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에 따른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연구-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 Effect of framing on Visual Materials Based on the Student's Previous Attitudes-Views on the Immigrant Worke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원규-
dc.contributor.author김유란-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7:41Z-
dc.date.available2017-07-19T02:37:41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115-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69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12. 8. 정원규.-
dc.description.abstract국문초록

경제성장과 세계화로 인해 우리나라로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편견완화를 목표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영상물이 활용되고 있다. 영상물은 학생들에게 이주노동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들 문제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주노동자에 대한 특정 주제나 내용을 강조하는 영상물 프레이밍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편견을 고착화 하거나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기 보다 자신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대상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능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까지 다문화 교육에서 활용된 영상물은 이주노동자를 동정이나 연민의 대상, 도움을 받아야하는 존재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프레이밍은 이주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태도를 활성화시켜 편견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되는 영상물의 프레이밍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과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영상물프레이밍과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영상물 교육에 대한 논의, 영상물 프레이밍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대상에 대한 태도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주 가 설] : 서로 다른 영상물 프레이밍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보조 가설 1] 사전 사회적 거리감이 같은 경우, 서로 다른 영상 프레이밍은 사후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을 다르게 한다.

보조 가설 2] 사전 사회적 거리감이 다른 경우, 서로 같은 영상 프레이밍을 사용해도 사후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은 다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능․동정 과 유능․존경 프레이밍의 영상물을 활용하여 유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 검증을 거친 결과, 주가설 , 보조가설 1, 2는 채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영상물의 프레이밍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활용되었던 이주노동자에 대한 영상물 프레이밍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영상물 프레이밍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편견을 완화하는 영상물 프레이밍을 제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거리감과 영상물 프레이밍과의 상호작용을 밝혀냈다는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들을 영상물에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로 인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은 의미를 만들어내는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하여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냈다.
셋째,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문화 교육이 실시되는 교육현장에서 찾아냈다는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긴 했지만 그것을 교육 현장에서 찾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에 활용되는 영상물 프레이밍과 학생들의 사회적 거리감과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서 활용되는 영상물 프레이밍의 문제점을 밝혀냈기 때문에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는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연구 대상을 인천지역으로 한정한 것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영상물 프레이밍을 활용하여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프레이밍을 제안해야 하며, 일회적인 유사 실험연구가 아니라 여러 번의 영상물 프레이밍에 학생들을 노출시켜 학생들의 내적인 태도 변화까지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다문화 교육, 프레이밍 효과, 이주 노동자,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 편견, 태도
학 번 : 2010-21475
-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

Effects of Framing on Visual Materials Based on the Students Previous Attitudes

- Views on Immigrant Workers -


Yu - Ran Kim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or: Jeong, Won-gyu, Ph.D.


With th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and globalization, foreign labors and immigrations by marriage are on a gradual rise. This has reinforced the educational need to understand many cultures and cultivate mutual respec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designed to help minimize any conflicts and bias with an aim to enhance social integration. Visual materials are used as the most common tool in the educational settings. Those video clips are useful for learners to understand immigrant workers cultures and their issues. However, certain framing methods that emphasize specific topics about foreign workers may lead to creating or solidifying the prejudice the student has had, because people tend to process newly gained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their existing knowledge, instead of just accepting it.
Most of the clips that have been used for multi-cultural class depicted foreign employees as the subject of compassion or sympathy, or people in need of help. This kind of framing not just creates a negative impression toward immigrant workers, but also further solidifies the previous mindset of th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visual tools used in educating multi-culture, as well as students existing sense of social distance and its impact. To this end, the framing of the materials, teaching multi-culture with visual materials, and the established attitudes of the students towards the subjects were discussed.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below.

Primary hypothesis]: Different visual framing methods will change the students previous sense of social distance depending on its previous extent.

Secondary hypothesis 1] With the previous social distance remaining same, the sense of distance will be different after the different framing.

Secondary hypothesis 2] With the previous social distance remaining different, the sense of distance will be different even after the same framing.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was implemented among 243 students by using the "unable compassion and able respect framings.
After a statistic verification based on the survey, the primary hypothesis and secondary hypotheses 1 and 2 were adop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framing effect influ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udent established sense of social distanc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rst, this study provided a chance to reflect on the previous framing of the visual materials about immigrant workers. By identifying how it influenced the students, the study ensured to suggest new framings designed to alleviate negative attitudes.
Seco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interactions of the students sense of social distance with the framing of the material.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n the condition that the learners are passive.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framing could differ by the active learners sense of social distance.
Third, it fou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ocial distance toward immigrant workers in the ven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though previous research found out what affects over the social distance, they failed to examine the issues within the education site. However, this study carries a major significance because it found out the problems of the framing by analyzing the framing in use, students' sense of social feeling and its impact.
It is necessary that follow-up work should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s, which was limited to the Inchon area, would have to be expanded to include other areas. Also, precise tools that can cover the quality of the variates of the sense of distance should be used. Addition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would change through multiple rounds of video framings, not through a one-time similar experimental study.

Key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raming effect, immigrant workers, students previous sense of social distance, social distance, prejudice, attitudes
Student Number : 2010-2147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 4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6

Ⅱ.이론적 배경 9
1. 다문화교육과 영상물 활용 9
1) 다문화교육의 지향점 9
2) 다문화교육에서 편견감소 전략 12
3) 영상물 활용의 장점과 문제점 14
2. 학생들의 태도 16
1) 태도 16
2) 편견 19
3)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 22
3. 프레이밍효과와 다문화교육 24
1) 프레이밍효과 25
2) 이주노동자에 대한 프레이밍 27
3) 영상물과 수용자와의 상호작용 29
4)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와 프레이밍 34
5) 편견감소를 위한 프레이밍 36
(1) 인지—정서적 접근 36
(2) 역 고정관념 활성화 37
(3) 감정전이 가설과 긍정적 단서 이론 38
4. 선행연구 개관 40
Ⅲ. 연구 설계 42
1. 연구 가설 42
2. 자료수집 및 표본 특성 43

3. 측정도구 44
1) 종속 변인 44
2) 독립 변인 45
3) 통제 변인 48
4)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51
5) 분석방법 53
Ⅳ. 결과 분석 55
1. 집단 간 차이분석 55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57
3.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결과 58
4.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59
Ⅴ. 결론 60
1. 연구결과 요약 60
2. 논의 61
3.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 73
[부록1] 무능․동정 프레이밍 수업 지도안 73
[부록2] 유능․존경 프레이밍 수업 지도안 74
[부록3] 설문지 77
Abstract 8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7759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다문화 교육-
dc.subject프레이밍 효과-
dc.subject이주 노동자-
dc.subject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
dc.subject편견-
dc.title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에 따른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연구-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ffect of framing on Visual Materials Based on the Student's Previous Attitudes-Views on the Immigrant Worker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84-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