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東醫寶鑑』의 生命觀 硏究 : 『동의보감』의 생명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경

Advisor
김병환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동의보감생명관생명윤리의철학한의학윤리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과, 2016. 8. 김병환.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東醫寶鑑』의 생명관을 탐구하여 『東醫寶鑑』의 의철학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도가와 유가의 생명 담론에 대하여 논함으로써 철학적 배경을 탐색하고, 『東醫寶鑑』 생명관의 이론적 기초를 파악한다. 이를 근간으로 『東醫寶鑑』 생명관의 의철학적 특징에 대하여 밝힌 뒤, 이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도덕교육적 함의에 대하여 논한다.
먼저 유가와 도가의 생명철학적 담론을 통해 『東醫寶鑑』의 생명관이 철학적으로 터하고 있는 기초를 파악한다. 유가의 생명사상은 인간 본연의 생명력과 본성 회복을 중시하는 修養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東醫寶鑑』의 생명관에 영향을 주었다. 도가에서는 인간을 心身의 전일적인 생명체로 볼뿐 아니라 지나친 욕망의 조절 방안으로써 養生의 법을 제시하는데, 이는 『東醫寶鑑』의 생명관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東醫寶鑑』의 이론적 기초로서는 天人感應論과 養生論, 精氣神論, 心身一元論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天人感應論과 養生論을 바탕으로 『東醫寶鑑』에 나타난 順自然의 생명관에 대해 논한다. 두 번째로 精氣神論의 연원에 대해 설명하고, 『東醫寶鑑』에서의 精·氣·神은 氣를 중심으로 육체적인 영역과 정신적인 영역을 밀접하게 연관시킨다는 점을 논증한다. 세 번째로 서양의학과 대비되는 동양의학의 心身一元論에 대해 살펴보고, 『東醫寶鑑』의 養生論에서 드러나는 心身一元論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이를 근간으로 예방의학적 성격을 가지며 心身醫學의 체계를 확립한 『東醫寶鑑』의 의철학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東醫寶鑑』은 養生을 중심으로 예방의학 사상을 강조하였다. 다차원적인 養生을 통해 질병 예방을 강조한 未病論과 허준의 사상적 배경, 『東醫寶鑑』의 편제와 구성, 목차, 편집 의도 분석을 통해 養生醫學의 면모를 갖춘 『東醫寶鑑』의 특징을 논한다. 또한 『東醫寶鑑』은 心身醫學 체계를 확립하였다는 의철학적 특징을 가진다. 이를 기점으로 心身一元論은 사상적 영역뿐만 아니라 임상의 차원에서 실증됨으로써 비로소 생동하는 생명 사상이 된다. 『東醫寶鑑』에서는 心을 핵심으로 하는 藏象學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정신과 신체의 영역의 관계에 긴밀성을 부여함으로써, 心身醫學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경험적 사실에 의거한 진단과 처방의 원리와 예를 다수 수록함으로써, 실제 임상 의학에서 증명되는 합리적·경험적 특징을 갖추었다.
마지막으로 『東醫寶鑑』의 心身一元的 養生論과 有機體的 生命論의 측면에서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한다. 『東醫寶鑑』에서 강조하는 心身修養論은 개인의 내면을 건강하게 가꾸고 도덕성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도덕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생명을 전일적인 유기체로 보는 관점은 전체 생명과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생명 문제를 윤리적으로 이해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sets out to study the Donguibogam(東醫寶鑑) perspective on life, as well as its philosophy of medicine as a part of its overall view of life. In order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e for this, it is necessary first to explore the view of human life in Daoism and Confucianism.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thesis will look at the features of medical philosophy as a part of the view of life, and in terms of its implications for moral and ethical education.
First of all, through the lens of the Confucian and Daoist philosophies of life,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basis of the Donguibogam view of life. On one hand, the Confucian philosophy of life influences the Donguibogam as it focuses on cultivating the human mind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vitality of life and the betterment of human nature. On the other hand, humans are seen as holistic mental and physical living beings in Daoism. It also proposes the Daoist concept of Yangsheng(養生) as a way to suppress desire. In this way, Daoism is also linked inextricably with the Donguibogam philosophy of life.
The theories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天人感應], Yangsheng, Jing(精)․Qi(氣)․Shen(神), and Mind and Body Monism[心身一元] are suggest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Donguibogam. Firstly, this thesis will draw on the theories of Mutual Resonance between Tian and Human beings and Yangsheng to discuss adaptation in nature in view of the philosophy of life. Secondly, it will state the origin of the JingQiShen theory and will prove that Jing, Qi, and Shen have an interrelated associ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mental domains, focusing on Qi. Thirdly, the study will contrast the mind-body Monism theory in oriental medicine with modern medicine, and will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body Monism theory that emerges from Yangsheng in Donguibogam.
From this perspective, Donguibogam is characterized by a focus on Preventative Medicine, and is also established in the Psychosomatic Medical System. Donguibogam emphasizes the idea of Preventative Medicine, focusing mainly on Yangsheng. This study will show how the characteristics of Yangsheng comes through in Donguibogam through theory of Pre-Disease(未病論), which emphasizes the prevention of diseases in the multidimensional Yangsheng,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authors idea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structure, content, and editing intention.
Moreover, Donguibogam is also characterized by a Philosophy of Medicine, as it establishes the Psychosomatic Medical System. The Mind-body Monism theory holds to life Thoughts, not only affirming the existence of the Spiritual realm, but also the clinical medical area. Donguibogam organizes the theory of Psychosomatic Medicine more systematically to assert the importance of the link between the spiritual and physical areas, specifically through study of Hidden inner properties and theire external manifestations[藏象學], which concentrates on the mind. Moreover, Donguibogam contains a number of principles and examples in diagnosis and prescription based on empirical fact. It therefore has a number of reasonable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 verified in practical clinical data.
This study will conclude by exploring the implications for moral and ethical education of the perspectives of the Mind-body Monistic Yangsheng theory and of the Organismic Life Theory in Donguibogam. The theory of physical and mental cultivation emphasized in Donguibogam can serve as a moral educational resource by assisting an individual with the development of mental and physical faculties, as well as training ones sense of morality. Last but not least, the perspective which believes that life is holistic organism of body and mind helps one to build a great relationship with the other living things and to understand the issues of life more ethically.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4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