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통계영역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 개발 및 적용연구 :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struction to improve student's writing ability in statistic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연주-
dc.contributor.author양정은-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1:24Z-
dc.date.available2017-07-19T02:31:24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00000001714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58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수학교육과, 2014. 2. 유연주.-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의 사고와 언어가 동일시 될 수 있는지, 인간의 인지와 사고에 있어 언어의 위상은 무엇인지, 혹은 언어 없는 심상들이 존재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문제는 사고에 관한 논의에서 역사상 가장 끈질기고 광범위한 논쟁거리가 되어왔다. 현재 수학교육과 통계교육에서도 언어와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며, 수학의 다른 영역과 구분되는 통계의 본성에 주목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통계의 본성과 통계적 사고과정에 주목하였으며 논증(argumentation)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통계와 논증이 모두 맥락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과 자료로부터 출발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는 통계적 사고과정이 근거로부터 이유를 추론하고 이를 통해 주장을 지지하게 되는 논증의 구성과정과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에 통계적 사고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그 과정을 잘 드러내 주는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통계적 글쓰기(statistical writing)를 정의하였으며 논증 도식과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 검토를 토대로 통계적 글쓰기의 내용을 이루는 논증 구성요소를 정하였다.
한편 글쓰기는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박영민, 2003
-
dc.description.abstract박영목, 2008)이다. 따라서 의미 구성의 과정, 의미 구성의 주체와 관련된 본 연구에서의 지향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와 사고, 나아가 의사소통과 사고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반사적으로 서로의 발달을 촉진하는 관계에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또한 글쓰기에 관한 사회적 구성주의적 관점을 지지한다. 즉, 텍스트의 개념을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 및 규칙의 집합으로 규정하고 필자를 담화 공동체의 사회화된 구성원으로, 독자를 해석 공동체의 사회화된 구성원으로 본다. 따라서 글이 표면적으로는 개인이 쓰는 것처럼 보이지만, 개인이 완성한 글 속에는 공동체가 합의하고 있는 관습과 규칙들이 담겨 있다.
이러한 관점과 지향에 준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계 영역에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의 일환으로, 통계적 글쓰기수업을 구안하였다. 수업은 통계적 글쓰기의 과제수행, 토론, 고쳐 쓰기, 통계적 글쓰기의 방법 지도, 자기평가와 피드백의 6가지로 요소로 구성된다. 개발한 수업을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교 수학 우수아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4
II. 이론적 배경 5
1. 통계적 사고와 논증 5
1.1 통계적 사고 5
1.2 논증과 논증도식 9
1.3 통계적 사고와 논증의 연결 18
2. 통계적 글쓰기 19
2.1 통계영역에서의 글쓰기 19
2.2 통계적 글쓰기의 정의 22
2.3 통계적 글쓰기와 과제 24
3. 의미의 공동체적 구성 28
3.1 언어, 사고, 의사소통 29
3.2 의미의 구성과 글쓰기 32
3.3 공동체의 관습, 규범, 규칙 35
4. 글쓰기 지도에 관한 교과별 연구 43
4.1 수학과의 글쓰기 지도 연구 43
4.2 과학과의 글쓰기 지도 연구 48
4.3 국어과의 글쓰기 지도 연구 52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57
1. 연구 문제 1에 대한 연구 방법 57
2. 연구 문제 2에 대한 연구 방법 58
2.1 연구 질문 58
2.2 연구 참여자 58
2.3 측정도구 59
2.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64
3. 연구절차 및 일정 68
IV.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개발 69
1. 통계적 글쓰기의 활동 69
2. 통계적 글쓰기의 준거 72
2.1 통계적 글쓰기의 평가준거 72
2.2 통계적 글쓰기의 평가 준거별 세부 기준 83
3.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구성요소 84
3.1 통계적 글쓰기의 과제 수행 84
3.2 과제에 대한 토론 85
3.3 고쳐 쓰기 86
3.4 통계적 글쓰기의 방법 지도 87
3.5 자기평가 89
3.6 교사의 피드백 90
4.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적용 절차 92
V.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적용 및 효과 96
1.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적용 결과 분석 98
1.1 사전 통계적 글쓰기 과제 수행 적용 결과 분석 98
1.2 토론 수행 결과 분석 105
1.3 고쳐 쓰기 수행 결과 분석 115
1.4 통계적 글쓰기 방법 지도의 적용 120
1.5 자기평가 및 피드백 수행 결과 분석 126
1.6 사후 통계적 글쓰기 과제 수행 결과 분석 127
2. 통계적 글쓰기 수업의 효과 134
2.1 통계적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134
2.2 통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139
3. 통계적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140
3.1 수업에 대한 참여도, 흥미와 유용성 인식 140
3.2 수업에 대한 난이도 인식 142
VI. 결론 145
1. 요약 및 논의 145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제안 149
< 참고문헌 > 151
< 부록 1 >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지 165
< 부록 2 > 사전 통계적 글쓰기 과제 (1, 2, 3, 4) 168
< 부록 3 > 통계적 글쓰기 방법 지도 교재 176
< 부록 4 > 사후 통계적 글쓰기 과제 181
< 부록 5 > 수업에 관한 의식 질문지 183
Abstract 185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4135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통계적 글쓰기(statistical writing)-
dc.subject통계적 사고(statistical thinking)-
dc.subject논증(argumentation)-
dc.subject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dc.subject사회 수학적 규범(sociomathematical norm)-
dc.subject의미의 공동체적 구성(collective construction of meaning)-
dc.subject.ddc510-
dc.title통계영역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 개발 및 적용연구-
dc.title.alternative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struction to improve student's writing ability in statistic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ang, Jung Eu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ⅷ, 187-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수학교육과-
dc.date.awarded2014-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