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주발행에 있어서 신주인수권 기타 주주보호수단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옥렬-
dc.contributor.author김지안-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1:42Z-
dc.date.available2017-07-19T03:31:42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00000001056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599-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3. 2. 송옥렬.-
dc.description.abstract신주인수권 제도는 신주발행에 있어 의결권 및 현금흐름에 대한 주주의 지분적 이익을 가장 온전히 보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 소위 에버랜드 사건을 둘러싸고 우리 상법상 신주인수권 제도가 신주발행에 있어 주주 보호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2012년 입법예고된 자본시장법 개정안 역시 이러한 논의와 무관하지 않다. 이 논문은 우리 상법 및 201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제시하고 있는 신주인수권 기타 부당한 신주발행 규제수단, 그리고 판례를 통해 구체화된 신주발행에 있어서 이사 등의 의무론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외국의 입법례와 판례에서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을 찾아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이 지적하고 있는 현행 상법 및 201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문제점으로는, ①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할 수 있는 권한을 정관을 통해 승인하고 나면, 이사의 주주총회 소집이 없는 이상 그 승인을 철회하기 곤란한 점, ② 상법상 신주인수권의 양도성 인정 및 실권주 처리에 있어 이사의 재량을 광범위하게 인정함으로써, 신주인수권의 주주보호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점, ③ 주주배정에서 발행가액 기타 발행조건을 정하는 경우, 이사는 경영판단원칙에 따라 그 재량이 존중될 뿐, 별다른 행위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점, 특히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그 발행을 철회하지 않아도 되는 사유로 규정된 발행가액이 고가일 경우 등을 규정하고 있으나, 소수주주 축출을 목표로 의도적으로 발행가액을 고가로 설정하는 등의 경우를 상정한다면, 여전히 주주 이익 보호에 미흡한 점이 있다는 점, ④ 부당한 신주발행에 대한 구제수단이, 현저히 불공정한 경우의 신주발행 무효이거나 혹은 ⑤ 대표소송을 통한 금전배상/보상만을 규정함으로써, 불공정의 정도가 현저하지 않은 경우나, 대표소송의 원고적격을 구비하기 힘든 경우 구제의 사각지대가 존재하게 된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영국의 회사법․상장규정․투자가협회의 가이드라인, 미국 모범회사법․델라웨어 회사법․NYSE 상장규정, 독일의 주식회사법, 일본의 회사법 및 2009년 개정 상장규정․2011년 개정 금융상품거래법․2012년 회사법개정요강안 및 이들 국가의 판례에서 해당 문제점 별 대안을 찾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①에 관련해서는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할 수 있는 권한을 정관 또는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인정하되, 이러한 정관은 5년을 한도로 효력을 갖게 하면, 주주의 지속적인 감시권한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를 지니는 신주인수권의 입법례는 ②의 물음에 적합한 대답을 내려줄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양도성이 인정되는 신주인수권이 인정되는 경우만을 주주배정이라고 보고, 양도성을 부정하기 위해서는 신주인수권 배제절차를 필요로 하는 경우나, 상장회사의 주주배정으로 실권주가 발생하면, 이를 신주인수권 증서(nil-paid rights)의 형태로 시장에 유통시킨 후 그 차익은 신주인수권을 불행사했던 주주에게 돌려주는 등의 방법으로 발행인이 기존 주주의 이익을 보호해야 함을 상장규정에 정해둔 경우가 바로 그 예이다.
또한 신주인수권 규정으로부터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행사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설정할 의무․모든 주주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발행할 의무(형식적 평등)․각 지분 실제 가치에 합당한 조건으로 발행할 의무(실질적 평등) 등 다양한 내용을 도출하거나, 이사의 회사에 대한 신인의무로부터 개별주주를 차별하지 않을 의무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은③과 같은 우리 판례의 한계를 보완해줄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사가 주주의 자력부족 상황을 알았다는 사정이 있는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주주배정시 그 발행가액을 고가로 정한 것도 신인의무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검토함에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구제수단의 문제와 관련하여, ④ 영국이나 미국은 부당한 신주발행에 대해서는 금전배상을 원칙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등 다양한 구제수단을 인정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 점, ⑤ 미국 법원은 최근 신주발행과 관련하여 소송요건을 보다 탄력적으로 해석하는 점 등을 참고할 만하다. 즉, 신주발행은 회사와 주주에게 동시에 손해를 입히는 것이 가능하고, 대표소송이 인정되는 유형으로는 회사의 손해가 발생함과 동시에 그 손해가 모든 주주에게 균일하게 귀속되는 경우를, 대표소송과 직접소송이 모두 가능한 유형으로는 회사의 손해가 발생함과 동시에 일부 주주에게 그 손해가 집중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론을 차용한다면, 우리 상법상 제399조나 제424조의2의 책임 등을 물을 때, 적어도 신주발행과 관련해서는 직접소송으로 규정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 次

第 1 章 序 論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I. 문제의 제기............................................................................................... 1
II. 외국의 입법동향..................................................................................... 3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4
I. 연구의 목적............................................................................................... 4
II. 논문의 구성............................................................................................. 4

第 2 章 新株發行 特有의 問題狀況

제 1 절 신주발행 규제의 필요성.............................................................. 6
I. 회사의 자금조달방법으로서 자기자본을 통한 자금조달............... 6
II. 신주발행 규제의 필요성....................................................................... 7
1. 신주발행을 둘러싼 이해관계............................................................. 7
2. 신주발행을 통한 자금조달결정의 타당성 판단............................ 7
3. 신주발행으로 인한 주주간 부의 이전의 타당성 판단................ 8
(1) 신주발행과 주주간 부의 이전......................................................... 8
(2) 주주간 부의 이전을 제한해야 할 필요성.................................... 9
III. 신주발행의 타당성이 문제되는 실증적 사례들............................ 11
1. 투자시장의 위축을 가져온 사례....................................................... 11
2. 지분희석을 목적으로 한 신주발행 사례들.................................... 13
(1) 회사 지배 강화 수단으로서의 신주발행...................................... 13
(2) 회사의 조직변경을 목적으로 하는 신주발행.............................. 16
(3) 벤쳐기업 투자약정의 지분희석 방지조항의 역이용.................. 20
IV. 신주발행에서의 주주 권익 보호 시 고려해야 할 점............... 21

제 2 절 상법 및 자본시장법상 신주발행 규제..................................... 23
I. 현행법상 자기자본 자금조달 규제...................................................... 23
1. 현행법상 신주발행 관련 규제........................................................... 23
(1) 신주발행권한의 귀속......................................................................... 23
(2) 신주발행의 유형과 신주인수권....................................................... 24
1) 신주발행의 유형................................................................................. 24
2) 주주의 신주인수권과 배제요건...................................................... 24
(3) 부당한 신주발행에 대한 법적 구제 수단.................................... 26
2. 소위 에버랜드 사건에서 나타난 신주발행제도의 기타 특성.... 29
(1) 주주배정에 있어서 실권주 처리 방식.......................................... 29
(2) 주주배정과 제3자배정 – 차이점 및 그 구별기준.................... 29
II. 2012년 입법예고된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신주인수권 제도....... 30
1. 개정 배경................................................................................................ 30
2. 주권상장법인의 실권주 처리 방식의 규정.................................... 31
3. 일반 공모 및 제3자 배정에 있어서의 공고방식 완화................ 32

제 3 절 우리 신주발행 규제의 문제점.................................................... 33
I. 서 언........................................................................................................... 33
II. 신주인수권 배제 결정에서 주주참여의 사실상 배제................... 33
III. 불공정한 주주배정발행 규제의 법적 공백.................................... 35
1. 불공정한 주주배정발행이 야기하는 문제점.................................. 35
2. 불공정한 주주배정발행 규제의 법적 공백의 예
- 201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기준으로........... 36
(1) 주주배정에 있어서 발행가액 규제................................................. 36
(2) 실권주 처리방식................................................................................. 37
IV. 법원의 부당한 신주발행 통제의 한계............................................ 38
1. 신주발행 관련 이사 의무의 평면적 구성...................................... 38
2. 한정된 구제수단의 문제..................................................................... 38
3. 소송형식의 문제.................................................................................... 39
V. 앞으로의 논의 방향.............................................................................. 40
第 3 章 新株引受權 其他 新株發行 規制

제1절 서 설..................................................................................................... 41

제2절 신주발행 규제수단으로서 신주인수권 법리............................... 42
제1관 신주인수권 법리의 의의와 형성.................................................... 42
I. 의의 및 특성............................................................................................ 42
1. 의의.......................................................................................................... 42
2. 신주인수권 제도의 특성..................................................................... 43
II. 신주인수권 법리의 탄생과 발전........................................................ 44
제2관 신주인수권 법리의 비교법적 분석................................................ 48
I. 서설 – 신주인수권 제도의 다양성................................................... 48
1. 개 관........................................................................................................ 48
2. 신주인수권 제도의 비교 기준........................................................... 48
(1) 신주인수권이 임의규정인지 여부 – opt-in/out....................... 48
(2) 신주인수권 배제(waiver) 가능 여부 및 그 방식....................... 48
(3) 신주인수권의 양도가능성................................................................. 49
(4) 실권주의 처리방식............................................................................. 50
(5) 신주인수대가 지급방식..................................................................... 50
(6) 신주인수권 위반의 효과................................................................... 51
3. 우리 상법상 신주인수권 제도의 모습............................................. 51
II. 영국의 신주인수권 제도....................................................................... 52
1. 의의 및 특징.......................................................................................... 52
(1) 의의 및 연혁........................................................................................ 52
(2) 영국 회사법제상 신주인수권 제도의 특징.................................. 54
2. 영국 신주인수권 제도의 구체적인 모습......................................... 55
(1) 회사법상 신주인수권 규정............................................................... 55
1) 회사법상 신주인수권 규정의 특징................................................ 55
2) 회사법상 신주인수권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56
3) 회사법상 신주인수권 규정 위반의 효과................................ 60
(2) FSA Listing Rules의 신주인수권 규정....................................... 61
1) 상장규정상 신주발행유형................................................................. 61
2) 상장규정상 신주인수권과 주주배정에서의 실권주 처리......... 63
3) 상장규정상 신주인수권 부여 원칙과 그 예외............................ 65
(3) 상장회사에 대한 Pre-emption Group의 가이드라인................ 66
1) 입법주체 및 규율대상....................................................................... 66
2) 비일상적 제3자배정에 해당하는 경우........................................ 68
3) 일상적 제3자배정에 해당하는 경우............................................ 69
III. 독일의 신주인수권 제도..................................................................... 69
1. 독일 주식회사법상 신주인수권 규정............................................... 69
2. 신주인수권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70
(1) 신주인수권 규정 적용이 없는 경우............................................... 70
(2) 일반공모증자의 제한적 인정........................................................... 70
(3) 신주인수권의 배제............................................................................. 71
IV. 미국의 신주인수권 제도..................................................................... 72
1. 미국의 신주인수권................................................................................ 72
(1) 정관 혹은 주주간 약정에 의한 신주인수권 인정...................... 72
1) 신주인수권에 대한 미국회사법의 태도 변화.............................. 72
2) 정관 또는 약정에 의해 신주인수권이 인정되는 경우............. 74
(2) 폐쇄형신탁 - 신주인수권 강제 혹은 주주승인 중 택일......... 75
V. 일본의 신주인수권 및 주주배정 관련 규정................................... 77
1. 일본 법 태도의 변화........................................................................... 77
(1) 공개회사의 신주발행 규제............................................................... 77
1) 신주발행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른 사전적규제방식의 변화
: '조직변화활동'에서 '업무집행사항'으로..... 77
2) 사후적 규제......................................................................................... 78
(2) 신주발행규율에 대한 비판의 확대와 2011년 금상법 개정...... 79
2. 일본 회사법 상 신주인수권 규정과 제3자배정의 규율.............. 81
(1) 신주인수권 규정................................................................................. 81
(2) 주주배정의 기피와 제3자 배정의 선호........................................ 82
3. 주주배정형 신주발행의 촉진 : 2011년 金融商品取引法 개정.. 83
(1) 개정의 배경.......................................................................................... 83
(2) 개정의 내용.......................................................................................... 85
1) 공시 제도 관련................................................................................... 86
2) 약속형 라이츠오퍼링에서 증권업자 규제 강화.......................... 87
3) 내부자 거래 관련............................................................................... 89
4) 공개매수규제 관련 정령․내각부령 개정.................................... 90
(3) 개정 금상법 시행 이후 라이츠오퍼링 현황................................ 91

제3절 신주발행 규제수단으로서 신주발행 승인................................... 93
I. 서설 – 승인권 제도의 다양성............................................................ 93
1. 개 관........................................................................................................ 93
2. 신주발행 승인권의 비교기준............................................................. 93
(1) 승인의 내용.......................................................................................... 93
(2) 승인 주체 및 승인 요건................................................................... 94
(3) 승인의 존속기간................................................................................. 95
(4) 승인권 규제 위반의 효과................................................................. 95
3. 신주발행승인권의 우리 상법상 발현모습...................................... 96
II. 영국 회사법제상 이사의 신주발행 권한의 통제............................ 97
1. 이사의 신주발행권한 – 정관/주주총회의 수권(authorisation)............ 97
(1) 의의 및 특징........................................................................................ 97
(2) 정관 혹은 주주총회 결의에 의한 신주발행권한 수권.............. 98
2. 상장회사의 경우.................................................................................... 99
(1) 상장규정상의 제한............................................................................. 99
(2) 기관투자자 협회 기타 민간단체에 의한 규율............................ 100
1) Pre-emption Group의 가이드라인................................................ 100
2)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 (ABI)의 가이드라인............... 101
III. 독일의 신주발행 권한 규제............................................................... 102
1. 주주총회의 신주발행 승인권한 – 통상의 자본증가.................. 102
2. 주주총회의 자본증가에 관한 사전 승인......................................... 103
(1) 의의........................................................................................................ 103
(2) 인가자본 (genehmigtes Kapital : authorized capital)............. 103
(3) 조건부 자본증가................................................................................. 105
IV. 미국 회사법제상 이사의 신주발행 권한의 통제.......................... 105
1. 서설 – 이사회의 신주발행권한....................................................... 105
2. 자금조달이 목적이 아닌 신주발행의 허용여부............................ 107
3. 이사회의 신주발행권한의 한계......................................................... 108
(1) 수량적 제한.......................................................................................... 109
1) 정관의 수권자본................................................................................. 109
2) 상장회사의 제한 – NASDAQ, NYSE의 20% 규칙............... 109
(2) 종류주주총회의 제한 (Class Vote Restriction)......................... 110
(3) 약정 혹은 정관에서 별도로 정한 신주인수권을 통한 통제... 111
V. 일본 회사법제상 이사의 신주발행 권한의 통제........................... 112
1. 신주발행권한의 귀속 - 주주총회에서 이사회로.......................... 112
2. 제3자배정 규율 관련 최근의 개정................................................... 113
(1) 2009년 8월 24일 시행 동경증권거래소 상장규정...................... 113
1) 주요 개정 내용................................................................................... 113
2) 시행 이후의 문제점........................................................................... 115
(2) 2009년 12월 시행 企業内容等の開示に関する内閣府令............ 116
3. 일본 회사법의 개정 논의................................................................... 117
(1) 논의의 배경 ........................................................................................ 117
(2) 신주발행에 대한 주주승인권 관련 논의의 정리........................ 118
1) 2011년 중간시안 및 보조설명........................................................ 118
2) 회사법제부회의 2012년 4월 검토자료.......................................... 119
3) 회사법제부회의 2012년 6월 검토자료.......................................... 120
4) 2012년 8월 「会社法制の見直しに関する要綱案」발표........... 121
(3) 신주발행의 필요성 및 상당성과 관련된 정보의 공시.............. 122

제4절 소결 - 회사법제상 신주발행 규제에 대한 제언....................... 124
I. 신주발행 및 신주인수권 배제 결정에 있어 주주참여의 촉진.... 124
1. 상법 및 201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문제점.............................. 124
2. 대안의 모색............................................................................................ 124
(1) 일정 규모 이상 신주발행에 대한 승인권.................................... 124
(2) 신주인수권을 배제할 수 있는 권한의 수권................................ 126
II. 주주배정에 있어서 주주 권리의 보호.............................................. 127
1. 상법 및 201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문제점.............................. 127
2. 신주인수권의 불행사시의 행사율 제고를 위한 대안의 모색.... 128
(1) 상법상 신주인수권 양도성의 강제................................................. 128
(2) 잔액인수로 인한 추가적 이익의 주주 귀속................................ 128


第 4 章 新株發行에 關한 法院의 統制

제 1 절 서 설................................................................................................. 130

제 2 절 외국법원의 신주발행 관련 이사행위 통제............................. 132

제 1 관 영국의 경우..................................................................................... 132
I. 개 관........................................................................................................... 132
II. 신주발행의 정당성이 문제된 사례.................................................... 133
1. 제3자 배정 관련 - Ampol 사건 (1974)......................................... 133
1) 사실 관계............................................................................................... 133
2) 판시 내용............................................................................................... 134
3) 당해 판결에 대한 영국에서의 평가................................................ 136
2. 주주배정(pre-emptive basis) 관련 사례........................................ 138
(1) Mutual Life Insurance 사건 (1985).............................................. 138
1) 사실관계 및 결과............................................................................... 138
2) 판시내용............................................................................................... 139
3) 판례에 대한 영국에서의 평가........................................................ 140
(2) Kohli v. Lit 사건 (2009) (소위 Sunrise Radio Ltd 사건)..... 140
1) 사실 관계 및 사건의 결과............................................................... 140
2) 법원의 판시 내용............................................................................... 141
3) Kohli 사건에서 언급된 판례........................................................... 143
III. 신주발행 및 이사행위의 규제 원리................................................. 146
1. 신주인수권 규정과 발행가액 설정 기준......................................... 146
2. 영국 회사법제상 신인의무 (fiduciary duty)................................. 147
(1) 일반론.................................................................................................... 147
(2) 수권 범위 내에서 권한을 행사할 의무 (CA 2006 s 170)....... 148
(3) 적정목적기준 (CA 2006 s 171)...................................................... 148
(4) 회사의 성공을 도모할 의무 (CA 2006 s 172)........................... 150
3. 부당하게 침익적인 행동 (unfairly prejudicial conduct)............ 152

제 2 관 독일의 경우................................................................................... 153
I. 신주인수권 배제 요건에 관한 독일의 판례..................................... 153
1. 신주인수권 배제 정당성 판단과 해석론으로서 실질적평등원칙.......... 153
2. 인가자본에서의 신주인수권 배제 정당성 판단............................ 154
II. 인가자본 하에서 신주인수권 배제 관련 소송요건의 해석......... 155
1. Siemens/Nold 판결의 문제점 – 확인의 이익............................. 155
2. Mangusta/Commerzbank 제2사건 (2006) .................................... 155

제 3 관 미국의 경우................................................................................... 156
I. 개 관........................................................................................................... 156
II. 신주발행과 신인의무(fiduciary duty)............................................... 157
1. 신인의무.................................................................................................. 157
2. 신주발행과 다수주주의 책임............................................................. 159
(1) 의의........................................................................................................ 159
(2) 다수주주의 소수주주에 대한 신인의무 성립 요건.................... 160
(3) 다수주주의 신인의무가 인정되는 경우의 구체적 판단기준... 161
III. 지분희석과 소송형식........................................................................... 162
1. 대표소송과 직접소송의 구별 기준 - special injury................. 162
2. 구체적 판례............................................................................................ 163
(1) Tri-Star 사건 (1993)....................................................................... 163
1) 사실........................................................................................................ 163
2) 법원의 판단 – 직접소송을 허용한 사례.................................... 164
(2) Rossette 사건 (2006)......................................................................... 164
1) 사실 관계............................................................................................. 164
2) 판시내용 ① 주주간 부의 이동과 소송형식................................ 165
3) 판시내용 ② 직접소송의 요건으로서 손해의 크기................... 166
(3) Gatz v. Ponsoldt 사건 (2007)......................................................... 166
1) 사실 관계............................................................................................... 166
2) 판시 내용 – 새롭게 지배주주 지위를 획득한 자의 신인의무........... 167
IV. 보론 : 종류주식 - 의결권이 다른 주식의 발행.......................... 168
1. 고려해야 할 사항.................................................................................. 168
2. Providence & Worchester Co. v. Baker (1977)......................... 169
3. Unilever Acquisition Corp. v. Richardson-Vicks, Inc., (1985)...... 170
4. Williams v. Geier (1987).................................................................. 170

제 4 관 일본의 경우..................................................................................... 172
I. 개 설........................................................................................................... 172
II. 신주발행 유지 청구 및 무효 사유.................................................... 173
1. 신주발행 유지청구 및 무효 사유..................................................... 173
2. 발행가액 규제 - 유리발행................................................................. 174
3. 불공정발행 – 일응 주요목적 기준............................................... 175
4. 일반법리로서 주주평등원칙............................................................. 175

제 3 절 소 결 - 법원의 신주발행 규제에 대한 제언......................... 177
I. 신주발행에 있어서의 신인의무의 구체적인 내용........................... 177
1. 우리 상법 및 판례상의 문제점......................................................... 177
2. 대안의 모색............................................................................................ 177
(1) 의무 주체의 확대 - 지배주주 등................................................ 177
(2) 의무 상대방의 확대 - 실질적 평등원칙의 적극적인 적용... 178
(3) 신주발행에 있어서 이사의 신인의무의 내용............................ 179
1) 주주배정에서의 이사의 신인의무 – 특히 발행가액의 설정.......... 179
2) 주주배정에서 발행가액을 고가로 설정했을 경우의 문제..... 181
3) 실질적평등원칙 및 개별주주에 대한 신인의무의 기능과 한계............. 182
II. 부당한 신주발행에 대한 구제수단의 다각화.................................. 184
1. 우리 상법상의 문제점......................................................................... 184
2. 대안의 모색............................................................................................ 184
(1) 대표소송과 직접소송......................................................................... 184
(2) 구제수단의 다각화............................................................................. 187


第 5 章 結 論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9593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신주발행-
dc.subject주주배정-
dc.subject신주인수권-
dc.subject신인의무-
dc.subject주주평등-
dc.subject.ddc340-
dc.title신주발행에 있어서 신주인수권 기타 주주보호수단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93-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3-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