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 참여형 수업 이해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종아

Advisor
소경희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
Issue Date
2017-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생 참여형 수업학생 참여실질적 참여교사 이해교사 인식 및 실천적 노력자유학기제질적 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2017. 2. 소경희.
Abstract
그동안 학교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얻어가고 경험할 지에 대해 무관심하였고, 교육의 주체여야 할 학생들은 수업의 장면 속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슬로건으로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오늘날 중학교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하도록 직접적으로 요구받게 되었다. 현재의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정책적 이해는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에 불충분하고 제한적인 면이 있지만, 이를 직접 시행하는 교사들은 더욱 풍부한 이해를 지니고 학생들의 참여에 더욱 실질적인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들이 학생 참여형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들이 지닌 이해의 특징들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리고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교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다섯 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해 어떠한 실천적 노력을 하고 있는가?
셋째,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 참여형 수업 이해에 나타난 특징과 이것이 담고 있는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해 두 가지 측면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활동의 유형 측면과 학생들의 학습경험 측면이다. 먼저, 교사들은 학습활동의 유형 측면에서 발표 및 토론 수업, 모둠 수업, 프로젝트식 수업, 교사 주도가 아닌 학생 주도적 수업을 학생 참여형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는 학생 참여형 수업을 여러 활동 중심의 수업 유형으로 본 것이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경험 측면에서 재미있고 활발한 수업이나 활동을 넘어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을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거나 활발하고 능동적인 수업이라고 여겼을 뿐만 아니라 단지 활동이 일어나는 것을 넘어서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이라고 보기도 한 것이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업에 학생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교사들의 실천적인 노력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 내용 설계와 수업 운영, 수업 외적 노력의 모습이다. 우선, 수업 내용 설계에 관해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실제 삶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거나 직접 움직이는 활동 기회를 부여하거나 수준을 고려하거나 지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려고 하였다. 교사들은 이와 같이 주로 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내용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수업 내용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수업 운영에 관해서는 학생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거나 또래 간 협력 관계를 형성하거나 학급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보상과 처벌을 활용하거나 교사의 직접적 도움을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해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고자 하였다. 교사들은 교실 내의 다양한 관계를 이용하거나 직접 개입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을 수업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수업 외적 노력으로서 활발한 연구와 학습을 지속하고 평소에 일상적인 노력을 하며 동료 교사와 협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학생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수업과 직접 관련된 노력뿐 아니라 수업 준비의 바탕이 되는 여러 외적 노력들이 함께 수반되어야함을 보여준다.
세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교사들의 이해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특징을 보였고 이 특징들은 각각의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해 실질적 참여를 통한 의미 있는 배움 추구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교사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동 수업을 넘어선 학생들이 배움에 도달하는 수업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들의 행동과 정서적 참여뿐만 아니라 인지적 참여도 고려하고 있던 것이다. 교사들의 이러한 이해는 단지 활동 측면으로만 접근한 정책의 이해보다 학생들의 실질적 참여를 이끌어낼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들을 끌어들이는 관계 형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의 관계나 학급 분위기와 같은 사회적 요인을 변화시킴으로써 학생들을 참여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다수의 학생들이 모여 수업을 듣는 교실 환경에서 학생의 참여를 단지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접근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음을 암시한다. 셋째, 교사들은 모두의 참여를 위한 배움이 느린 학생들에 대한 주목을 통해, 소외되는 학생이 없는 수업을 만들고자 하였다. 교사들은 수준차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학생의 참여를 학생 개개인의 경험의 질을 높이는 것을 넘어서 수업에 있는 모든 학생들의 배울 권리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방법을 넘어선 수업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의 변화를 강조하였다.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학습과 학생,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이 연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 문제를 교사들의 관점을 통해 질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를 둘러싼 수업 내의 여러 요인들이 역동적으로 작동하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둘째,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정책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해, 이를 직접 시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교사들의 이해를 탐색함으로써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더욱 풍부하고 실제적인 이해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이 연구에는 여전히 몇 가지 제한점이 남아 있으며, 이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 본 연구는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학생 참여형 수업에 관한 교사들의 이해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실천이 실제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참여 관찰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학생 참여의 문제를 당사자인 학생이 아닌, 수업을 하는 교사의 입장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향후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그들의 이해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 변인에 따른 학생 참여형 수업 이해의 차이들을 심층적으로 드러내지 못하였다. 교과나 경력, 학교별로 교사들의 이해가 다르게 날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를 통해 교사들의 차이에 주목하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본 연구는 중학교 맥락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탐색한 것으로, 다른 학교급에 이를 적용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맥락에서도 이와 같은 수업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chool education has not been concerned with what students would learn and experience in class, so much so that students, the subject of the education,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lesson scene. One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is called the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was published as a slogan through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present middle school teachers are directly being asked to teach "Student-participatory class". Current political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is more or less insufficient and limited to drawing students' participation, especially engagement. However, teachers in school fields are considered to have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to be able to have a practical effect on students'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based mainly on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ubject classes in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how do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Student-participatory class"?
Second, which kinds of practical efforts do middle school teachers make for involving students in clas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and what 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t?

In brie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 two aspects. One is the "aspect of type of learning activity" and the other is the "aspect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s an aspect of type of learning activity, teachers regarde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 "group study class", "project-based class", "not teacher-led but student-led class" as "Student-participatory class". This implies that the teachers equate "Student-participatory class" with an activity-centered class. In addition, as an aspect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perceived "enjoyable and lively class" or "class that learning takes place" as "Student-participatory class". This means teachers realized that "Student-participatory class" not only refers to the class which is just fun and lively but also the class where learning happens.
Secondly, the teachers were making effort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class in three ways: "lesson plan", "class operation", and "external work". First of all, regarding the lesson plan, teachers tried to "arouse students' interests", "show close relation between real-life and contents", "give students chances to move actively", "consider students' various levels" or "stimulate students intellectually" to draw their involvement. The teachers generally planned lessons by reconstructing contents to make them relevant to the students. Also, for class operation, the teachers tried to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students", "form cooperative relationships among peers", "create class atmosphere", "use a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or "offer teacher's personal help to students" for making students participate or engage in the class. Class operation was used to form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class or for teachers to get involved in the students' work.
Thirdly,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dicated four main features and the features implied educational significances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a characteristic of the "pursuit of meaningful learning through students' substantive engagement". They thought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as "the class that seeks to learn above merely performing learning activities", and they considered intellectual engagement of students as well as behavioral and affective engagement. This understanding of teachers has a higher possibility to result in students' substantive engagement than political understanding which assumes "Student-participatory class" as an activity-centered class. Second, teachers showed "effort to create good relationships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They tried to involve students in the class by changing social factor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r class atmosphere. This implies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consider student participation (or engagement) on an individual scale because the class environment is comprised of a great number of students. Third, the teachers sought to make the class free of neglected studen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low-paced students wishing for participation of every student". They recognized the fact that each student is in a different level and actively support students who suffer from level difference. This implies that student participation is not only about raising the quality of personal experience but also about guaranteeing rights of all students in the class. Fourth,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changing fundamental perspectives about the class beyond improving teaching methods". They thought students' spontaneous and active engagement requires change of perspective about learning the role of students and teachers.
This research has two main significances as follows: the research revealed dynamic classroom context concerning student participation (or engagement) by exploring the matter of student engagement through teachers' perspectives. In addi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o approach "Student-participatory class" more meaningfully by exploring on-sit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is.
Despite these findings, still there remains certain limitations and they require additional studies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nvolv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was handled by using interview-based qualitative research which leaves more to b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ir practice. Second, another qualitative research targeting students themselves is required because this study examined the matter of student participation (or engagement) indirectly through the teachers' viewpoint. Third, this research explained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eacher limitedly. Additional study on this is needed to figure out what factors lead teachers to have different understanding. Fourth, this study only explore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participatory class" in the context of middle school which leaves more to be studie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79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