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년 전업주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감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주

Advisor
유승현
Major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년기전업주부사회적 관계행복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3. 8. 유승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전업주부의 행복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08년 2차 여성가족패널조사에 응답한 사람 중 지난 한 달간 경제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중년(40-59세) 여성 1,350명이 선정되었다. 중년 전업주부의 행복감 관련 요인으로 남편관계, 친교활동, 자원봉사 및 사회참여 활동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구학적 변수인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및 주관적 건강변수를 보정한 후 위계적 중다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편 관계만족도가 좋을수록, 부부가 함께 신체활동을 자주 할수록, 남편의 가사참여시간이 늘어날수록 주부의 행복감과 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주부의 친교활동이 활발할수록, 사회참여 및 자원봉사 참여 횟수가 늘어날수록 행복감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인생의 중반에서 부부가 친밀감을 유지하며 건강한 생활을 실천하는 것은 높은 수준의 행복감과 관련성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친교활동과 자원봉사 및 사회참여활동을 할 때 행복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전업주부의 건강을 잔여적 건강의 범주에서 다룬 기존연구들의 시각에서 벗어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안정 등을 포괄하는 행복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행복한 여성의 조건으로 남편관계, 친교활동, 자원봉사 및 사회참여 활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 전업주부의 행복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요인들을 밝힌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년 전업주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감을 통해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가족, 그리고 이들이 속해 있는 지역사회로의 전이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social relationship,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happiness in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Data from the 2008 Second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was used, and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n=1,350) who have spouses and children and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related to happiness in middle-aged housewives,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relationship with spouse, social activities, voluntee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were analyzed.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subjective health were controlled, and hierarchical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indings show that higher marital satisfaction, more frequent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ies in married couples, and longer duration of household chores in husban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ppiness in housewives. Also, women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and frequently took part in voluntee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be happy. Maintaining intimacy and engaging in healthy behaviors together as married coup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happiness in middle-aged women. Furthermore, middle-aged full-time wives tended to have higher level of happiness when the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health of full-time housewives in terms of residual health, this study focused on happiness, which encompasses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ly,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social activities, voluntee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in women's pursuit of happiness.
The current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happin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One can anticipate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as well as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5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