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기한 스쿨버스 만화영화 도입이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이해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Instruction Using Magic School Bus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n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섭

Advisor
김희백
Major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생물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신기한스쿨버스만화영화만화흥미개념 이해이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과학교육과(생물전공), 2013. 8. 김희백.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5학년 1학기 과학교과에서 식물의 구조와 기능단원에 대하여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 이해,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만화영화 도입이 사전 개념 이해 수준에 따라서 사후 개념 이해와 흥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았다.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통해 만화영화를 이용한 수업 전과 후의 학생들의 개념 이해, 흥미를 비교함으로써 만화영화를 도입한 수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만화영화의 도입 효과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만화영화 도입 수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실험집단의 개념 이해를 향상시킨 데에 인식적 매력, 기억의 용이성, 배경지식 확대를 통한 이해 정교화, 과학적 추론 향상 측면에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학생의 개념 이해 수준에 따라서는 개념 이해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만화영화 도입 수업에서 흥미의 주제, 학습에 대한 태도 성분에서의 향상은 학습자의 개념 이해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개념 이해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과학 주제에 대한 흥미와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영향을 미친 만화영화의 긍정적인 요인들을 찾아본 결과, 학생들의 흥미 향상에 만화영화 내러티브로 학생들의 능동적 몰입, 친근한 대화적 분위기, 신기함 측면이 기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개념 이해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흥미의 주제와 학습 태도 성분의 향상을 제한하는 만화영화 요인들을 찾아본 결과, 개념 이해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만화 영화를 통해 주제에 대한 흥미를 높이지 못한 이유로 기초개념의 부족, 인지적 수준의 차이, 실제와 표상 사이의 괴리를 찾아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화영화 도입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힘과 아울러 만화영화 도입이 어떻게 학생들의 인지과정에서 긍정적 효과를 이루게 하는지를 설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도입된 만화영화가 개념 이해 수준이 낮은 학생의 인지과정을 어떻게 제한하여 학습 주제나 학습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한 점도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와 흥미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instruction on elementary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on a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using Magic School Bu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animation-based instruction caused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is study used the Magic School Bus animation for the instruction of the Unit Plants Structure and Functi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measurements were administered to 99 fifth grade students at one elementary school (12 years of age) located in Seoul.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rough pre- and post-test of the two groups (49 experimental group
50 control group).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36 students (1st interview) and 8 students (2nd interview)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find factors that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ree key findings were revealed from the results. First, the animation-based instruction enhanc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ecause of 4 factors: cognitive attraction, easiness of memorization, knowledge elaboration, and improvement in scientific inference ability. Second, animation-based instruction mad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students enhance their interest in topic component and attitude component because of 3 factors: absorption, familiarity, and amazement. Finally, animation-based instruction led a lower level of understanding students to reduce their interest in the topic component and attitude component because of 3 factors: deficiency in fundamental concepts, difference in cognitive level, and gap between real object and repres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animation-based instruction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understanding and topic and attitude component of interes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1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