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체육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라이프스킬 습득 메커니즘 탐색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지웅

Advisor
이옥선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라이프스킬라이프스킬 습득 메커니즘초등체육수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6. 2. 이옥선.
Abstract
rooting- related to self-development, mingling- related with establishing relationships, and fruiting- related to solving problems.
Lastly, there were five stages of the progression of students acquisition of life skills 1) Meeting: students recognizing life skills by explanation and demonstration, 2) Encountering: experiencing various situations when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nd observation of others experiences, 3) Befriending: students modelling what they wish to acquire via teachers or friends by participating and practicing in intended activities, 4) Reflecting: students self-reflect upon their practiced life skills and receive feedback from teachers or friends, 5) Becoming one: continually and repeatedly apply life skills in P.E class and in life.
This process was not one way process but could be a both-way process in terms of a range of factors including teacher factor (i.e., perspective toward the PE class and being a role model), student factor(i.e., the level of students sport skills, network, self motivation, and support), context factor(i.e., atmosphere of the class and type or characteristics of the sport) and interaction factor(e.g., interactions between each factors.)
Building on these key finding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or students to acquire skills teachers need to restruc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prepare intended and systemic P.E classes. We need to understand these processes and adjust factors efficiently for acquisition of life skills. Secondly, for building appropriate context affluently for students to practice life skills, providing sufficient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for practice and acquisition of their life skills, we need to assure regular and stable time and place for life skill education. Thirdly,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life skil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ow sports skills,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Also research into the relation about influencing factors between acquired life skills and research on general mechanism for life skills incorporated into after school P.E classes and elite sport clubs are needed.
최근 우리 사회는 입시위주의 경쟁 교육, 학교폭력과 청소년 범죄의 급증, 우울증과 자살율의 증가와 같은 다양한 교육현장의 문제에 봉착해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라이프스킬 교육이 주목 받고 있다. 라이프스킬 교육은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 이웃 등 각기 다른 환경 속에서 일상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로써 삶과 밀접한 구체적 맥락에서 배우는 인지적, 행동적, 신체적 삶의 기술이다(이옥선, 2012).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 메커니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1)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은 어떻게 구성되고 실천되는가? 2)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습득한 라이프스킬은 무엇인가? 3)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초등체육수업에서 라이프스킬은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습득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화기술지 연구를 바탕으로 한 자기 수업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로는 연구자이자 체육교사인 강유하(가명) 교사와 강유하 교사가 가르치는 체육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남학생 4명, 여학생 4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현장 노트, 교사 반성일지, 학생 체육일기, 심층면담, 비디오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활용하여(Creswell, 2009)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2009 개정 초등 체육과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한 체육수업을 실천하였다. 또한, 재구성을 통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도달함과 동시에 목표한 라이프스킬을 충실히 습득할 수 있도록 학생의 관심과 수준을 고려하고, 신체활동가치 영역의 균형 있는 구성, 협력 중심의 활동 구성 등의 재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이고 친숙한 예시의 제공, 자유로운 연습과 실천의 장 제공, 모둠 위주의 활동 구성, 반성의 기회 제공의 네 가지 수업의 주안점을 가지고 수업을 실행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습득한 라이프스킬에는 목표설정과 노력, 자기관리, 나의 역할 다하기와 같은 자기 성장과 관련된 뿌리 내리기 영역, 배려하기, 소통하기, 함께하기와 같은 관계 맺기와 관련된 어우러지기 영역, 문제를 파악하고, 수용하고, 현명한 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열매 맺기 영역으로 크게 세 영역으로 범주화 되었다.
셋째, 라이프스킬이 습득되어지는 과정은 5단계로 나타났다. 설명과 시범을 통해 라이프스킬이 무엇인지 인식하게 되는 1) 라이프스킬 만나기, 학생의 경험을 통해 라이프스킬 습득에 대한 동기가 유발되는 2) 라이프스킬 마주하기, 교사나 친구를 모델링하고 구조화된 수업 활동에 참여하면서 라이프스킬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3) 라이프스킬과 친해지기, 자신이 연습한 라이프스킬에 대해 평가하고 반성하는 4) 라이프스킬 돌아보기, 라이프스킬을 체육수업 외의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라이프스킬을 실천하는 5) 라이프스킬과 하나되기의 과정을 통해 라이프스킬을 습득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반드시 일방향의 진행이 아닌, 중도에 중단 및 재개되기도 하였으며 습득된 라이프스킬은 다시 환류 되어 차후의 라이프스킬 습득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러한 습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1)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점, 교사의 실천과 모범과 같은 교사 요인, 2) 학생의 스포츠스킬, 관계망, 자발성, 학생 주변의 지지와 같은 학생 요인, 3) 스포츠 종목의 특성과 수업 분위기와 같은 맥락 요인, 이들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4) 상호작용 요인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을 위해서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라이프스킬을 가르치기 위한 체육수업을 의도적이며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 라이프스킬 형성 과정과 요인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을 촉진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라이프스킬 교육 측면에서 학생들이 본인이 습득한 라이프스킬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기회와 적합한 맥락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라이프스킬 교육을 위한 정기적이고 안정적인 시간과 장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지속적이고 일관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후속 연구 측면에서 스포츠스킬, 자존감, 자발성이 낮은 학생들에게 라이프스킬을 효과적으로 습득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라이프스킬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습득된 라이프스킬 영역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라이프스킬이 실천적 형태의 지식을 넘어 학생의 인성과 도덕성으로 온전히 통합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후속되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며, 방과 후 스포츠클럽, 엘리트 체육, 생활체육 등의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라이프스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Youth suicide and youth crime including school violence are one of the biggest social problems facing Korean society today. In this context, life skill educ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has paid attention to solve wider social problems including school bullying and anti-social behaviour. Accordingly, life skill education is needed to develop necessary skills for youth to gain authentic skills for a successful lif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tudents acquisition mechanism of life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Adopting an ethnography research methods, this study took 9 participants, of whom 8 were the students (4 boys, 4 girls) and a teach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ield notes, teachers reflective journal entries, students journal, in-depth interviews and video reco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method(Creswell, 2009).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er re-organized and practice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achieving life skills education to a set term of one year. Also, through this re-organization, students were able to achieve the National Curriculum goals and life skills at the same time. This goal was met by the 3 re-organization criteria. They are: 1)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and levels, 2) maintaining balance among diverse curriculum areas, 3) focusing on cooperation-oriented activities. In the class, the focus was specifically run with four practices
providing specific examples, opportunities of practices and allowing group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s.
Secondly, the life skills that students acquire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38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