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in Traditional Malay Village: Case study of Padang Changkat Village in Malaysia : 전통 말레이마을의 문화경관 해석:말레이시아 파당창카드마을을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메이위토

Advisor
KIM SUNG-KYUN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생태조경학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thnographic studytraditional Malay villagecultural landscapePadang Changkatinterpret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학과, 2013. 8. KIM SUNG-KYUN.
Abstract
본 연구는 문화기술학적 연구방법 (ethnographic study)을 채택하여 말레이시아의 말레이 전통마을인 파당창카드 (Padang Changkat) 의 문화경관을 해석하였다. 특히 문화경관의 특징과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지역만의 주민들의 주거 환경은 자신이 누구인지, 또 다른 사람들과 모여서 어떠한 지역 문화를 형성하는지를 보여주기에 파당창카드의 문화경관을 이해하는데 그들의 주거환경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전통마을의 문화경관을 해석하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말레이 마을의 문화경관을 형성하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말레이 마을만의 물리적 경관 패턴을 바탕으로 형태에서 의미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셋째, 물리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말레이 주거 정착 마을의 경관을 해석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 방법론 연구, 대상지 자료 수집 및 분석, 해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인류학적 연구방법을 비롯한 여러 연구방법으로 말레이 전통마을(kampung)을 연구하고 해석했다. 전반적으로 문화적 심리 연구에서 사용되는 COSI (Causation 원인, Operationalization 시행, Sampling 표본조사, Interpretation 해석) 연구방법을 채택한다. 대상지 현장에서의 연구방법은 Spradley (1980)의 참여관찰법, 말레이 마을의 해석 단계에서는 Gadamer (1976)의 해석의 방법론과 함께 진행되었다.

말레이마을을 해석하는데 내부자적 관점에서 말레이 마을 (kampung)의 공간적 배치와 주택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 부여된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말레이마을의 요소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배경 (거시적 분석)
2. 마을주민 (거시적 분석)
3. 전반적 말레이 마을 (kampung) 배치 (거시적 분석)
4. 말레이 주택 (미시적 분석)
5. 말레이 주택정원 (미시적 분석)
6. 과수원과 숲 (미시적 분석)
7. 구불구불한 길 (미시적 분석)
8. 강 (미시적 분석)
9. 역사적, 문화적 요소 (미시적 분석)

이와 같은 파당창카드 마을의 구성요소를 통해 말레이마을 문화경관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했다. 특히 이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말레이마을을 구성하며 외부인들은 각 개별 요소로 분류하기에는 난해하다.

각 요소를 통해 말레이 마을을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락 주(Perak State)에 위치한 파당창카드의 배경은 이 지역의 페락 왕(Perak Sultanate)으로 인하여 마을이 번창하고, 전통 수작업이 활성화되는 등 왕가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둘째, 파당창카드의 주민들은 100년 이상을 거주하면서 자연과 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여 그들만의 환경과 문화가 공존한다. 셋째, 파당창카드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원형의 보안림, 거대한 과수원이 강으로 에워싸는 형태이다. 그 중심에는 말레이 주택들이 위치하여 구불구불한 길이 배치되고, 식용식물과 유실수가 동시에 심겨져 형성된 마을이다. 넷째, 말레이의 삶과 전통을 가장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말레이 주택에서 주민들의 일상뿐만 아니라 그들의 정신과 삶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섯째, 말레이 주택정원과 과수원, 그리고 숲은 말레이 주거환경의 경관을 반영한 곳으로 지역 주민들의 삶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말레이만의 전통 식재경관을 나타낸다. 여섯째, 구불구불한 길은 많은 사람들이 통과하는 길이자, 사교 모임의 장소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일곱째, 파당창카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페락 강(Perak River)은 과거에 정치적, 경제적 수단이었으며, 현재에는 역사적, 사회문화적 요소로서 다양한 가치를 지닌 자연요소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당창카드의 역사적, 문화적 요소는 이 마을의 문화경관을 보강하면서 마을의 정체성을 보여주기도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파당창카드의 각종 물리적 요소, 장소, 사람들, 그리고 이들의 활동을 토대로 말레이 마을의 문화경관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파당창카드를 해석하면서 요소와 장소, 사람들 그리고 활동이 상호적으로 어떻게 엮이고, 경관을 형성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파당창카드의 해석을 통해 도출한 결론을 통해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파당창카드 마을의 발전 방안은 전통 문화를 유지하면서 전통 민속 마을로 선정하여 현 시대의 기술력을 동원하여 이 마을만의 문화경관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를 보존하는데 있어 시대의 변화에 맞춰 현대의 기술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는 팸턴(Fampton, 1983)의 맥락과 일치한다.

끝으로 한 특정마을이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계획하기 위해서는 파당창카드를 통해 말레이 마을을 이해하고 문화경관을 해석하는 연구의 의미가 크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 전통마을의 문화 경관이 보존되고 발전하는데 첫 걸음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an ethnographic study of describ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traditional Malay village in Malaysia called Padang Changkat. The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 in order to know the way that indigenous people build their home settlement, which influence and develop their original perception of home-making, so that the home settlement can express who they are, help people become who they are meant to be, and finally it becomes one of their ethnic expression.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to determine the physical and social attributes that shaped the cultural landscape in Malay village
second, to analyze the specific logic and implication behind the landscape patterns inside the Malay village that contributed to the identity of place
third, to interpret the Malay home settlement landscape in aspects of physical and social-cultural context.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hrough several phases which consist of: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ng and analysis of the study site, and finally resulted in the interpretation form.

Throughout the study, several methods are adopted to enable the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identities of Malay village (kampung) studied. The overall study is underlay on the basis of COSI (causation, operationalization, sampling, and interpretation) method that has been common used in cultural psychology studies. In this study, it is supported by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s field study method, as well as the hermeneutics approach for the final interpretation phase.

To fit the study into the native context, research measurements are decided based on narrative knowledge derived by Malay kampung own vernacular system. They have been identified and categorized as:
1. Background (for macro analysis)
2. Villagers (for macro analysis)
3. Overall kampung layout (for macro analysis)
4. Malay houses (for micro analysis)
5. Malay homegarden (for micro analysis)
6. Orchard farms and forest (for micro analysis)
7. Winding paths and roads (for micro analysis)
8. River (for micro analysis)
9.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for micro analysis)

Resulted from interpretative analysis, each feature inside Padang Changkat has demonstrated different faces and dimension of Malay village cultural landscapes
even though these features are united into a whole and difficult to be looked separately in actual state, especially for outsiders.

As summary of each feature mentioned above, first, the background of Padang Changkat has an intimate bond with the local royal called Perak Sultanate as well as development of Perak State, which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village as well as its craftsmanship tradition. Second, villager is the dominator of environment and culture of Padang Changkat through the time-honored coordination among the nature and the society itself. Third, in terms of village layout, Padang Changkat is basically laid within the circle of reserved forest and large-scaled orchard farms that surrounded by a bow–like curve of river
and formed by a centered bulk of Malay houses, which are snuggled among the winding paths, thickets of fruit trees and edible plants simultaneously. Forth, Malay house is the most idiomatic representation of the Malay traditional living culture- it not only represent the native principles in term of spirit and life of traditional rural Malays, but also constitute a consummate system for both daily activities and social purpose. Fifth, the Malay homegarden as well as orchard farms and forest most reflect the living landscape in Padang Changkat when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planting composition not only fulfill the local necessities of life, but also demonstrate the traditional ethno-botany knowledge of rural Malay as well. Sixth, the winding paths and roads provide maximum flow ability and space flexibility
meanwhile they also act as social place for the villagers as well. Seventh, Perak River, which is the river laid at the edge of Padang Changkat, has several significant meanings ranged from politic and economic importance in the old times, to the present-day historical, socio-cultural and recreational value for the village as well as the Perak Royal. Last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found in Padang Changkat have functioned as the reinforcing agent for the significance of Padang Changkat cultural landscapes.

The overall study of Padang Changkat in fact explicates the Malay villag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through its spaces, elements, people and activities. The interpretation has showed how they are functioned in collectively so that formed a vernacular living system in rural Malaysia, as an ethnic responsive landscape specifically for Malays.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several schemes for Padang Changkat future development, which considering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as well as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schemes include the use of modern ways in traditional context
declaration as traditional folk village
and application of tradition as authority. These ideas are all underlay on the Framptons idea of Critical Regionalism, which mainly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resistant and identity-giving culture, with a discreet recourse to modern techniques.

As conclusion, both in-depth understanding on Malay village and interpretation of its cultural landscape, in fact, function as value statement for rural settlement landscapes significance to reinforce its survival in the modern era. Therefore, this study, lastly, can be used to solidify the justifiability of calling for attention on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ural village cultural landscape in Malaysia in the future research and planning.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56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