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특허청구범위 해석에 관한 연구 - 한국 및 미국 판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명조

Advisor
정상조
Major
법과대학 법학과(지식재산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특허청구범위 해석균등론기능식 청구항claim interpretationdoctrine of equivalentsmeans plus funtion clai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지식재산전공), 2012. 8. 정상조.
Abstract
특허청구범위 해석은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특허발명의 권리범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다. 무형의 재산권인 특허의 보호범위를 결정짓기에 청구항의 권리범위에 대한 해석을 두고 특허출원 과정이나 특허 라이센스 및 특허침해소송 등의 분쟁 상황에서 양당사자들은 치열한 공방을 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 해석에 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의 법적 기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은 영미법 체계이나 한국은 대륙법 체계로 다른 법체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특허 소송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고액 배상의 사례가 많고 그에 따른 다양한 판례가 많이 축적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 해석은 특허 소송에서의 시작점이며 핵심으로 소송과 관련된 판례들을 살펴보고, 미국과 우리나라의 관련된 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청구범위해석에 있어서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의미가 있으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능식 청구항의 경우를 예로 들면, 미국에서 인정되는 것과 같이 최근 한국에서도 인정은 되고 있으나, 그 권리범위에 대한 해석의 기준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바람직한 특허청구범위 해석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일반적인 이론에서부터 균등론, 그리고 기능식 청구항과 같이 특수한 청구범위까지 미국과 우리나라의 판단기준을 비교하여 고찰하여 보는 것은 특허 출원, 심사, 소송 단계에서의 당사자들 사이의 이해의 폭을 줄여주고 합리적인 해석을 도와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laim interpretation is the very important process to define the right scope of the patent invention. Because this claim interpretation determine the right scope of the patent which is intangible property, the parties concerned launch a desperate offensive and defensive warfare during a dispute such as patent license negotiation or patent litigation. We have to see carefully the law of foreign countries and Korea to set up the objective and rational basis.
There are two legal systems in the world. One is the common law system, another is civil law system. United States has a common law system, whereas Korea has a civil law system. There have been many hundreds of patent litigations and major claims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 Many precedents in the patent litigation were accumulated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claim interpretation is the point of origin and the core in the patent litigation. To see the related law and the precedents in United States and Korea would be meaningful and helpful to find the objective and rational basis in the claim interpretation by comparative method. For instance, although the means-plus-functional claim is permitted by United States and Korea, the claim interpretation for the means-plus-functional claim is not sam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s helpful to suggest the objective and rational basis for the desirable claim interpretation.
The study of claim interpretation from the common theory to the doctrine of equivalents and the means-plus-functional claims will diminish the range of understanding among the parties concerned in the course of patent prosecution, patent examination, patent litigatio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7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