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s of Construal Level and Goal Orientation on Self-regulated Behavior and Task Achievement : 해석 수준과 목표 지향성이 자기 조절 행동과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남희

Advisor
신종호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4-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construal levelgoal orientationself-regulationself-regulated learning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4. 8. 신종호.
Abstract
본 연구는 해석 수준과 목표 지향성이 자기 조절 행동 및 과제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목표의 질적인 측면이 자기 조절의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개의 해석 수준 조건(고차원/저차원)과 2개의 목표 지향성 조건(숙달 목표/수행 목표)으로 구성된 총 4개의 조건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석 수준과 목표 지향성은 자기 조절 행동에 상호작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숙달 목표 지향성 조건의 참여자들의 자기 조절 행동은 해석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행 목표 지향성 조건에 속한 참여자들은 저차원 해석 수준 조건에서보다 고차원 해석 수준 조건에서 자기조절 행동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해석 수준과 목표 지향성이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목표 지향성이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주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수행 목표 지향성 조건의 학습자들의 과제 성취도가 숙달 목표 지향성 조건의 학습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첫째, 본 연구는 해석 수준의 내용에 따라 자기 조절 행동이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해석 수준과 자기 조절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들에게 목표 표상과 관련된 구체적인 자기 조절 전략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더 나아가 본 연구 결과는 자기 조절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나 학부모에게 구체적인 지도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가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주로 보고되어 온 수행 목표 지향성을 높은 수준으로 가진 학습자도 학습 과제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받음으로써 자기 조절 행동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한국의 경쟁적인 교육 환경에서는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것,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과 같은 외적 동기가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를 고려할 때 숙달 목표 지향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행 목표 지향성이 가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거나 이것이 학습 과정 및 결과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수행 목표 지향성을 가지는 학습자가 보다 긍정적인 학습 과정 및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construal level and goal orientation affect self-regulated behavior and task achiev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way the qualitative perspective of goals influence self-regulated processes and outcomes, a 2 (high-level construal vs. low-level construal) × 2 (mastery goal orientation v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between-groups factorial design was developed.
Although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of construal level and goal orientation on self-regulated behavior, the interaction direc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Specifically, when participants were i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con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elf-regulated behavior depending on the construal level was not observed. In other words, that was depending on students who were highly mastery goal oriented, the types of goal representation focusing on either high-level or low-level did not have an impact on self-regulated behavior distinctively.
In contrast, participants i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ed behavior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In specific, the students in the high-level construal condition were more likely to self-regulate than those in the low-level construal condition.
On top of that,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goal orientation on task achievement was present. Both the interaction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ain effects of construal level on task achievement fell shor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students i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ondition showed higher task achievement than those i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condition.
These findings produced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underlying possible mechanisms of the way construal level affects self-regulation. Second, the present research also gives specific self-regulation strategies regarding goal-related representation for students who are in self-regulation conflict or failure.
In addition, in the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would increase student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igh-level mental construal would promote positive effects of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n self-regulation. Not only that, emphasis on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ould lead to better task achievement under certain circumstances. Especially, in terms of the cultural features of Korea educational settings, which is extrinsically oriented, it is meaningful to give suggestions to students with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s well as to build the mastery goal 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8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