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日帝强占期 朝鮮總督府의 在外硏究員制度 運營과 硏究員의 活動 : An Analysis on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Operation and Activities of Researchers during Japanese Occup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泰雄-
dc.contributor.author최용-
dc.date.accessioned2017-07-19T02:38:39Z-
dc.date.available2017-07-19T02:38:39Z-
dc.date.issued2013-08-
dc.identifier.other00000001285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7707-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교육과(역사전공), 2013. 8. 金泰雄.-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조선총독부가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시행한 재외연구원제도의 운영 실태와 연구원의 활동을 究明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경성제국대학의 성립 및 과학기술인력의 성장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재외연구원에 대한 단편적인 지적이 있을 뿐 이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확인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일본 문부성 파견 재외연구원과 달리 조선총독부가 파견한 재외연구원은 별도의 명단조차 존재하지 않기에 그 구체적인 운영 실태는 의문으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조선총독부 파견 재외연구원을 발굴하여, 재외연구원제도의 운영 실태를 밝히고, 연구원의 활동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재외연구원제도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제의 대한제국 강점 직후 조선총독부는 「朝鮮總督府留學生規程」을 제정하여 관비유학생의 유학지를 일본으로 한정시키고, 관비 및 사비유학생의 유학을 통제하였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들어와 일본 내의 사비유학생을 포섭하여 친일 세력으로 육성할 목적으로 이들의 유학비용을 지원하는 「在內地給費生規程」을 제정․공포하였다. 또한 이와 별도로 1921년 3월 「朝鮮總督府在外硏究員規程」을 제정하였다. 「朝鮮總督府在外硏究員規程」은 「在內地給費生規程」의 시행으로 조선에서는 더 이상 유학생을 선발하지 않게 된 상황에서 조선 내에서 유학생을 선발하는 유일한 규정으로 기능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최초로 일본 이외의 국가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규정이었다.
「朝鮮總督府在外硏究員規程」은 1922년 1월에 「在外硏究員規程」으로 통합되면서 조선총독부 전문학교 교관과 같이 연구원의 자격을 특정한 조항이 사라졌다. 하지만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대부분은 관립 고등교육기관의 교원과 총독부 학무국․철도국 관료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선총독부의 재외연구원제도는 경성제국대학을 중심으로 한 관립 고등교육기관의 교원을 육성하는 동시에 구미 교육․철도정책 연구를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유학 국가는 일본 문부성 재외연구원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독일, 미국, 영국, 프랑스가 중심을 이루었는데, 연구 분야에 따라 다른 국가가 추가되거나 교체되기도 했다.
조선총독부는 행정․재정적인 지원을 통해 재외연구원의 연구 활동을 적극 장려했지만, 한편으로 재외연구원에게 일정한 책무를 부과함으로써 그들의 재외연구 활동을 감독하고, 연구 성과를 관립 고등교육과 조선통치에 활용하고자 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연구 분야는 인문, 법학, 의학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제도가 실시된 주요한 목적이 1941년 이공학부가 설립될 때까지 법문학부와 의학부로 구성되어 있었던 경성제국대학의 교원 양성과 재교육에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의학 분야에 재외연구원 파견이 두드러졌다. 이는 일제가 조선인을 조사․연구하고, 나아가 조선 통치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의학을 적극 활용한 결과였다. 한편으로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제도는 관립 전문학교의 교원을 재교육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분야는 관립 전문학교의 교과 과정과도 관련을 맺고 있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연구기간은 약 2년으로, 1930년대 후반에 들어 연구 기간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1937년 이후 파견 인원이 급감하여, 연구원의 파견은 1940년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중단되었다. 이는 중일전쟁 발발에 따른 국가총동원체제의 시행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출신 학교를 살펴보았을 때, 제국대학 출신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제국대학 중에서는 도쿄제국대학 출신자가 가장 많았다. 제국대학 이외에는 의과대학, 의학전문학교 출신자의 비중이 높았다. 재외연구원의 평균 연령은 35세로 이학, 법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인물이 재외연구원으로 파견되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민족별 구성을 살펴보았을 때, 전체 123명 중 조선인은 朴錫胤과 白麟濟 단 2명으로 재외연구원의 대부분은 일본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박석윤은 조선총독부가 적극적인 회유대상으로 삼고 있던 崔南善의 妹夫로, 고급 친일파 육성정책의 일환에서 재외연구원으로 파견되었다. 백인제는 의학을 중시한 조선총독부의 통치체제 하에서 혈액연구의 성과와 뛰어난 외과술을 인정받아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원에 대한 재교육 차원에서 재외연구원으로 파견될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 재외연구원의 활동은 재외연구원이 관립 고등교육기관의 교원과 조선총독부 관료로 大別되는 특성에 근거하여, 교원의 학문연구 활동과 관료의 정책연구 활동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로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교원의 연구 성과는 결과적으로 일제의 조선통치를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체질인류학과 혈액형 연구를 중심으로 한 의학 분야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재외연구원으로 파견된 학무국․철도국 관료들은 조선총독부가 구체적으로 지정한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신의 재외연구 경험을 근거로 삼아 조선총독부의 정책을 선전하는 활동을 담당하였다. 이는 조선총독부의 재외연구원제도가 조선에 대한 침탈을 강화하고, 이를 정당화하는 학문․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통로로 활용되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결국 조선총독부의 재외연구원제도는 경성제국대학을 중심으로 한 관립 고등교육기관의 일본인 교원들이 구미의 학문적 성과를 독점하는 창구의 역할을 한 동시에, 일제의 조선 통치에 필요한 學術的 根幹을 강화하는데 기여했던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discussed the overseas researcher system(在外硏究員制度) of Joseonchongdokbu(朝鮮總督府,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y examining the operation and activities of researchers during Japanese occupation. Until now, in Korea, overseas researchers have been pointed out fragmentarily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establish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and the growth of scientific technicians. That is to say, professional study for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oseonchongdokbu has not been confirmed. More than anything else, unlike the case of Japan, overseas researchers name list of Joseonchongdokbu does not exist. So, concrete operation of the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oseonchongdokbu remains unknown. Therefore, by excavating the overseas researchers of Joseonchongdokbu to clarify the operation of overseas researcher system and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researchers, this dissertation considered the historic significance which overseas researcher system has.
Soon after Japanese imperialism(日帝) Occupied the Great Han Empire(大韓帝國), Joseonchongdokbu legislated the Act of Joseonchongdokbu students studying abroad(朝鮮總督府留學生規程). According to this Act, countries where government-sponsored students studying abroad(官費留學生) were sent were limited to only Japan. Also this Act reinforced control over students studying abroad. However, in the early 1920s Joseonchongdokbu legislated Act of financially supporting Korean students in Japan on their own(在內地給費生規程) to foster the pro-Japanese forces(親日勢力). In addition, Joseonchongdokbu legislated Act of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朝鮮總督府在外硏究員規程) in March 1921. This Act was the only provision to select people studying abroad in Korea. Also it was the first provision in Korea to send people to the other countries but Japan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e Act of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was integrated into the Act of overseas researchers(在外硏究員規程) in January 1922. After the above integration, specific provision had disappeared that only college professors(專門學校敎官) of Joseonchongdokbu are qualified. But, most of overseas researchers of Joseonchongdokbu were composed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of Education Bureau(學務局) and Railway Bureau(鐵道局) and professors of National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官立高等敎育機關). In other words,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oseonchongdokbu aimed to educate professors of National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research of Western education and railway policy.
The typical countries which the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had been sent were Germany,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France. These countries were replaced by other countries or added depending on the field of study.
The Joseonchongdokbu encouraged the researchers activities throug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Joseonchongdokbu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research results to rule over Korea and develop national higher education by imposing specific responsibilities on overseas researchers.
Research field of the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was focused on humanities, law, and medicine. For the primary purpose of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 system was to educate professor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had been composed of Medical school(醫學部) and Law&Humanities school(法文學部) until Engineering school(理工學部) was established in 1941. Overseas researchers dispatch stood out in the field of medicine. This was the result of Japanese imperialism using medicine to investigate Koreans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ideology of ruling over Korea. And the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 system carried out the education of National college(官立專門學校) professors. So, research fields were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of National college.
The period of the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studying was about two years. From the late 1930s, period of study was reduced and researcher dispatch was plummeted. Dispatch was over in 1940. This result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system(國家總動員體制) when Sino-Japanese war(中日戰爭) broke out.
Many of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graduated from the Imperial University. Among the Imperial University, the rates of Tokyo Imperial University(東京帝國大學) graduates were the highest. Among non Imperial University, the rates of medical school(醫科大學) and medical college(醫學專門學校) graduates were the highest. The average age of Joseonchongdokbu overseas researchers was 35 years old. Relatively younger people were sent to overseas research in the field of basic science and law.
Out of 123 researchers, only two people were Korean. They were Park Seok-yun(朴錫胤) and Baek In-je(白麟濟). Mr. Park was a husband of younger sister of Choi Nam-seon(崔南善) who had been a conciliatory target of Joseonchongdokbu. Mr. Park was sent to overseas as part of elite pro-Japanese nurturing policy. Mr. Baek was recognized for outstanding surgical skills and excellent results of blood research under the governance structure of Joseonchongdokbu with an emphasis on medicine. As a result, Mr. Baek could be sent to overseas as a purpose of educating Keijo national medical college(京城醫學專門學校) professors.
Activities of overseas researchers who are composed of professors and public officials can be divided into academic research of professors and policy research of public officials. Research results of professors that target Korea(Korean people) mainly, were used as an academic basis to rule over Korea by Japanese imperialism. This trend had become more clearly in the field of medicine, particularly in physical anthropology and blood type. Public officials of Education Bureau and Railway Bureau sent to overseas conducted the research agenda that had been specifically designated by Joseonchongdokbu. Also, They propagated the policies of Joseonchongdokbu based on their overseas research experiences. This means that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oseonchongdokbu was used as a passageway to provide an academic and political basis to strengthen and justify the rule over Korea.
After all,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oseonchongdokbu played a key role in that Japanese professors of National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inly composed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monopoliz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West. At the same time, overseas researcher system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academic basis which is necessary for Japanese imperialism to rule over Korea.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序言 1
2. 在外硏究員制度의 施行과 硏究員의 責務 4
3. 在外硏究員의 派遣 推移와 特徵 21
4. 在外硏究員의 人的 構成과 活動 42
5. 結語 68
參考文獻 71
附錄 79
Abstract 89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5610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在外硏究-
dc.subject留學政策-
dc.subject京城帝國大學-
dc.subject學術政策-
dc.subject敎育政策-
dc.subject鐵道政策-
dc.subject.ddc907-
dc.title日帝强占期 朝鮮總督府의 在外硏究員制度 運營과 硏究員의 活動-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n Overseas Researcher Syste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Operation and Activities of Researchers during Japanese Occup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Yo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ⅵ, 93-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역사전공)-
dc.date.awarded201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