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강원도 삼척 산불 피해지의 산림환경에 따른 양서∙파충류 군집 특성 차이 :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Amphibian and Reptile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Forest Environment at Forest Fired Area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우신-
dc.contributor.author박창득-
dc.date.accessioned2017-07-14T06:33:58Z-
dc.date.available2017-07-14T06:33:58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45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571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2012. 8. 이우신.-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 중 하나인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의 산불 미피해지와 피해지 내 자연복원지 및 조림지에서 양서∙파충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조사지(산불 미피해지, 자연복원지, 조림지)별 산림환경의 차이, 양서∙파충류 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 차이, 종별 선호 서식환경 등을 동면기간인 겨울을 제외하고 여름, 가을, 봄에 조사하였다. 산불 미피해지, 피해지 내 자연복원지 및 조림지에서 각 조사지별 3개의 조사경로로 총 9개 조사경로에서 선형횡단조사법(line transect sampling)을 통해 1개 조사경로에서 각 계절당 오전 2회, 오후 2회로 총 4회씩 3개 계절을 조사하여 총 108회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산림환경 조사는 2011년 7월 말부터 8월 말에 같은 조사경로 내에서 각 엽층별 피도량, 암석 피도량, 도목잔존물 수, 고사목 수 등 총 7개의 산림환경 요인에 대해 실시하였다.
선형횡단조사 결과 파충류는 산불 미피해지에서의 평균종수(p=0.0040)와 종다양도(p=0.0151)가 피해지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까치살모사(Gloydius saxatilis)의 경우 미피해지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파충류가 산불 미피해지에 비하여 피해지를 선호하지 않는 것은 산불 피해 후 식생피도량이 줄어들었고 이에 따른 파충류에 대한 포식압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아무르장지뱀(Takydromus amurensis)의 경우는 산림환경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식생피도량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무르장지뱀의 미세서식지 이용을 분석 결과, 상층피도량이 낮고(p=0.0375), 도목잔존물 수가 많을수록(p=0.0318) 출현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류의 평균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는 조사지(산불 미피해지, 자연복원지, 조림지)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북방산개구리는 산불 미피해지에서 피해지에 비하여 더 많은 개체가 관찰되어(p=0.0288), 산불로 인한 산림환경 변화에 취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계절별 여름의 파충류 평균종수(p=0.0264), 양서류 평균종수 (p=0.0046)와 개체수(p=0.0004)는 봄, 가을에 비하여 더 많이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경우 한여름을 제외한 봄, 가을에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고, 흐린 날씨가 잦아 봄과 가을에는 양서∙파충류 군집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산불 피해지 내 자연복원지와 조림지간 복원방법의 차이에 따른 양서∙파충류의 평균종수, 개체수 및 종다양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서∙파충류는 복원방법보다 산불 자체에 대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양서류는 산림환경 요인보다 기후적 요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며, 파충류는 비교적 행동권이 넓어 피해지 내에서 다양한 산림 환경을 폭 넓게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amphibian and reptile (herpetofauna) commun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 in the unburned and two burned (naturally restored, planted) stands on Mt. Gumbong,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I used line transect sampling method. A total of nine transect lines were use in this study, three lines in each forest stands. The fieldwork was conducted between July 2011 and June 2012, covering all seasons except winter (because most herpetofauna are less active).
In total, I recorded 94 individuals from 6 species for amphibian and 76 individuals from 9 species for reptiles. The dominant species was Gloydius ussuriensis, Takydromus amurensis of reptile and Rana dybowskii of amphibian.
The mean number of reptile species and diversity index (H') were higher in unburned stands than those in burned stands. The vegetation cover was also higher in unburned stands than those in burned stands. This finding showed that reptiles in burned stands could be experiencing a greater predation pressure than those inhabiting unburned stands due to reduced overstory vegetation cover which in turn affects habitat sele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mphibian between unburned and burned stands.
T. amurensis preferred habitats with lower overstory vegetation cover but with larger number of downed CWD (Coarse Woody Debris) in unburned stands. This preference indicates that T. amurensis selects habitat with high level of light and probably with higher prey density. In this case, the reptile, T. amurensis benefits both in terms of thermoregulation and prey availability.
Herpetofauna communities (mean no. of species) were highest in summer as compared to other seasons which may indicate that herpetofauna activity pattern was affected by relatively lower temperature and frequently weather changes in spring and autumn in the study area.
The mean number of herpetofauna community species, individuals and diversity index (H')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post-fire silvicultural treatments (between naturally restored and planted stands). These results indicate herpetofauna communities were more influenced by forest fire itself than silvicultural treatments. This characteristics related to forest fire indicates that amphibian activity is more sensitive to climatic variables than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and reptiles could have relatively wide home range utilizing forest stands irrespective of their silvicultural treatme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II. 연 구 사 4
1. 양서∙파충류 생태에 관한 연구 4
2. 양서∙파충류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6
3. 산불과 양서∙파충류 군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10

III. 연구 대상지 및 방법 13
1. 연구 대상지 13
2. 연구 시기 16
3. 연구 방법 17
3.1. 연구 대상종 17
3.2. 양서∙파충류 군집 조사 17
3.3. 산림환경 조사 19
3.4. 분석 방법 21


IV. 결과 및 고찰 23
1. 조사지별 산림환경의 차이 23
2. 양서∙파충류 군집 특성의 차이 28
2.1. 전체 양서∙파충류 군집 특성 28
2.2. 파충류의 군집 특성 32
2.2.1. 과∙종별 특성 차이 36
2.2.2. 미세서식지 이용 40
2.2.3. 전체길이, 무게 비교 42
2.3. 양서류의 군집 특성 43
2.3.1. 과∙종별 특성 차이 46

V. 종합 고찰 50

VI. 결 론 54

Abstract 64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3336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dc.subject도목잔존물-
dc.subject복원방법-
dc.subject산불-
dc.subject식생피도량-
dc.subject아무르장지뱀-
dc.subject양서류-
dc.subject파충류-
dc.title강원도 삼척 산불 피해지의 산림환경에 따른 양서∙파충류 군집 특성 차이-
dc.title.alternative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Amphibian and Reptile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Forest Environment at Forest Fired Area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i, 66-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산림환경학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