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콜산으로 개질된 메틸셀룰로오스-폴리에틸렌이민 양친매성 공중합체 기반 약물전달시스템 : Cholic Acid Conjugated Methyl Cellulose-Polyethylenimine Amphiphilic Copolymer for Drug Delivery System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태일-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date.accessioned2017-07-14T06:36:29Z-
dc.date.available2017-07-14T06:36:2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185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576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바이오소재공학전공, 2016. 2. 김태일.-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양전하성 메틸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주쇄고분자로 사용하여 콜산이 도입된 약물전달체를 합성하고 약물을 담지함으로써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메틸셀룰로오스를 산화시킨 후 폴리에틸렌이민(분자량 800 Da)으로 그라프팅하여 일차아민을 도입한 후에 콜산을 도입시킴으로써 양친매성을 갖는 새로운 약물전달체 MCPEI-CA를 합성하였다. 약물전달체의 화학적 구조는 1H NMR과 FT-IR을 통해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은 메틸셀룰로오스의 단위 글루코오스 14.2개 당 하나가 도입되었으며 콜산은 개질된 정도에 따라 폴리에틸렌이민 한 분자 당 1.74-3.65 개가 개질된 것을 확인하였다. 임계응집농도(Critical Aggregation Concentration-
dc.description.abstractCAC)가 7.2×10-3 mg/mL로 측정된 MCPEI-CA-10을 이용해 소수성 약물인 독소루비신을 담지하였다. 담지된 약물의 양을 확인한 결과 DLC(Drug Loading Content) 23.2%, DLE(Drug Loading Efficiency) 58%로 계산되었으며, 수용액상에서 독소루비신이 담지된 MCPEI-CA는 약 250 nm 정도의 입자크기를 갖고 양전하를 띠는 것을 확인함을 통해, 본 약물전달체가 효과적으로 세포내로 침투 가능한 조건을 갖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MCPEI-CA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테스트를 진행하였고, 20 μg/mL까지 비암세포에서 독성이 거의 없었던 것과는 다르게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암세포 사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독소루비신 및 MCPEI-CA 단독처리에 비해 MCPEI-CA/DOX의 암세포 사멸효과가 높았으며, 특히 약물저항성을 가진 A549 세포에서의 높은 세포사멸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련의 연구결과, MCPEI-CA의 약물전달시스템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 록 i
목 차 iii
List of Tables vi
List of Figures vii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문헌연구 4
2.1 다당류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4
2.1.1 메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4
2.1.2 기타 다당류의 약물전달체로서의 활용 5
2.2 콜산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6
2.2.1 의료용 소재로서의 콜산의 특징 6
2.2.2 약물전달시스템에서의 콜산의 활용 8
2.3 암세포 치료를 위한 약물전달시스템 10
2.3.1 항암제가 함유된 약물전달시스템 연구 10
2.3.2 다양한 암세포 표적화 연구 13

제 3 장 재료 및 방법 15
3.1 재 료 15
3.2 실험방법 16
3.2.1 콜산 도입을 통한 MCPEI-CA의 합성 16
3.2.2 MCPEI-CA의 특성분석 17
3.2.2.1 1H NMR을 이용한 구조 분석 17
3.2.2.2 FT-IR을 이용한 구조분석 18
3.2.2.3 임계응집농도 측정 18
3.2.3 독소루비신을 담지한 MCPEI-CA 제조 19
3.2.4 MCPEI-CA/DOX의 특성분석 20
3.2.4.1 MCPEI-CA/DOX의 독소루비신 함량 확인 20
3.2.4.2 DLS를 이용한 MCPEI-CA/DOX의 평균입자크기 및 표면전하 확인 20
3.2.4.3 TEM을 통한 MCPEI-CA/DOX의 형태학적 확인 21
3.2.4.4 약물방출 평가 21
3.2.5 MCPEI-CA의 세포실험 22
3.2.5.1 세포배양 22
3.2.5.2 MTT assay를 이용한 MCPEI-CA의 세포독성 22
3.2.5.3 LDH assay를 이용한 MCPEI-CA에 의한 세포막손상 측정 23
3.2.5.4 MTT assay를 이용한 MCPEI-CA/DOX의 암세포 사멸능력 평가 24

제 4 장 결과 및 고찰 25
4.1 MCPEI-CA의 합성 및 특성 분석 25
4.1.1 MCPEI-CA의 합성 25
4.1.2 MCPEI-CA의 구조분석 28
4.1.3 임계응집농도 측정 33
4.2 독소루비신을 담지한 MCAPEI-CA 특성 분석 35
4.2.1 MCPEI-CA/DOX의 독소루비신 함량 확인 35
4.2.2 MCPEI-CA/DOX의 평균입자크기 및 표면전하 확인 37
4.2.3 MCPEI-CA/DOX의 형태학적 확인 39
4.2.4 약물방출평가 41
4.3 MCPEI-CA의 세포실험 43
4.3.1 MCPEI-CA의 세포독성 평가 43
4.3.2 MCPEI-CA에 의한 세포막손상 측정 50
4.3.3 MCEI-CA/DOX의 암세포 사멸능력 평가 53

제 5 장 결 론 57

참고문헌 60
Abstract 7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502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약물전달시스템-
dc.subject메틸셀룰로오스-
dc.subject폴리에틸렌이민-
dc.subject콜산-
dc.subject독소루비신-
dc.subject.ddc660-
dc.title콜산으로 개질된 메틸셀룰로오스-폴리에틸렌이민 양친매성 공중합체 기반 약물전달시스템-
dc.title.alternativeCholic Acid Conjugated Methyl Cellulose-Polyethylenimine Amphiphilic Copolymer for Drug Delivery System-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Taewan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71-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