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에 관한 미술교육의 문제점: 중등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Study on problems appeared in the art textbooks of South Korea concerning tradition: Focused on secondary education of visual a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덕현

Advisor
김형숙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술교육+전통+전통미술+전통문화+교육과정+교과서+정체성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교육전공), 2012. 8. 김형숙.
Abstract
이 논문은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에 관한 내용을 어떻게 서술해 왔는지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교과서 연구에서 주로 수행해 온 내용 체계 분석과는 달리, 텍스트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역사적 배경과의 관련 속에서 고찰하여 전통에 대한 인식의 사회적 기원을 추적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과 관련하여 어떤 내용을 다루어 왔는가?
둘째,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의 의미를 정의한 주체는 누구였으며, 어떤 목적을 위해 전통을 강조해 왔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1차부터 7차 교육과정에서 전통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교육 목표와 지침을 살펴보며 국가가 전통문화 교육을 강조한 목적과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중등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태도와 서술 방식을 반성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다양한 계층의 관심과 학계의 연구에 따라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이 확장되어 갔지만, 미술 교과서에서는 그러한 변화가 더디게 반영되었으며 고정된 인식 틀에 의거해 기존의 지식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 고정된 인식 틀은 정치·문화·사상의 흐름과도 관련되어 복잡하고도 튼튼한 구조를 가진다.
둘째, 교과서에 실릴 지식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 주체는 국가였던 바, 국가는 전통문화를 국민 통합, 정신적 국력 배양, 또는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여겨 왔기 때문에 이 목적에 충실히 봉사하는 내용은 선택되고 그렇지 않은 내용은 배제되었다. 국민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문화의 내용은 과거의 찬란한 문화유산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며, 정신적 국력 배양을 위한 내용은 주로 외세(일본 또는 서양)에 대항하여 주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목적에서 국가가 지정한 문화재와 그에 관한 역사적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의해 전통문화를 강조했기 때문에, 그 내용을 서술할 때 국수주의적 태도를 피할 수 없었다. 또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내용은 한국의 이미지를 해외에 홍보하고 관광 및 문화 상품 수출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염두에 두고 전통문화를 다룬다. 이러한 목적에 의해 강조된 전통문화는 타자의 취향에 맞게 변형되거나 단순화될 위험을 안고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교육적 문제는 이 세 관점 모두 국가에 가져오는 이득을 기준으로 전통문화의 가치를 매기며 이미 결론 내려진 지식으로 이를 제시하기 때문에, 편협한 시야를 낳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삶에 비추어 전통의 가치를 이해하고 재해석할 기회를 박탈한다.
셋째, 특정 시기에는 국가의 영향력보다 미술계의 독특한 관점의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교과서도 존재한다. 이를 형식주의적 관점으로 규정할 수 있는데, 이 관점에 입각하여 전통에 관한 내용을 다룰 때에는 과거의 미술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요소, 즉 재료와 기법, 조형 요소와 원리라는 측면에서만 전통문화를 조명한다. 이러한 태도는 국가에 의한 전통의 도구화 현상을 일면 극복한 것처럼 보이지만, 역사적·문화적 맥락을 배제하고 전통에 관한 지식에 단편적 이미지들을 대응시켜 그 의미를 고립시킴으로써 마찬가지로 학습에서 일어나야 할 사고의 과정을 차단시킨다.
미술 교과에서 전통문화를 다루는 목적은 단지 주체성과 정체성 확립에만 있거나 전통미에 대한 조형적 이해에만 있어서는 안 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미술 교과서에서 전통에 대해 보였던 편협한 태도를 반성하고, 전통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쇄신과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인식의 변화와 그 방향을 모색한다.
This research is a study to contemplate how Korean art textbooks have presented the contents concerning tradition, and to analyze related problems. Unlike existing studies on textbooks which analyzed how the contents are organized together, it was intended in this study to trace back to the social origins of Koreans recognitions about tradition by analyzing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statements describing traditional culture in the art textbooks. In the whole process of this contemplation, there were two underlying questions considered:
First, throughout the past periods of curricula, what were the contents of tradition in the textbooks?
Second, by whom have the meanings of tradition been defined, and for what purpose have they been emphasized in the textbooks?
To answer these questions, it was, first,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overnments purpose of emphasiz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essential content of the education by looking into the curricula of the past (the 1st through 7th). And then,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a refl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extbooks published in those periods, focusing on the authors attitudes and manners of writing about tra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although knowledg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d been expanded due to the research of various classes of people including artists and art historians, it took time for those efforts to make actual changes to the contents in the texbooks. There was an explicit tendency to repeat or reproduce the existing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formats of knowledge that were already set. These formats of knowledge have a complicated and strong structure, which is related to the polit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flows of the nation and the world around it.
Second, the body that ha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in selecting knowledge on the textbooks was the government. Because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eans of enhancing national integration, mental power of the nation,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contents that well serve these purposes have been selected, while others have been excluded.
In the selec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for these purposes, the government focused on the history of overcoming national crises and national cultural assets. These cultural assets wer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in an attempt to keep the national identity strong and free from foreign influence. Emphasizing traditional culture for these purposes resulted in the attitude of nationalism and ethnocentrism. In addition, much of the content selected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was focused on economic value which could be gained by promoting the image of Korea and increasing the export of cultural products throughout the world. Emphasizing traditional culture for this kind of purpose has some danger, in that the contents may be altered or over-simplified to fit into the taste of foreign people.
Besides, there lies a lasting educational problem, which is more important to the individual learners. The attitudes of measuring the value of tradition only by the profit it brings to the nation and presenting the knowledge of it as a form of final conclusion not only drive learners to have a narrow view about tradition, but also deprive them of the opportunities to appreciate and reinterpret the value of it in their daily lives.
Third, in certain periods, there are textbooks in which the influence of the art worlds unique perspective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government. This tendency can be defined as formalism. In treating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primary focus lies on the visual factors shown in the traditional art works such as material, technics and basic principles of making visual images. This tendency could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overcoming the attitudes of nationalism, but there is a similar problem in educational aspect. Presenting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formalism closes the meaning of tradition off to the process of thinking, which is essential in education, by exclu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art works and connecting certain visual images to the tradition.
Invoking patriotic spirit,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understanding the visual beauty of tradition can and should be the positive effects of art education, but they should not be the whole purpose of teaching tradition in Korean schools. In this study, a critical review was conducted to look back into the narrow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statements found in art textbooks and to seek the directions toward education that will lead us to the persistent effort of renovation and creation through tradi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2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