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와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여수경

Advisor
이 찬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소기업 근로자직무성과사회적 네트워크지식공유네트워크 접근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산업교육과, 2012. 8. 이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성과, 사회적 네트워크(크기, 강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와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성과, 사회적 네트워크 및 지식공유의 관계를 구명한다. 둘째,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에서 지식공유가 나타내는 매개효과를 구명한다. 셋째,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를 구명한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중소기업 근로자 전체이나 기업 근로자 개인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중소기업근로자를 목표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에 대한 접근의 한계로 인해 이 연구에서는 비확률표집방법 중 유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중소기업의 근로자 400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질문지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크게 사회적 네트워크, 직무성과, 지식공유, 네트워크 접근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5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된 조사도구는 전문가 검토과정과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먼저 각 변인에 맞는 도구를 선정하고, 이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하여 질문지를 개발한 후 인적자원개발을 전공 교수1인과 박사과정생 1인의 검토를 받아 의미가 명확하지 않거나 이해하기가 어려운 일부 문항에 대하여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또한 예비조사는 이 연구의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된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자료를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의 배포 및 수집은 2012년 4월 7일부터 5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예비조사는 2012년 4월 7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본 조사는 2012년 4월 16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총 400부를 배포하여 355부(회수율 88.8%)가 회수되었고, 이 중 설문에 성실히 답변하지 않은 47부를 제외한 308부(유효응답률 86.7%)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s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25.9%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근로자들의 조직 내 네트워크의 크기가 클수록, 친밀도가 높을수록, 정보교환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성과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로서 조직 내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조직 환경이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23.6%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근로자들의 조직 내 네트워크의 크기가 클수록, 친밀도가 높을수록, 정보교환 횟수가 많을수록 지식공유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 내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업무에 필요한 지식이 공유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창출될 수 있는 다양한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공유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조직 내 네트워크활동을 통한 지식공유활동이 활발해 질수록 개인의 직무성과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에서는 이러한 지식공유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장려함으로써 조직학습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개인의 직무성과 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는 지식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접근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네트워크 접근성이 낮은 근로자는 네트워크 접근성이 높은 근로자보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의 크기, 강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더 강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근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직무성과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 연구에서 설정되지 않은 변인을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 내 다양한 사회적 자본의 흐름과 지식공유활동을 보다 깊이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팀단위나 조직단위의 완전 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조직 내 지식공유와 전달, 창출과정까지 연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네트워크 접근성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다양한 관점에서 조직 내 개인의 네트워크 접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 개인의 직무성과에 네트워크 접근성의 효과를 구명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대기업, 공공기관, 비영리 기관 등 다양한 연구대상에 본 연구모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을 통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중소기업내에 전반적인 학습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외부교육으로 인한 업무공백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일터에서 직원들 간에 무형식 학습이 이루어짐으로 교육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직 내 핵심인재를 사내강사로 선정하여 활용하고, 이를 중심으로 전체 직원이 자유롭게 지식을 공유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조직 내 학습문화를 구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네트워크접근성향상에 대한 조직적 차원에서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네트워크접근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력에 기반하여 HRD담당자들이 인재를 선발 및 배치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접근성에 대한 부분을 평가하거나 직원교육 시 네트워크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근로자들의 네트워크접근성을 향상시켜 직무성과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근로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공유, 네트워크 접근성의 영향력 및 매개효과,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이후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중소기업근로자들의 네트워크활동을 통한 지식공유 활성화를 도모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set as follow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job performance , social network and knowledge sharing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seco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ir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basically all the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but in this study,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enterprises defined the employees who work for companies listed in the small-medium sized company information system.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otal 58 questions in 5 sections of job performance, social network, knowledge sharing, network accessibi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ere identified through experts' review and pilot test.
The data were collected by visiting, mail and e-mail from 7th, April to 15th May. A total of 355 out of 4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08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with SPSS 19.0 program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as set on 0.05.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compani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social network. And social network explained 25.9% of the job performance.
Seco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in small-medium sized compani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knowledge sharing. And social network explained 23.6% of the job performa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was partially mediated by knowledge sharing.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social network was moderated negatively by the level of network accessibility.
Based on the conclusions aforementioned,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rs were suggested
First, it needs to investigate potential variables which affect to job performance that were not researched in this study.
Second, it needs to investigate the flows of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transfer and creation process through analysis of perfect network in the organization.
Third, it needs to develop network accessibility measurement scale in various aspec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twork accessibility to the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t needs to compare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research model to the large corporation, public institutes, and NGO.
Fifth, it needs to give organization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network accessibility through using various intervention such as training programs.
Sixth, it needs to be further research regarding job performance, social network, knowledge sharing and network accessibility to the practice filed.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60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