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재판정의 취소에 관한 연구-영국 중재법과 우리 중재법을 중심으로 : Annulment of Arbitral Awards-A Comparison of English and Korean Law and Practic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석광현-
dc.contributor.author김민경-
dc.date.accessioned2017-07-19T03:33:26Z-
dc.date.available2017-07-19T03:33:26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115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8632-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4. 8. 석광현.-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국제상사중재는 국제소송과 비교하였을 때 전문성, 절차의 유연성, 비밀성, 국제분쟁에 있어서 중립성, 집행의 용이성 등 많은 장점으로 국제거래에서 대표적인 분쟁해결방안으로 자리잡았다. 한편, 중재판정에 절차적, 실체적으로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법원이 이를 바로잡을 필요성이 있는데, 그러한 수단 중 하나가 중재판정의 취소이다. 그러나 중재판정에 절차적, 실체적 하자가 인정되는 모든 경우에 법원이 중재판정을 취소한다면, 당사자 자치에 의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쟁해결방법으로서의 중재제도의 취지가 몰각되는 결과가 된다. 이에 중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중재판정의 절차적, 실체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법원이 중재판정을 어느 정도로 통제하여야 하는지 문제된다.
우리는 1999년에 국제연합 국제무역법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의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이하 모델법이라 한다)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중재법을 개정함으로써 세계적인 수준의 중재규범을 갖게 되었는데, 그 이후 실질적인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간의 변화된 현실에 맞게 중재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중재법 개정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외국의 입법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데, ① 우리 기업이 당사자가 된 국제계약에서 영국법을 준거법으로 정하고, 영국을 중재지로 정하여 중재합의를 하는 경우가 많고, ② 영국은 16세기부터 중재가 성행하여 중재의 역사가 우리보다 훨씬 오래되어 중재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되었고, 영국 법원의 중재판정 취소에 대한 판단은 홍콩, 싱가포르 등 중재지로 선호되는 다른 국가의 법원에서도 존중받고 있으며, ③ 영국은 1996년 중재법을 개정하면서 모델법을 그대로 수용한 대부분의 국가들과는 달리 모델법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법률문제에 대한 항소 등 자국 특유의 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영국 중재법과 중재판정 취소에 대한 영국 법원의 태도를 검토할 가치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영국과 우리의 중재법상 중재판정 취소사유와 판례의 태도를 비교․분석하여 법원의 중재판정에 대한 적정한 통제의 정도를 살피고자 하였고, 아울러 중재판정 취소의 소송절차, 취소의 소 또는 취소사유를 배제하는 합의의 효력, 중재판정 취소와 승인․집행과의 관계에 대하여도 논하고자 하였다.
우리 중재법과 영국 중재법은 모두 모델법의 영향을 받아 국내중제와 국제중재를 함께 규율하고 있고, 양자 모두 민사중재와 상사중재를 구별하고 있지는 아니하나, 본 논문은 국제거래에서의 분쟁해결의 한 방법으로서의 중재에 초점을 맞춘 것이므로, 제2장에서는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취소를 논의하기 위한 전제로 국제상사중재의 개념 및 장․단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국제상사중재판정 취소의 필요성과 한계, 모델법상 중재판정의 취소사유 및 취소의 소송절차, 모델법을 받아들였으나 모델법보다 확장된 중재판정 취소사유 또는 제한된 취소사유를 인정하는 각국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영국과 우리 중재법의 제정배경에 관하여 본 후, 제5장에서는 영국 중재법과 우리 중재법상 중재판정의 취소사유와 그에 대한 학설 및 판례의 태도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영국 중재법이 우리 중재법보다 중재판정에 대하여 광범위한 통제를 하고 있으나, 이는 역사적으로 중재판정의 취소사유를 제한하려는 방향으로 중재법이 개정된 결과이고, 영국 법원이 중재판정에 개입하는 것에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영국 중재법과 우리 중재법의 중재판정 취소의 소송절차의 이동(異同)을 분석하고, 입법론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제7장에서는 중재판정 취소의 소 또는 취소사유를 배제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각국의 입법례와 영국, 우리나라의 태도를 분석하여 배제합의의 허용 여부 및 그 범위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제8장에서는 모델법과 영국 중재법, 우리 중재법의 중재판정 취소사유와 승인․집행거부사유를 비교하고, 중재판정 승인․집행단계에서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를 주장하기 위한 사전권리구제절차로 중재지에서 중재판정 취소의 소를 제기하였을 것이 요구되는지와 중재판정 취소의 소를 제기하지 않은 경우 중재판정 승인 및 집행단계에서 승인 및 집행의 거부사유로 중재판정에 취소사유가 존재함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법원은 중재판정에 정의의 관점에서 묵과할 수 없는 절차적, 실체적 하자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중재판정을 취소하여야 하고, 국제상사중재에 대해 필요불가결한 한도 내에서 개입하여야 한다. 그것이 소송에 우선하여 중재에 의하여 분쟁을 해결하려 한 당사자의 의사에 부합하고, 국제거래의 발전에도 기여하기 때문이다. 법원의 중재판정에 대한 통제를 최소화함으로써 당사자 자치에 의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쟁해결방안인 중재제도의 존중과 중재로 인하여 권리를 침해받은 당사자 보호 사이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제 2 장 국제상사중재의 개념 및 장․단점 3
제 1 절 국제상사중재의 개념 3
1. 중재 4
2. 국제성 4
3. 상사 6
제 2 절 국제상사중재의 장․단점 7
1. 국제상사중재의 장점 7
가. 유연성 7
나. 전문성 8
다. 비밀성 8
라. 국제분쟁 해결에 있어서 중립성 8
마.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의 용이성 9
2. 국제상사중재의 단점 9
가. 불확실성 9
나. 진실발견의 어려움 9
다. 다수당사자간 분쟁해결에 취약 10
제 3 장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취소 10
제 1 절 국제상사중재판정 취소의 필요와 한계 10
1. 국제상사중재판정 취소의 필요성 10
2.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취소의 한계 11
제 2 절 모델법상 중재판정의 취소 11
1. 국제연합 국제무역법위원회의 모델법 채택 11
2. 모델법의 중재판정 취소사유 12
3. 모델법상 중재판정 취소의 절차 15
제 3 절 입법례 15
1. 모델법보다 중재판정 취소사유를 넓게 인정하는 예 16
가. 미국 16
나. 영국 18
다. 기타 18
2. 모델법보다 중재판정 취소사유를 좁게 인정하는 예 18
가. 프랑스 18
나. 스위스 19
3. 중재판정 취소를 허용하지 않는 예 20
제 4 장 영국과 우리 중재법의 제정배경 20
제 1 절 모델법의 수용 20
제 2 절 영국 중재법 21
1. 영국 중재법의 발전과정 21
2. 1950, 1975, 1979년 중재법 22
3. 1996년 중재법 23
제 3 절 우리 중재법 25
1. 제정배경 25
2. 중재법의 개정 25
제 5 장 영국 중재법과 우리 중재법의
중재판정 취소사유 27
제 1 절 영국 중재법의 취소사유 27
1. 중재판정의 취소 32
가. 중재판정부의 관할권이 없을 때(영국 중재법 제67조) 32
1) 불복의 대상 32
2) 관할권 34
가) 중재가능성 34
나) 실체적 사유 35
다) 중재합의의 범위 35
3) 관할권에 관한 중재판정 취소의 속심적 성격 35
나. 중재판정부, 중재절차, 중재판정에 영향을 미친 중대한 하자가 있을 때(영국 중재법 제68조) 36
1) 입법취지 36
2) 실질적 부정의의 의미 37
가) 중재판정에의 영향 38
나) 현실적인 영향(real effect) 38
다) 금전적인 손해 39
라) 중재인의 권한 행사의 오류 40
3) 제68조 제2항에 열거된 사유 40
가) 중재판정부가 제33조에 규정된 중재인의 일반적 의무를 위반한 때 [제68조 제2항 (a)] 40
(1) 자연적 정의(Natural Justice) 41
(2) 중재인의 절차에 대한 결정 42
(3) 판정의 오류 43
(4) 중재인의 편견(bias) 45
(5) 중재절차의 지연 46
나) 중재판정부가 관할권 외의 권한을 유월한 때[제68조 제2항 (b)] 47
다) 중재판정부가 당사자의 합의에 반하여 중재절차를 진행한 때 [ 68조 제2항 (c)] 48
라) 중재판정부가 중재부탁사항에 대하여 모두 판단하지 않은 때[제68조 제2항 (d)] 49
마) 중재절차 또는 중재판정과 관련하여 당사자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중재기관, 개인 기타 기관이 그 권한을 유월한 때[제68조 제2항 (e)] 50
바) 중재판정의 효력이 모호하거나 불확실한 때[제68조 제2항 (f)] 51
사) 중재판정이 사기(fraud)에 의해 얻어졌거나 중재판정 자체 또는 그 판정이 이루어진 과정이 공공질서에 반하는 때[제68조 제2항 (g)] 52
아) 중재판정의 형식이 그 요건을 결여한 때[제68조 제2항 (h)] 55
자) 중재판정부, 중재판정 또는 중재절차와 관련하여 당사자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개인, 중재기관 기타 기관이 중재판정을 하거나 중재절차를 진행함에 있어 중대한 하자가 있었음을 인정한 때[제68조 제2항 (i)] 55
2. 중재판정의 법률문제에 대한 항소(영국 중재법 제69조) 56
가. 입법취지 56
나. 임의규정 57
다. 적용범위 58
라. 법률문제의 의미 59
마. 당사자의 합의 또는 법원의 허가 61
1) 당사자의 합의가 있는 경우 61
2) 법원의 허가 61
가) 법률문제에 관한 결정이 당사자의 권리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것 62
나) 법률문제가 중재판정부에 의하여 판단될 것이 요구될 것 63
다) 중재판정의 사실인정을 기초로 하였을 때, 중재판정부의 그 문제에 관한 결정이 명백히 잘못되었거나, 그 법률문제가 일반적으로 공적으로 중요한 것이고 중재판정부의 판단에 최소한 심각한 의심이 들 것 64
라) 당사자의 중재합의에도 불구하고 모든 상황에 비추어 법원이 그 문제에 관하여 판단하는 것이 적절하고 정당하다고 인정될 것 66
제 2 절 우리 중재법의 취소사유(중재법 제36조) 67
1. 당사자의 무능력 68
2. 중재합의의 무효 68
가. 중재합의의 무효, 취소, 철회 68
나. 선택적 중재조항의 경우 70
1) 학설의 태도 71
2) 판례의 태도 72
3) 검토 73
다. 중재가능성과의 관계 73
3. 피신청인의 방어권 침해 74
4. 중재합의의 범위 일탈 75
5. 중재판정부의 구성 또는 중재절차의 하자 77
가. 중재판정부 구성의 하자 77
나. 구 중재법상 취소사유 78
1) 이유불기재 82
2) 판단누락 83
6. 중재가능성 결여 85
가. 독점금지법 관련 분쟁 86
나. 지적재산권의 유효성에 관한 분쟁 87
다. 증권거래에 관한 분쟁 88
라.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관한 분쟁 88
마. 도산사건 88
7. 공서위반 89
가. 국제적 공서와 국내적 공서 89
나. 실체적 공서와 절차적 공서 90
1) 실체적 공서 91
2) 절차적 공서 91
다. 실질재심사 금지 93
제 3 절 검토 93
1. 영국 중재법 제67조, 제68조의 중재판정 취소사유와 우리 중재법 제36조의 취소사유 비교 93
가. 영국 중재법을 기준으로 한 경우 94
1) 영국 중재법 제67조의 취소사유 94
2) 영국 중재법 제68조의 취소사유 94
나. 우리 중재법을 기준으로 한 경우 96
2. 영국 중재법 제69조의 법률문제에 대한 항소와 우리 중재법의 취소사유의 범위 비교 96
3. 영국 중재법의 중재판정 취소사유․법률문제에 대한 항소사유와 우리 중재법의 중재판정 취소사유의 범위 비교 97
4. 법률문제에 대한 항소 도입여부 검토 99
제 6 장 중재판정 취소의 소송절차 101
제 1 절 영국의 중재판정 취소의 소송절차 102
1. 관할 102
2. 당사자 102
3. 제소기간 103
4. 사전권리구제절차 소진 104
5. 상대방 및 중재판정부에 대한 통지 105
6. 이의권의 상실과 포기 105
가. 이의권의 상실 105
나. 이의권의 포기 108
7. 법원의 절차 진행 108
8. 법원의 판단 및 그 효력 109
가. 결정(order)의 종류 109
나. 확인결정의 효력 110
다. 변경결정의 효력 110
라. 환송결정의 효력 111
마. 취소 또는 무효선언결정의 효력 112
바. 중재판정 취소 등 결정과 중재합의의 효력 112
9. 법원의 부수적 명령 113
10. 취소결정 등에 대한 불복 113
제 2 절 우리의 중재판정 취소의 소송절차 114
1. 취소의 소의 성질 114
2. 소송물 115
3. 소의 제기 115
가. 당사자 115
나. 관할법원 115
다. 제소기간 116
4. 심판 116
5. 취소의 효력 117
가. 중재판정 취소의 확정판결의 효력 117
나. 중재판정 취소와 중재합의의 효력 117
제 3 절 검토 118
1. 환송 및 변경판결 도입 118
2. 중재판정 취소의 판단형식 119
3. 중재절차 내의 항소 또는 재심제도 도입 120
제 7 장 중재판정 취소의 소 또는 취소사유를 배제하거나 제한하는 합의의 허용 여부 121
제 1 절 배제합의 121
제 2 절 입법례 122
1. 스위스 123
2. 벨기에 124
3. 프랑스 124
4. 독일 125
제 3 절 영국의 경우 126
1. 영국 중재법 제67조, 제68조의 경우 126
2. 영국 중재법 제69조의 경우 126
3. ICC 중재규칙과 배제합의 126
제 4 절 우리의 경우 128
제 5 절 검토 129
제8장 중재판정 취소와 중재판정
승인․집행거부의 관계 130
제 1 절 중재판정의 승인․집행 130
1. 중재판정의 승인 130
2. 중재판정의 집행 130
제 2 절 중재판정 취소사유와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1
1. 뉴욕협약상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1
가. 적용범위 131
나.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1
2. 모델법상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3
가. 중재판정의 효력 133
나. 모델법상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4
3. 영국 중재법상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4
가. 중재판정의 효력 134
나.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135
1) 국내중재판정과 제네바협약, 뉴욕협약이 적용되지 않는 외국중재판정, 무국적중재판정의 경우(영국 중재법 제66조)
135
가) 필수적 허가거부사유 136
나) 임의적 허가거부사유 137
2) 뉴욕협약이 적용되는 외국중재판정의 경우 137
3) 제네바협약이 적용되는 외국중재판정의 경우 138
4. 우리 중재법상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 139
가. 중재판정의 효력 139
나.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139
제 3 절 중재판정 취소와 승인 및 집행거부의 관계
140
1. 승인 및 집행거부와 중재지에서 구제의 소진 여부 140
가. 입법례 141
1) 홍콩, 미국, 이탈리아의 경우 141
2) 독일의 경우 141
나. 영국의 경우 143
다. 우리의 경우 144
라. 검토 145
2. 취소사유, 승인 및 집행거부사유의 차단효 145
가. 영국의 경우 145
나. 우리의 경우 146
다. 검토 148
제 9 장 결론 148
제 1 절 논의의 정리 및 국제상사중재판정에 대한 법원의 통제의 적정한 정도 149
제 2 절 입법론적 시사점 152
1. 법률문제에 대한 항소 도입 여부 152
2. 판단누락을 취소사유로 명시 152
3. 강행규정과 임의규정의 구분 153
4. 중재판정의 환송, 변경 도입 검토 153
5. 중재판정 취소재판의 신속성 도모 153
6. 중재절차 내의 항소제도 마련과 사전권리구제소진원칙 도입
154
7. 배제합의 허용여부 154

참고문헌 156
부록 168
1. 영국 중재법 번역문 168
2. 프랑스 민사소송법 번역문 179
3. 독일 민사소송법 번역문 180
4. 미국 연방중재법 번역문 181
5. 뉴욕협약 번역문 183
6. ICC 중재규칙 번역문 185
7. LICA 중재규칙 번역문 185
8. 영국의 판례 인용방법 186
Abstract 18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5138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재판정 취소-
dc.subject영국 중재법-
dc.subject법률문제에 대한 항소-
dc.subjectexclusion agreement-
dc.subjectserious irregularity-
dc.subjectUNCITRAL 모델법-
dc.subject.ddc340-
dc.title중재판정의 취소에 관한 연구-영국 중재법과 우리 중재법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nulment of Arbitral Awards-A Comparison of English and Korean Law and Practic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in Kyung Kim-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13, 190-
dc.contributor.affiliation법과대학 법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