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회성 운동의 형태가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중 혈압과 투석 간 혈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ute Exercise Modality on Intradialytic and Interdialytic Blood Pressure in Hemodialysis Pati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준식

Advisor
김연수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혈액투석운동투석 중 혈압투석 간 혈압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5. 8. 김연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운동이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 중 혈압변화와 투석 간(투석 후 20시간)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운동 중재(유산소성 운동, 저항성 운동, 비처치)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후속연구로 투석 중 저혈압 발생환자들에게 운동을 적용시키고 혈압 변화양상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H병원에서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으며, 건강상의 이상이 없는 만 18세 이상의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1명의 혈액투석 환자들은 투석 후 첫 2시간 이내에 2세트의 유산소성 운동 또는 저항성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각 세트 사이에는 1시간의 휴식시간을 두었다. 모든 환자들은 총 3주에 걸쳐 각각 3가지 중재(유산소성 운동, 저항성 운동, 비처치)에 참여하였는데, 트레이닝의 잔류효과를 피하기 위해 각각의 중재마다 최소 일주일간의 간격을 두고 실시하였다.
투석 중 혈압의 측정은 매 30분마다 측정되었으며, 투석 중 운동 시에는 10분 간격으로 혈압을 측정하였다. 투석 간 혈압의 측정은 24시간 활동성 혈압계를 착용하여 매 30분 간격으로 총 20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과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및 사후검증(post hoc test)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산소 운동에서 첫 번째 운동시점을 제외하고,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 모두 운동 중에는 혈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 후에는 혈압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둘째, 각 시점에 따른 운동 중재 간 비교에서 저항성 운동만이 비처치 중재와 비교하여 수축기 혈압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5), 이완기 혈압의 양상은 수축기 혈압의 양상과 유사하였다.
셋째, 투석 후 20시간 혈압에서,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은 비처치 중재와 비교하여 주간 수축기 혈압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117.1±26.5mmHg, 124.8±27.1mmHg vs 137.5±30.9mmHg, p<.05), 이완기 혈압의 양상은 수축기 혈압의 양상과 유사하였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3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