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농가의 6차산업화 활동 참여 유형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Choice in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Farm Incom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동환-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7-07-14T06:57:58Z-
dc.date.available2017-07-14T06:57:58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00000014244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617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경제사회학부, 2017. 2. 안동환.-
dc.description.abstract국내 농업은 우루과이 라운드, WTO 협정 및 여러 국가와의 FTA 타결 등 시장개방화로 인해 농업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농촌지역은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농업생산력 저하 문제가 대두되어 농업소득 평균 증가율의 하락 및 도·농간 소득 격차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국내 농업·농촌은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른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농업·농촌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농촌지역에서는 새로운 소득 창출원 발굴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6차산업화가 전개되고 있다.
6차산업화는 1990년대 중반 일본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농촌 지역 주민들의 주도하에 지역 내의 자원을 활용하여 1차산업인 농업생산, 2차산업인 가공, 3차산업인 서비스업을 결합시켜 농업의 다각화 및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6차산업화는 국내에서 비교적 최근에 시행된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농업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영세농 및 고령농 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농업 가치의 재발견, 소득향상에 따른 여가 선용 문화 여건 및 환경의 변화로 6차산업화와 관련된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처럼 6차산업화와 관련된 지표들이 계속 확대되었고 그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6차산업화에 대한 통계자료의 부재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이 정성적인 방법으로 특정 참여 유형 및 지역범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시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의 『농업·농촌 6차산업화 기초실태조사』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6차산업화 실천 농가의 현황을 파악하고, 개별 농가와 지역의 어떠한 특성이 6차산업화 참여유형 선택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각 유형 간 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관련 정책 수립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우선 6차산업화 활동 참여 유형 결정요인은 종속변수의 선택지가 다양할 경우 사용이 가능한 다변량 프로빗 모형(Multivariate Probi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가 되는 6차산업화 참여유형을 직매장, 농산물 가공, 농촌체험관광, 농가식당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귀농·귀촌여부, 지역축제 방문객수는 모든 유형에 있어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재배작목이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농가소득 다각화 정도, 6차산업화 종사경력, 6차산업화 농가비율, 정보화 농가비율은 대체적으로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농산물 가공, 농촌체험관광에 대해서는 이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편 각 참여유형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 가공은 어떤 유형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농촌체험관광-농가식당과 같이 비교적 연계성이 높은 유형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은 물론 상관계수 역시 크게 나타났다.
6차산업화 참여농가 성과 결정요인 분석은 개별농가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도 함께 반영하여 분석할 수 있는 위계선형모형(multilevel/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농업소득과 6차산업화 사업소득을 합친 농가소득을 활용하였으며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특용·약용작물 재배농가, 축산농가에 해당할 경우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차산업화 결합유형에 따른 소득향상효과는 전 유형을 다 운영하는 농가에 비해 한 가지 유형 혹은 비교적 연계성이 떨어지는 유형들을 선택하여 운영했을 경우 소득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6차산업화 종사경력, 6차산업화 인지정도, 정보네트워크는 소득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예상과 달리 농가소득 다각화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각 결합유형별로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수준 변수는 친환경농업 농가비율, 농가호당 경지면적,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가 있을 경우, 정보화 농가 비율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만, 6차산업화 농가비율도 예상과 달리 비율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지역 내 다양한 6차산업화 종사경력 농가, 결합유형이 존재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향후 6차산업화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서는 유형별로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특성 역시 6차산업화의 참여 유형 선택 및 소득 향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개별농가의 육성뿐만 아니라 지역특성 역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 소속여부 역시 6차산업화 참여 및 소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향후 지역단위의 6차산업화 추진 시 이들 조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및 활용을 통해 6차산업화 시행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Korean agriculture has faced many problems such as increasing uncertainties of farm income, widened income disparity between urban workers and farmers due to globalization, decreasing population, and aging phenomenon in rural area. Thus,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troduced a new agricultural policy,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whose final goal i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o revitalize rural economy, and to improve a quality of life among rural community members.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firstly began from Japan in the mid of the 1990s. It is a concept of converging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in agricultural field. However, in contrast to the general definition of the three-sector theory, this concept requires the involvement of rural community members and use of local resources. In this manner, this strategy can help farmers to diversify their farm income resources and create added value. Although this policy has been implement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other agricultural policies in Korea, its effects are remarkable,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creation of job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and women farmers. In addition, the demand for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has significantly grown because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increased leisure time.
In spite of its importance, there is littl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same. Consequently, most previous studies rely on a qualitative data and are limited to some specific categories and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decision making of individual farm households when they choose types of 6th industrialization activities in agriculture using a statistical method.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correlations among the types and the determinants of farm incom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ight provinces in Korea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 farm household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hoices among types of 6th industrialization activities in agriculture,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employs multivariate probit model, which is a useful tool if there are many alternatives and one can choose them simultaneously. For the purpose, four dependent variables are set as types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
dc.description.abstractdirect marketing, processing agricultural products, agritourism, and farm restauran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eople who return to rural community and the number of visitors at local festiv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a choice for all the types. However, sex and cultivated plants affect each type in different ways. Also, the degree of farm income diversification, years of practicing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regional proportion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information accessability generally contribute farm households to choose direct marketing and farm restaurant yet, for process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agritourism, those factors affect oppositely. The correlations of each type reveal that processing agricultural product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other types. Meanwhile, it is estimated that if the two types, for instance, agritourism and farm restaurant, are expected to be operated together, they are not only positively related but also have a larger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farm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onditions affect farm income using multilevel/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farm income, which is defined as the sum of income from on-farm and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ctivities. The result shows that men, younger farmers, cultivating oil-seeds, mushroom and medicinal crops, and stockbreeding contribute to obtain higher farm income.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integration types of 6th industrialization activities in agriculture lower farm income if a farm household incorporates only one type or partial integration compared to the integration incorporating all types of activities together. Although farmers operate a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tegration, it lowers their income if the integration has a relatively weak connection. Years of practicing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knowledge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producers union participation decision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and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rm incom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dc.description.abstractthe rate of organic farms, cultivated acreage per farm household, a city that has population more than 500,000, and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lso contribute to obtain higher farm income. However, farm income diversification and the regional proportion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do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arm income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ffects of each type for farm income are different and needed to be estimated by setting models separately.
In sum, for invigoration and burgeon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 differentiated policy for farmers considering not only the types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but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producers union participation decision i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choosing types and increasing income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us,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can be achieved efficiently by appropriate and active governmental supports for producers un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방법 3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5
제 4 절 논문의 구성 8
제 2 장 6차산업화의 개념 및 현황 10
제 1 절 6차산업화의 정의 및 유형 10
제 2 절 국내 6차산업화 현황 14
제 3 장 6차산업화 참여유형별 결정요인 분석 28
제 1 절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28
제 2 절 분석결과 37
제 4 장 6차산업화 참여농가 성과 결정요인 분석 44
제 1 절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44
제 2 절 분석결과 51
제 5 장 결 론 59
제 1 절 요 약 59
제 2 절 6차산업화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 62
참 고 문 헌 65
Abstract 6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4094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6차산업화-
dc.subject농가소득-
dc.subject결정요인분석-
dc.subject다변량프로빗모형-
dc.subject위계선형모형-
dc.subject.ddc338-
dc.title농가의 6차산업화 활동 참여 유형 및 성과 결정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Choice in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Farm Incom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unjung Le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72-
dc.contributor.affiliation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dc.date.awarded2017-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