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융(C. G. Jung)의 인격론을 통한 도덕 교육 연구 : A study on moral education through the personality theory by C. G. Ju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은이

Advisor
박찬구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분석심리학인격페르조나그림자아니마 · 아니무스자기실현내면 치유Junganalytical psychologypersonalitypersonashadowanima · animusself-realizationinner heal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6. 2. 박찬구.
Abstract
본 연구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강조한 융의 인격론이 갖는 도덕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고찰한다. 오늘날 삶의 방향을 잃고 우울과 불안 등의 신경증으로 고통 받는 많은 현대인들이 증가하면서 내면 치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업 스트레스와 가정 불화, 학교 폭력 등으로 내면에 상처를 입은 청소년들이 늘어나면서 자신에 대한 바른 이해와 내면 치유에 목표를 둔 도덕 교육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융은 분열된 인격으로 인한 자기와의 괴리를 고통의 원인으로 보고, 진정한 내면 치유를 위해서는 인격을 통합하여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는 융의 인격론이 자율적이고 통합적인 인격 형성이라는 도덕 교육의 목표와 부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도덕 교육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제시하였다.
프로이트와는 달리 융은 인간의 무의식이란 억압되어야 할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목표 지향성을 지닌 긍정적인 것이라 보았다. 융은 인간의 고통은 자신의 내면에 지닌 무의식의 창조적인 힘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융의 인격론은 인격의 구성 요소가 지닌 가능성을 실현하여 전체 인격의 전일성으로 나아가는 자기실현의 과정이 인간이 추구해야 할 삶의 목적으로 제시한다.
자기실현의 첫 번째 단계는 무의식을 접하기 이전에 자아의식과 페르조나를 형성하는 것이다. 자아의식과 페르조나가 형성된 이후에는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위해 페르조나와 자신을 분리하는 작업이 이어져야 한다. 두 번째 단계는 그림자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으로 자신의 열등한 부분을 받아들이는 용기와 겸손의 자세가 요구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아니마․아니무스를 인식하는 것이다.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남성은 내면의 섬세한 정감을 지닌 아니마를, 반대로 섬세하고 감성적인 여성은 내면의 사유와 판단과 같은 아니무스를 인식하여 균형 있는 인격을 지니는 단계이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자기와의 만남으로 그 사람이 지닌 개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즉, 자기실현이란 자기와 가까워지고자 노력하면서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연구자는 융의 자기실현 과정을 바탕으로 도덕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인격의 구성 요소를 활용한 도덕 교육이다. 바람직한 페르조나를 형성하기 위해서 도덕 교육에서는 학습자에게 사회에 통용되는 도덕규범을 가르치고 자신의 역할을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길러주어야 한다. 또한 내면에 있는 아니마․아니무스를 의식하여 남녀의 성 역할을 바르게 이해하고 남성성과 여성성을 균형 있게 다루는 양성성 교육을 실천할 수 있다.
둘째, 자기실현을 목표로 한 도덕 교육이다. 진정한 자신을 찾아 성숙한 인격을 형성하는 자기실현의 과정은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고자 하는 인성 교육과 닮아 있다. 자기실현은 맹목적인 도덕성을 모방하지 않고 내면에 담긴 도덕적 잠재력을 발달시켜 내면의 양심의 소리에 따라 행동하려는 윤리적 행위이다. 또한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받아들이면서 끊임없는 고통과 인내를 경험하는 과정은 자기실현이 곧 도덕 교육의 장(場)임을 말한다. 자기실현은 자신의 내면만을 살피는 개인지상주의가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조화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 교육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내면 치유를 위한 도덕적 감정 계발 교육이다. 진정한 자기 대면을 통해 내면을 성찰하고 치유하는 과정은 자기를 이해하는 도덕적 감정 계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덕 교육에서는 융이 내면 치유를 위해 활용했던 변증법적 대화 방법과 상징을 활용한 예술 활동, 적극적 명상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덕 교사는 내면의 치유자로서 학습자의 자기실현을 돕고 내면 치유의 과정에 참여시키며 특히 교사 스스로가 자기실현의 과정을 체험해야 한다.
의식과 무의식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전체인격을 실현하는 것을 강조한 융의 인격론은 자율적이고 통합적인 인격 형성을 목표로 한 도덕 교육과 맞닿아 있다. 또한 오늘날 내면 치유의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융의 인격론은 도덕 교육의 정의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물론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 교육에서 무의식과의 만남을 다루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의식과 무의식의 조화를 통해 진정한 자기 자신을 만나는 것은 내면의 상처를 치유하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자 인간의 평생 과업이다. 따라서 도덕 교육의 범위를 인간의 삶 전체로 넓히고 자기실현을 이끄는 도덕 교육의 방안에 대해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of the personality theory by Jung, emphasizing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seeking for true self. With the increase of modern people suffering from neurosis like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losing the direction of life, today, the interest in the inner healing is also increasing. Especially, as the adolescents suffering the internal wounds from academic stress, family trouble, and school violence are increasing, it would be necessary to emphasize moral education with a goal of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 inner healing. Viewing the gap with oneself caused by the divided personality as the cause for pain, Jung argues that the real self should be sought for by combining personality for the true inner healing.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Jung's personality theory accords with the goal of moral education as the formation of autonomous and integrated personality, the researcher has suggested that how it could be applied to moral education.
Contrary to Freud, Jung considered human's unconsciousness is something positive with the goal directivity for the future, instead of something negative that should be suppressed. Arguing that human's pain can be overcome by the unconscious creative power from inside, Jung showed an infinite trust on human. Therefore, the personality theory by Jung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moving toward the wholeness of the whole personality is the purpose of every human's life, by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the personality components.
The first step of self-realization is to form self-consciousness and persona before facing unconsciousness. After forming self-consciousness and persona, the separation of persona from oneself should be done for the bala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econd step is to cognize and accept shadows, requiring the brave and modest attitude accepting their own inferior parts. The third step is to cognize anima and animus. It is the step forming the balanced personality when rational and reasonable men cognize anima showing the delicate feeling of inside while delicate and emotional women cognize animus like thinking and judgment of inside. Lastly, the fourth step is to realize the individuality by meeting with oneself. In other words, self-realization is to bala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y putting efforts to be close to oneself.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methods applicable to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by Jung like following. First, it is the moral education using the composing elements of personality. To form desirable persona, the moral education should teach learners moral standards used in the society, and also how to desirably perform their roles. Also, cognizing anima and animus inside, the androgynous education harmoniously dealing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also correctly understanding gender roles can be practiced.
Second, it is the moral education with the goal of self-realization.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forming mature personality by finding the true self looks similar to the personality education cultivating decent human beings. Self-realization is a moral behavior following the sound of the internal conscience by developing the internal moral potential without recklessly copying morality. Also,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ontinuous pain and patience by accepting the true self means that self-realization is the place for moral education. Self-realization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education in the aspect of emphasizing consideration and harmony with others, instead of the individualism only caring for their own inner sides.
Third, it is the moral emotion development education for the inner healing. The process of introspecting and healing inside by meeting with the true self can be connected to the moral emotion development understanding themselves. The moral education can actively use the dialectical dialogic method used for the inner healing by Jung, the artistic activities using symbols, and the active meditation. As healers of inside, ethics teachers should help learners' self-realization, let them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the inner healing, and especially, experience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their own.
The personality theory by Jung, emphasizing the realization of the whole personality through the harmon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s in contact with the moral education with the goal of forming the autonomous and integrated personality. Also the personality theory by Jung, grabbing attention as the measures for the inner healing can complement the affective aspect of moral education. Of course, in moral education targeting adolescents, it is not easy to handle the meeting with unconsciousness. However, meeting with the true self based on the harmon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s the most basic way to heal the internal wounds and also the lifelong task for human. Thus, it is expected to more actively seek for the measures for moral education that can extend its scope to the whole human's life and also lead self-realiz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