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역사회 역량이 지역 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2개 동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ommunity Capacity on the Community Residents Health Status: A Comparative Study of Two Towns in a District in Seoul C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로라

Advisor
조병희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사회지역사회 역량행정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2015. 2. 조병희.
Abstract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필요한 지역사회의 특징들을 형성 및 강화해 나가려는 목적에서 지역사회 역량(community capacity)이라는 개념이 널리 쓰이고 있다. 보건학의 영역에서도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건강 효과 차원에서 이 개념을 주목하고 있는데,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는 그 효과가 주로 자치구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신상진 등, 2007
정민수 등, 2008
김윤희 등, 2008
정민수 등, 2012).
본 연구는 자치구보다 훨씬 작고 동질적인 행정단위인 행정동을 주목하여 서울시 강서구 내 2개 동(A동과 B동)에서 지역사회 역량이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사례중심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두 행정동 주민들의 지역사회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두 지역의 지역사회 역량이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 역량 요소에 있어 두 지역이 차이를 보이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한 자료는 2014년도 강서구 주민참여형 정신보건 사업의 효과 연구(조병희 등, 2014)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던 강서구 주민 건강 조사였다. 이 조사는 강서구 A동 주민과 B동 주민 약 250여명씩 총 536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회자본에 기반한 역량 측정 척도인 World Bank의 SC-IQ(Narayan et al., 2004)를 국내 상황에 맞게 개발한 지역사회 역량 척도(조병희 등, 2010)를 바탕으로 주민역량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 v. 22.0(IBM SPSS Institute, Chicago, IL) 이용하였다. 두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징들, 지역사회 역량, 건강행태 및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과 카이제곱검정, Mann-Whitney U Test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두 지역의 지역사회 역량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 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기반한 다변량 분석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비모수적 순위검정법인 Mann-Whitney U test로 지역사회 역량 요소별 순위 값들의 평균치들을 비교한 결과, A동과 B동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는 요소는 지역사회 인식, 사회적 접촉, 사회적 지지였다. 이 중 지역사회 인식의 경우 A동이 B동에 비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으나 사회적 접촉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두 행정동의 주민들 수준에서 측정된 지역사회 역량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지지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 역량의 요소들 각각에 대해 사회인구학적 변수들과 건강관련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지역 주민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를 개별적으로 파악한 결과, 지역사회 인식과 개인신뢰 및 제도신뢰를 제외하고는 지역사회 역량의 요소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사회 역량 요소들을 모두 함께 회귀모형에 투입하였을 때에는 지역사회 참여(A동, B동)와 사회적 참여(A동)만이 유의한 영향을 주어 참여가 다른 지역사회 역량 요소들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상쇄시킬 만큼 강력한 요소이며 다른 지역사회 역량 요소들이 참여를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행정동을 연구 지역으로 삼아 지역사회 역량를 탐구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역량의 건강 영향에 관한 소지역 연구라는 데 그 함의가 있다. 또한, 두 행정동 모두에서 동 주민들의 지역사회 역량이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구보다 작은 행정단위인 동이 한국적 맥락에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역량의 작동 단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3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