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荀子 禮論 硏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환-
dc.contributor.author이운주-
dc.date.accessioned2017-07-19T02:24:59Z-
dc.date.available2017-07-19T02:24:59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58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47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6. 2. 김병환.-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荀子 禮論 硏究라는 연구 주제에 부합되게 순자 禮論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사회적·도덕적 함의, 도덕철학적 함의를 논하고 이로부터 순자 禮論이 함유하고 있는 도덕교육적 요소와 그 가치를 밝혔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먼저 순자 禮論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기 위해 순자 사상이 등장하고 형성된 역사적·사상적 배경을 논한 후, 유가적 禮개념의 발전 과정에서 순자의 禮論이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순자는 禮의 사회·정치규범적 성격과 도덕교화적 성격을 모두 중시하였다. 우선 순자는 禮의 외재적 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며 禮를 통해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평화로운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순자는 禮를 통해 사람들을 敎化하여 도덕적 완성을 이루어 聖人이 되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순자 禮論의 도덕철학적 함의를 밝히기 위해 禮의 도덕철학적 기초, 禮의 도덕적 공능, 禮를 통해 도달하는 도덕적 이상인격의 경지를 차례대로 논하였다. 우선 情, 知, 義, 誠개념이 각각 禮의 성립 근거, 인식 능력, 실천 원칙, 초월적 성격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또한 禮의 도덕적 功能을 분별과 표준[分別標準], 욕구를 절제하고 감정을 올바른 방향으로 기르는[節欲養情], 기질을 다스리고 마음을 기르는[治氣養心], 선한 행위를 실천함으로써 덕성을 이루는[積善成德] 총 네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禮를 통한 도덕적 이상인격의 실현에 대해 인위적 노력을 통한 본성의 변화[化性起僞], 감정과 형식의 조화와 통일[情文統一], 앎과 예의 자연스러운 합치[知通統類]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순자 예론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덕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이라는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순자 예론의 함의를 현대의 도덕 교육에 반영한다면 우리의 문화와 체질에 보다 친숙한 또 하나의 도덕교육적 지평이 열릴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동기와 연구목적 1
2. 연구 범위와 연구방법 5

Ⅱ. 순자 禮論의 이론적 기초 9
1. 순자 禮論의 역사적사상적 배경 9
1) 춘추에서 전국시기로의 시대적 전환 9
2) 仁治에서 禮治로의 사상적 전환 12
2. 유가적 禮의 발전 15
1) 공자 이전의 禮 15
2) 공자의 禮論 17
3) 맹자의 禮論 22

Ⅲ. 순자 禮論의 사회적도덕적 함의 25
1. 사회정치적 규범으로서의 禮 25
1) 인간 본성과 사회정치 규범의 필요성 25
2) 禮의 사회정치 규범적 성격 34
2. 도덕교화 원리로서의 禮 37
1) 도덕적 완성 가능성과 善의 근원 38
2) 禮의 도덕교화적 성격 44

Ⅳ. 순자 禮論의 도덕철학적 함의 49
1. 禮의 도덕철학적 기초 49
1) 禮의 성립 근거: 情 49
2) 禮의 인식 능력: 知 57
3) 禮의 실천 원칙: 義 62
4) 禮의 초월적 성격: 誠 68
2. 禮의 도덕적 功能 76
1) 분별(分別)과 표준(標準) 76
2) 절욕(節欲)과 양정(養情) 84
3) 치기(治氣)와 양심(養心) 93
4) 적선(積善)과 성덕(成德) 101
3. 禮를 통한 도덕적 이상인격의 실현 107
1) 인위적 노력을 통한 본성의 변화[化性起僞] 107
2) 감정과 표현의 조화와 통일[情文俱盡] 112
3) 앎과 예의 자연스러운 합치[知通統類] 119

Ⅴ. 순자 禮論의 도덕교육적 함의 127
1. 도덕교육의 목표 127
1) 배움을 통한 도덕적 완성 추구 127
2) 관례적 도덕성과 반성적 도덕성의 조화 130
2. 도덕교육의 내용과 방법 134
1) 禮의 실천 134
2) 도덕적 환경 조성 137
3) 스승[師]의 가르침 140

Ⅵ. 결론 144

참고문헌 148

ABSTRACT 15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603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순자-
dc.subject예론-
dc.subject도덕교육-
dc.subject.ddc170-
dc.title荀子 禮論 硏究-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51-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윤리교육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