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무용전공학생들의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성호-
dc.contributor.author김미진-
dc.date.accessioned2017-07-19T02:15:34Z-
dc.date.available2017-07-19T02:15:34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877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306-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4. 2. 권성호.-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자기효능감 및 무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대전, 광주, 울산, 경북 지역의 예술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 36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완벽주의를 제외하고는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의 모든 하위 요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각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완벽주의는 무용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완벽주의는 무용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완벽주의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완벽주의는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무용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의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자기효능감이 완벽주의와 무용만족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완벽주의와 무용만족도 두 변인 사이를 중재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 문제 7
4.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1. 완벽주의의 개념 9
1) 완벽주의 9
2) Frost 의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FMPS) 10
3) Hewitt & Fle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HMPS) 11
4) 개인기준 / 평가염려 완벽주의 11
2. 자기효능감 13
1) 자기효능감의 정의 및 개념 13
2) 자기효능감의 형성 15
3) 자기효능감의 차원 16
3. 무용 만족도 17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조사 도구 21
1) 완벽주의 척도 21
2) 자기효능감 척도 24
3) 무용만족도 27
3. 연구절차 30
4. 자료 분석 30
5. 연구의 윤리적 검증 31
Ⅳ. 연구결과 32
1. 각 변인의 기초 통계량 32
2.배경변인(성별, 입상경력)에 따른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34
1) 성별에 따른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34
2) 입상경력에 따른 완벽주의성향과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35
3. 각 변인 간 영향관계 검증 36
1)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 영향관계 36
4.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38

Ⅴ. 논의 40

Ⅵ. 결론 및 제언 44
1. 결론 44
2.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 57

표 제목
표 1. 연구대상자의 집단별 인원 비율 20
표 2. 완벽주위 척도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2
표 3. 자기효능감 척도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5
표 4. 무용만족도 척도 최종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8
표 5.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의 기술통계량 32
표 6. 성별에 따른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t검정 결과 34
표 7. 입상경력에 따른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ANOVA 결과 35

그림 목차
그림 1. 연구모형 7
그림 2. 자기효능이론(Self-efficacy theory, Bandura, 1977) 15
그림 3. 완벽주의 확인적 요인분석 23
그림 4. 자기효능감 확인적 요인분석 26
그림 5. 무용만족도 확인적 요인분석 29
그림 6. 완벽주의와 무용만족도의 관계 36
그림 7.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37
그림 8. 자기효능감과 무용만족도의 관계 38
그림 9. 연구모형의 요인관계 구조 3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096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완벽주의-
dc.subject자기효능감-
dc.subject무용만족도-
dc.subject.ddc796-
dc.title무용전공학생들의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 무용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iv, 62-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