의 유의성 및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α = 0.05).

결 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염색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CIE L* 값과 유백광도는 감소하였으며, CIE b* 값은 증가하였다. CIELAB 색차는 1.3 에서 15.7 사이로 나타났으며, 투명도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N과 P간에 CIE L*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와 G간에 CIE b* 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그룹에서 N과 P간의 색 차이를 지각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그룹에서 N과 G간의 색 차이를 지각할 수 있었다(ΔE*ab > 3.7). 대부분의 그룹에서 각 소그룹 간의 투명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삭제량의 증가에 따라 CIE L* 과 CIE b* 값이 감소하였으며, CIE a* 값은 증가하였다. 모든 그룹에서 소그룹 0과 1간의 색 차이를 지각할 수 있었으며, 모든 그룹에서 삭제량의 증가에 따라 투명도가 증가하였다.

결 론: 염색 횟수의 증가는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의 명도를 감소 시키고, 황색 빛을 증가시킨다. 연마 처리는 명도를 감소시키고, 광택 처리는 명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황색 빛을 증가시킨다. 삭제량의 증가는 명도를 감소시키고, 붉은 빛 및 푸른 빛을 증가시킨다. 삭제량의 증가는 투명도를 증가시킨다.


· 주요어: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염색액, 색상, 투명도, 표면 특성 변화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Declaration
Dedication
Acknowledgements
Introduction
Material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Korean)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9930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en-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Monolithic zirconia-
dc.subjectcolor-
dc.subjecttranslucency-
dc.subject.ddc617-
dc.titleEffect of various surface modifications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dental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ee Kyung Kim-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139-
dc.contributor.affiliation치과대학 치의과학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