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 남촌 필동·묵정동의 도시조직 변화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Fabric in Pil-dong and Mukjeong-dong, Residential Area of Nam-Chon,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재인

Advisor
김성균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남촌도시조직 변화대형필지신정유곽부정형 가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생태조경학전공, 2016. 8. 김성균.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난하지만 지조있는 선비들의 마을이었던 서울 남촌의 필동·묵정동이 어떠한 역사적 흐름에 따라서 변화되었는지를 도시조직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각 시대별 도시조직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으로 도시조직의 구성요소 중 필지, 가로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조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정책적·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여 시간적 범위를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로 나누었으며 공간적 범위는 필동과 묵정동으로 설정하였다.
필동·묵정동에서 공간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는 일본인 거류지가 예장동에서 필동으로 확장되어가던 1904년 이후로서 필동 내 도로개수와 총독부 및 행정기관 관사의 유입, 신정유곽의 조성이 이 시기에 본격화되었다. 일제강점기 필동의 도시조직 변화는 민간 소유의 대규모 필지가 밀집한 대화정3정목(현 필동3가) 10번지, 21번지, 25번지, 69번지, 78번지, 79번지에서 확인되며 해당 지역의 도시조직 변화배경으로는 인구 증가로 인한 주택난과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던 인구밀도를 들 수 있다.
일제강점기 묵정동의 도시조직 변화는 신정유곽의 조성과 확장을 통해서 일어났다. 밭과 임야를 매입함으로써 조성된 신정유곽이 점차 확장될 필요성이 대두되자 신정유곽 주변의 밭과 임야 부지가 추가적으로 대지로 용도가 변경되었으며 기존 신정 3번지, 6번지, 8번지, 9번지가 다수의 세장형 필지로 분필되었다. 1925년과 1940년 사이에는 신정 동남부에 주거지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일대의 필지가 분필되었다.
광복 이후 필동은 기존에 국유지로 활용되던 필지가 주거지 또는 근린생활시설로 조성되면서 필지의 세분화가 이루어졌으며 무허가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재개발계획 및 불량주택양성화계획을 통해 필지의 체계적인 정리가 이루어졌다. 특히 이 시기에 주거지 내 단지계획의 적용이 실시되었으며 가로변의 일부 필지들이 기존도로의 확폭 및 신규도로 건설을 위해 합병되거나 도로용도로 용도가 변경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로 확폭 및 신설 과정에서 부정형 가구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부정형 가구 내에서 특수한 공간활용 사례들이 확인되었다.
6.25전쟁 이후 묵정동은 제1중앙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로 지정되었으며 해당 사업을 통해 기존 신정유곽 필지들의 분필이 세분화되었다.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필지들은 주변의 도시조직과 상응하지 않는 형태로 남게 되었으며 해당 필지는 오늘날에도 주변과 이질적인 형태로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필동과 묵정동 내 다수의 필지들이 일제강점기에 국유지, 민간소유 대형필지, 신정유곽 필지로 활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광복 이후 이러한 필지들을 중심으로 필지분할이 이루어지고 필지가 세분화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단지계획이 도입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이 외 시계열적으로 필동·묵정동의 공간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남아있는 각 시대의 도시조직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해당 연구를 통해 일제 강점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필동, 묵정동의 도시조직이 어떠한 배경을 통해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논의가 남촌 그리고 서울 역사조직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규명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nalysed spatial change of Pil-dong and Mukjeong-dong which was part of the Nam-Chon, historic village of Seoul. The research looked into historic background that resulted change of urban fabric especially plot and street.
Considering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temporal scope was divided into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eriod after 1945 Liberation. Spatial change of Pil-dong was first appeared after territory of Japanese Settlement in Seoul expanded to Pil-dong. Change of urban fabric in Pil-dong was mainly confirmed from 10-bunji, 21-bunji, 25-bunji, 69-bunji, 78-bunji, 79-bunji in Daehwajung 3-jungmok. Social factors that affected urban fabric change in Pil-dong was housing shortage crisis and low population density in Daehwajung 3-jungmok.
Spatial change of Mukjeong-dong was resulted from development of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As necessity to expand territory of Shinjeong Red Light District was raised, farm and forest land in Shinjeong changed in to red light district. Moreover, 3-bunji, 6-bunji, 8-bunji, 9-bunji which were originally large plots of Shinjeong divided into deep and narrow plots and used as red light district.
Between 1925 and 1940, plots located in southeast part of Shinjeong were divided into several plots in order to develop residential a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large plots in Pil-dong originally used as national lan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ivided into several plots. This division was intented to build residential buildings and neighboring facilities. Since housing shortage crisis lead to proliferation of unauthorized housing,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nd plan to authorize deteriorated houses were implemented in Pil-dong.
Change of urban fabric wa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dopting systematic site planning which was applied to make comfortable residential area. Beside division of large plots, some plots were merged with plots which were functioned as street or even changed its uses to street. This was intended to widen the width of street and construct new street, however, in some cases, it resulted creation of non-rectangular block. Special cases of using non-rectangular space in a effective way was also founded in this research.
After the Korean war, part of Mukjeong-dong was designated as No.1 Land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many plots in Mukjeong-dong were divided into several plots in a uniformed shape. Those plots which were not designated as Land Readjustent Project District remained as heterogeneous plots compared to uniformed plots nearby.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which affected change of urban fabric in Pil-dong and Mukjeong-dong. Ultimately, I hope this research contribute to expanding identity and historicity of historic urban fabric in Nam-chon and Seou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4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