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책수단으로서의 탄소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빈

Advisor
이창희
Major
법과대학 법학과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후변화환경세탄소세환경정책수단유도적·조정적 조세효율공평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5. 2. 이창희.
Abstract
기후변화는 21세기에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점점 심해지는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경우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몇 가지 법률적 쟁점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관련 국내외 자료와 문헌 및 선행연구, 환경부 등에서 발행한 각종 통계자료 등을 이용한 문헌조사방법이다.

이 연구를 위한 배경으로 기후변화의 원인 및 그 대응 수단, 우리나라 환경관련 조세와 환경부담금의 현황, 외국의 탄소세 도입사례를 통해 탄소세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세의 헌법상 정당성, 탄소세를 도입할 때 고려하여야 할 기본원칙, 우리나라 환경관련 조세와 환경부담금의 문제점 및 구체적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기후변화의 원인은 인간의 활동, 즉 화석연료의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급격한 증가이다. 전통적인 환경정책수단은 직접규제수단을 사용하는 것이었으나, 현재에는 경제적 유인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기후변화협약 이후에는 유럽을 시작으로 탄소세와 배출권거래제가 널리 운영되고 있고,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몇몇 유럽 국가들은 1990년부터 탄소세를 도입하였고, 그 결과 에너지소비가 감소하고 온실가스가 감축되었다. 이러한 세계 각국의 노력은 앞으로 탄소세를 도입하는 국가들에게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탄소세는 조세가 정책적 수단으로 사용되는 유도적·조정적 조세에 해당하고, 유도적·조정적 조세는 헌법상 허용되는 조세의 한 종류이다. 한편 탄소세의 도입으로 인하여 직업의 자유, 재산권 등과 같은 기본권과의 충돌이 발생하나, 그러한 충돌은 위헌심사 기준인 비례의 원칙을 준수하여 헌법상 정당화되므로, 탄소세는 합헌적 조세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탄소세의 도입이 헌법상 정당화되더라도 그 구체적인 설계에 관하여 검토가 필요하다. 세금을 설계하는 기본원칙인 효율과 공평의 원칙이 충분히 실현될 수 있고, 나아가 기업의 경쟁력이 악화되지 않도록 탄소세를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환경관련 조세와 부담금의 문제점을 효율과 공평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탄소세를 도입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소비에 따른 사회적 한계비용의 내부화를 강화하고, 화석연료의 소비에 대한 과세체계를 간소하게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평을 개선하기 위해 낮은 세율의 탄소세를 우선 도입한 다음 점차 세율을 높이고, 부문별로 단계적으로 도입하되, 사회적 저소득층에 대한 재정지출을 통하여 탄소세의 역진성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낮은 세율의 탄소세를 처음 도입하더라도 그 범위 내에서 사회적 한계비용의 내부화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여 세율을 정해야 할 것이다.
Climate chang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mankind to solve in the 21st century. South Korea is facing a rising need to introduce carbon taxes to respond to the increasingly serious climate chang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ouple of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need to introduce carbon taxes in the nation.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adopted the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involving concerned data and previous studies home and abroad and all kinds of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other agencies.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the study looked into the causes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s, the current state of environment-related taxes and charges in the nation, and the need to introduce carbon taxes based on overseas cases of introducing carbon taxes and discussed the grounds for the justification of carbon taxes in the Constitutions, the principles to consider when introducing carbon taxes, and the problems with and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nvironment-related taxes and charges in the n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causes of climate changes include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rapidly increasing carbon dioxide due to the consumption of fossil fuels. The traditional environment policies were based on orders and control, but economic incentives are actively introduced and operated toda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tarting with Europe have widely operated carbon taxes and emission trading systems since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An emission trading system is scheduled to come into effect in South Korea in 2015.

Some European countries introduced carbon taxes in 1990 and th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reduced. Such efforts made around the globe will make good precedents for countries to introduce carbon taxes in the future.

Carbon taxes have their legitimacy in the Constitution as corrective taxes. The introduction of carbon taxes should not infringe other basic rights. If the carbon taxes will comply with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they have the constitutional legitimacy.

As seen abov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pecific design of carbon taxes specifically even though their introduction is justified. It will be desirable to design carbon taxes in a way to realize the principle of efficiency and fairness, which are the basic ideologies to guide tax designs, and to prevent corporate competitiveness from becoming weak.

Finally, the study examined the problems with the environment-related taxes and charges current in operation in the 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and fairness and proposed specific solutions. It is required to reinforce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 marginal cost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fossil fuels after the introduction of carbon taxes and unify the taxation systems for the consumption of fossil fuels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It is needed to introduce low carbon tax rates and then increase them gradually, introduce carbon taxes by the stages according to the sectors, and supplement the reversibility of carbon taxes through financial expenses for the low-income bracket in the society in order to enhance fairnes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6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