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 모의상담 상황에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창대-
dc.contributor.author고유림-
dc.date.accessioned2017-07-19T02:55:43Z-
dc.date.available2017-07-19T02:55:43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00000000531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00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12. 8. 김창대.-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모의상담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충남 지역 소재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173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세 집단으로 나뉘어 각각 타당화 집단, 감정반영 집단, 통제 집단에 배정되었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분산분석(ANCOVA), 요인분석,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당화 집단은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자기수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는 자기수용 변화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타당화 집단은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계맺음동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는 관계맺음동기 변화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감정반영이나 통제 조건에 비해 상담자의 타당화가 자기수용과 관계맺음동기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부적정서의 경우 연구자의 판단 하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어 분노정서와 두려움정서로 명명하고 각각의 정서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노정서의 경우에는 정서의 감소 수준에 있어서 세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려움정서의 경우에는 세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타당화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두려움정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타당화 집단은 감정반영 집단에 비해 두려움정서를 감소시켰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감정반영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는 두려움정서 변화수준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은 감정반영 개입에 비해 모의상담 관찰자의 자기수용 및 관계맺음동기를 향상시키고 두려움정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perimentally examine the effects of validation. In this study one hundred seventy three people participated as subjects of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ey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terms of conditions, which are validation group,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 facto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MANCOVA).
First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lf-acceptance than paritcipants in the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diffrence in the level of self-acceptance between the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ly,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than paritcipants in the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diffrence 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between the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validation from the counselor increased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more than reflection and control condition.
Lastly, for negative emotion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negative emotions clearly. Factor analysis revealed two types of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 of anger and the emotion of fea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motion of anger among three groups. However, participants in different groups differed on the emotion of fear.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reported lower emotion of fear tha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 of fear between participants in the validation group and reflection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emotion of fear between participants in the reflection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valid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on in increasing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connection motivation and reducing emotion of fear.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with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상담에서의 개입 7
2. 타당화 11
1) 타당화의 정의 11
2) 타당화의 치료적 기능 12
3. 감정반영 15
1) 감정반영의 정의 15
2) 감정반영의 치료적 기능 16
4. 모의상담연구 17

Ⅲ. 연구방법 20
1. 검증력 분석 20
2. 연구대상 20
3. 연구도구 22
1) 연구자극 22
2) 측정도구 26
4. 실험 절차 29
5. 분석 방법 34

Ⅳ. 연구결과 35
1. 조작 확인 35
2. 집단의 동질성 검증 36
3. 자기수용 변화 37
4. 관계맺음동기 변화 40
5. 부적정서 변화 43

Ⅴ. 논의 50
1. 요약 및 논의 50
1) 감정반영 개입 결과에 대한 논의 51
2) 자기수용 결과에 대한 논의 52
3) 관계맺음동기에 대한 논의 53
4) 부적정서에 대한 논의 55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56
3.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 제언 57

참고문헌 59

부록 75

Abstract 9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499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타당화-
dc.subject감정반영-
dc.subject치료적 개입-
dc.subject상담기법-
dc.subject모의상담연구-
dc.title상담자의 타당화 개입이 자기수용, 관계맺음동기 및 부적정서에 미치는 영향: 모의상담 상황에서-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 95-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dc.date.awarded2012-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