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의 대표성 결정요인과 최소요건에 관한 연구 - 에너지 고정연소부문을 중심으로 : Study on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 related to Representative Determinants and Minimum Requirements - Focus on Stationary Combustion in Energy Sector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묵-
dc.contributor.author신은섭-
dc.date.accessioned2017-07-19T03:11:16Z-
dc.date.available2017-07-19T03:11:16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other00000013283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245-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대기환경 전공, 2016. 2. 이승묵.-
dc.description.abstract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계수의 정확도 확보가 중요하며,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국가 특성을 반영한 국가 고유 배출계수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에너지 고정연소 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73.4%를 배출해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배출원이다. 에너지 고정연소부문은 국가별로 사용하는 연료의 조성이 다르고 설비 효율과 연소 기술이 달라 국가별로 다른 온실가스 배출 양상을 가지며, 온실가스 종류(CO2 및 Non-CO2)별로 다른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방법이 필요한 부문이다. 또한 배출 범위가 방대하고 온실가스 시료채취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합리적인 표본 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고정연소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관련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온실가스 종류(CO2 및 Non-CO2)별로 배출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와 대표성 결정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재 개발되어 있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CO2는 에너지 고정연소 부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Non-CO2는 전력생산(발전소)부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Non-CO2에서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배출계수들을 모두 사용하여 배출량을 산정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배출계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표본조사방법론 중 층화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실제 발전소의 배출계수 개발을 위해 필요한 표본수를 산정하도록 하였다.
CO2 배출계수의 경우에는 각 연료 별 특성을 반영한 배출계수 개발이 중요하며 탄소함량과 발열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연료 별 생산지 또는 수입산지를 고려하여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시장점유율을 반영하여 배출계수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Non-CO2 배출계수는 연료 및 발전설비와 연소방식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료 및 발전설비 별 연소방식 별로 구분하여 배출계수를 개발해야 하며, 대기오염물질처리시설 설치 여부를 반영하여 배출계수를 개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세분화 된 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발전설비에 대해서는 적은 표본수로도 좀 더 신뢰성 있는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개발할 수 있도록 층화추출을 실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CO2 및 Non-CO2별로 배출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와 대표성 결정요인을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현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진단하여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개발될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정확한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2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현황 3
1.2.1 국가 CO2 배출계수 개발 현황 4
1.2.2 국가 Non-CO2 배출계수 개발 현황 4
1.3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검증 현황 5
1.4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방법 6
1.4.1 CO2 배출계수 6
1.4.2 Non-CO2 배출계수 10
1.5 국내외 관련 문헌 분석 12
1.5.1 CO2 배출계수 12
1.5.2 Non-CO2 배출계수 14
1.6 연구 목적 18

2. 연구 방법 20
2.1 연구 대상 20
2.1.1 CO2 배출계수 20
2.1.2 Non-CO2 배출계수 22
2.2 연구 방법 24
2.2.1 CO2 배출계수 24
2.2.2 Non-CO2 배출계수 25

3. 결 과 30
3.1 CO2 배출계수 30
3.1.1 최소 요건 도출 정성적 연구 30
3.1.2 대표성 결정요인 도출 정량적 연구 34
3.1.3 국가 고유 배출계수 개발 현황 진단 37
3.2 Non-CO2 배출계수 38
3.2.1 배출계수 별 배출량 산정 및 민감도 분석 38
3.2.2 최소 요건 도출 정성적 연구 44
3.2.3 대표성 결정요인 도출 정량적 연구 46
3.2.4 국가 고유 배출계수 개발 현황 진단 61

4. 결론 및 고찰 63

5. 참고 문헌 68

부록 73

Abstract 80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452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dc.subject배출계수-
dc.subject온실가스-
dc.subject에너지-
dc.subject고정연소-
dc.subject발전소-
dc.subject배출량-
dc.subject.ddc363-
dc.title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의 대표성 결정요인과 최소요건에 관한 연구 - 에너지 고정연소부문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n National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 related to Representative Determinants and Minimum Requirements - Focus on Stationary Combustion in Energy Secto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in eunseop-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vi, 81-
dc.contributor.affiliation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dc.date.awarded2016-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