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장애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연구 : A study on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승빈-
dc.contributor.author이보람-
dc.date.accessioned2017-07-14T06:21:27Z-
dc.date.available2017-07-14T06:21:27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460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550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2012. 8. 임승빈.-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병원 외부환경에 대한 가치가 높게 평가되면서 환자들에게 쾌적한 환경과 자연을 통한 치유환경의 조성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아동 환자의 경우,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성숙하여 성인 환자보다 주변 환경 변화에 더 쉽게 영향을 받는다.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어린이 전문병원의 계획・설계에 있어서 질병을 치료하는 기능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까지 고려한 총체적 치유환경 조성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높은 재발율과 만성적인 경과로 인해 의료 시설에서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정신적 장애를 갖는 아동 환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장애 아동을 배려한 병원 설계나 이들의 복지, 회복문제에 있어 환경적 조성이 미비하다. 병원 설계 자체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동의 행태분석과 심리적 안정으로 진료에 대한 공포와 입원하는 기간에 따른 스트레스를 해소이다. 그러므로 아동 환자들의 감정 조절 기능과 치료의 보조수단으로서 치유정원이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어린이 전문병원에서 장애 아동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환자의 질병에 맞춘 치유정원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치유공간이라 명명되는 옥외 공간에 대한 이용도와 문제점을 살펴 각 공간에 적합한 개선사항을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치유정원, 장애 아동에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이 갖추어야할 항목들을 도출하고 구체적으로 설계 요소에 대한 세부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100병상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어린이 전문병원인 서울시립어린이병원과 양산부산대어린이병원을 선정하여 세부항목에 대한 구현정도를 조사 및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아동 치유정원 조성에 앞서 하나의 기초항목을 도출하는 것은 개념 정의 및 연구 과정에서 주관적인 방향으로 흐를 소지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유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기존 연구에서 보이는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기초항목을 종합하여 20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상적인 기초항목을 분류하고자 조경, 원예, 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의 전문가를 45인 선정하여 5점 만점으로 중요도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항목에 대해서는 0.5이상의 설명력을 갖고 있어 선행연구로 도출된 모든 항목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안전과 관련된 항목이 가장 중요한 기초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중요도 4.0이상), 이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의 대표되는 속성으로(자연성, 서정성, 사회성, 이동성, 개방성, 인지성, 안전성)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세부적인 지침개발을 위해 이용대상자를 장애 아동으로 한정지어 설계요소를 제안하였다. 배치 및 동선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관리 및 운영 계획으로 대분류하여 세부항목들을 제안하였다.식재의 경우 심리치료를 도모하는 수종과 감각 자극을 지원하는 수종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으며, 시설물의 경우 장애 아동이 이용하기 용이한 규격사이즈와 시설물의 이름, 조성 방식들을 제안하였으며, 운영 및 관리에 관하여 원예치료 프로그램이나 계절별 야외활동 프로그램, 유지관리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국내 현황(서울시립어린이병원, 양산부산대어린이병원)을 살펴본 바, 두 대상지 모두 비교적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대다수의 환자들은 보호자와 동행하여 이용하고 있었으며, 안전시설물이 잘 조성되어 있었다. 색채나 질감, 형태에서 아동이 호감을 갖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각 대상지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1) 치료과정을 지원하는 치유프로그램의 부재 및 식재계획 미비, 2) 이용자 계층(병원관계자, 보호자, 방문객, 환자)간의 영역성 부재, 3) 장애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물의 부재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1)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초화류 식재와 심리적, 신체적 자극을 위한 수종 선별, 2) 질병과 이용계층, 아동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시설물 계획, 3) 다양한 사회 프로그램과 교육활동의 장으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놀이·휴게시설의 계획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원 설계에서 도입되어야 할 세부 설계 요소와 프로그램들을 점검하고 병원 치료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정신적·신체적 발달을 지원하는 시설물과 프로그램, 식재계획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동이라는 대상자의 특수성에 부합하는 치유정원이 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치유의 특성을 지닌 요소들이 설계항목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초항목과 세부항목이 대상지가 갖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향후 진행될 국내 어린이 전문병원의 옥외 공간 및 정원 공간이 치유라는 취지가 제대로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바람직한 치유정원을 구현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피드백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치유기능을 위한 옥외 공간 조성 시 필요한 항목을 도출하고 치유효과를 지닌 식물에 대한 특성을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환자에게 전문적인 치유에 도움이 되는 수종 및 시설물 계획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 이론적 모델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As recently value for outdoor environment of hospital has been highly evaluated, formation of healing environment is being actively proceeded through agreeable environment and nature for patients. Especially, child patient is more easily affected by change in surrounding environment than adult patient because they are immature physically and mentally. As they are psychologically unstable, they need space where they can easily adapted to unfamiliar environment of hospital. By this reason, formation of total healing environment considering not only functional aspect to treat disease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 becomes important task in planning and design of children's hospital. And patients increasingly stay in medical facilities for long term due to high recurrence rate and chronic progress. Environment highly affects their welfare and recovery problem.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sign of hospital is mitigation of fear about treatment and stress caused from period of stay in hospital by behavioral analysis and psychological stabilization of children. Accordingly, healing garden should be planned as a supplementary means for control and treatment of child patients'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plan of healing garden fit to disease of patient by considering special characteristic of handicapped children in the domestic children's hospital.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proper to each space by investigating use and problem of outdoor space called healing space based on domestic status. To do this, this study drew items to be equipped for healing garden for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healing garden and handicapped children. Also, specific detailed items for design factor were listed.
For this study, these two domestic children's hospitals with sickbed more than 100 were selected - Seoul municipal children's hospital and Yang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ith the hospitals,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the listed detailed items was examined and analyze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problem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draw basic item before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aims to raise objectivity of study by referring to some similar previous studies because study can flow towards subjective direction in definition of concept and study process. 20 items were drawn by integrating basic item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shown in existing studies. To classify basic items which experts recognize as ideal, 45 experts from fields of landscaping, gardening, medical treatment, and social welfare were appointed and then, questionnaire survey about importance was conducted under 5 point score. As each item has explanation power over 0.5, all the items drawn from previous studies could be selected and used. Item related to safety was drawn as the most important basic item(over 4.0 in importanc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based on this, 7 representative attributes could be classified
-
dc.description.abstractNaturality, Lyricism, Sociality, Mobility, Openness, Preference, and Safety.
Second, Design elements were suggested with the limitation to user, for handicapped children for development of specific guidelines. Subsections were suggested under main classification such as plot & circulation plan, planting design, facilities plan, and management plan. In case of planting, kind of tree that helps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upports stimulus of sense was specifically suggested. For facilities, these were suggested - size which is eas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o use, name of facilities, and design method. For management, treatment program through gardening or outdoor activity program each season, and method to maintain and manage were suggested.
Third, From domestic status( Seoul municipal children's hospital and Yangsan B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it is known that the two hospitals all showed comparatively high use rate. Most of patients used garden by accompanying protector and facilities for safety were well constructed. Color or texture, shape were well designed so that children can easily approach with good feeling. The common problems of the two hospitals were
-
dc.description.abstract1) lack of healing program supporting cure process and poor planting design, 2) lack of territoriality between use groups(persons related to hospital, protectors, visitors, patients) 3) lack of facilities that handicapped children can use.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se are suggested-
dc.description.abstract1) planting kind of a flower of a herb with which treatment program can be implemented through gardening, and selection of tree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imulus 2) facilities plan considering disease, use group,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3) plan for play and rest facilities so that the facilities can be used as place for various social program and educational activity.
Based on above study results, it is expected that specific design elements and program to be introduced in garden design can be checked
-
dc.description.abstractfacilities, program, and planting design that support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are available for appropriate treatment in hospital. To be healing garden fit to peculiarity of child, design item should primarily include elements with characteristics of "healing". This study found a possibility that basic item and specific item cab be used as a tool to effectively judge problems that above mentioned two hospitals have. And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and feedback if future outdoor space and garden space of domestic children's hospital implement purpose of "healing" and if the space embodies desirable healing gard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necessary items can be drawn and characteristic about plant with healing effect can be classified when constructing outdoor space with healing effect.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establish theoretical model which arranges measures for tree and facilities plan helpful for professional heal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고찰 4
1. 치유정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1.1 치유정원의 개념 4
1.2 치유정원의 유형 5
1.3 치유정원에 관한 연구동향 7
2.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2.1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특징 7
2.2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역사 9
2.3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의 사례 11
3. 장애 아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18
3.1 장애 아동의 개념 18
3.2 장애 아동의 특징 20
4. 소결 21
Ⅲ. 연구 범위 및 방법 23
1. 연구 범위 23
1.1 공간적 범위 23
1.2 내용적 범위 23
2. 연구 방법 24
2.1 치유정원 조성항목 도출 24
2.2 장애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 지침 작성 24
2.3 검증 대상지 현황 조사 및 세부요소 도입을 위한 평가 24
3. 연구 과정 26
Ⅳ. 연구 결과 27
1.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기초항목 도출 27
1.1 문헌조사에 의한 기초항목 도출 27
1.2 전문가 설문을 통한 기초항목 문항 검증 29
1.3 요인분석에 의한 기초항목 속성 파악 32
2. 장애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 세부항목 도출 35
2.1 자연성 35
2.1.1 심리치료를 도모하는 식재 및 시설 35
2.1.2 운동감각을 지원하는 시설 37
2.1.3 안정적인 미기후 조성 38
2.1.4 다양한 자연요소 도입 및 접촉의 기회 39
2.2 서정성 46
2.2.1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 연출 46
2.2.2 흥미로운 동선 46
2.2.3 휴식공간에 대한 다양성 47
2.2.4 집과 비슷한 친숙한 분위기 조성 48
2.2.5 예술적 요소 도입 48
2.3 사회성 49
2.3.1 정원의 합리적인 경제적 유지관리 49
2.3.2 랜드마크적인 요소 49
2.3.3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장 50
2.3.4 사회적 활동 고려 52
2.4 이동성 53
2.4.1 접근 및 진입을 쉽게 할 수 있는 배치 및 동선 53
2.4.2 환자의 이동성 및 활동성 고려 54
2.5 개방성 56
2.5.1 시각적 개방성 및 감독 56
2.6 인지성 57
2.6.1 사용자 그룹을 위한 영역성 확보 57
2.6.2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시킬 수 있는 요소 57
2.7 안전성 59
2.7.1 안전한 시설물 배치 59
2.7.2 작업 및 레크리에이션 장소의 제공 59
3. 검증대상지 현황조사 61
3.1 서울시립어린이병원 61
3.1.1 대상지 현황 61
3.1.2 세부항목 구현 검증 62
3.1.3 이용행태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 제안 65
3.2 양산부산대어린이병원 70
3.1.1 대상지 현황 70
3.1.2 세부항목 구현 검증 71
3.1.3 이용행태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 제안 75
3.3 현장조사 종합 77
4. 소결 83
Ⅴ. 결론 89
인용 문헌 93
부록 9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66793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장애 아동-
dc.subject치유정원-
dc.subject기초 항목-
dc.subject디자인 지침-
dc.subject어린이 병원-
dc.subject옥외 공간-
dc.title장애 아동을 위한 치유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Bo-Ra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ⅸ, 107-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