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현대미술의 노마디즘(Nomadism)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Nomadism in Contemporary Korean Ar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세희

Advisor
정형민
Major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마디즘(Nomadism)노마드 미술(Nomad Art)노마드-예술가(Nomad-Artist)한국 현대미술전지구화 현상(Globaliz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경영, 2013. 8. 정형민.
Abstract
노마디즘(Nomadism)이란 생존 또는 더 좋은 삶을 누리기 위해 끊임 없이 이동을 선택하는 노마드(nomad)의 생활방식을 반영한 개념이다.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에 의해 현대철학에 등장한 이 개념은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이 초래한 디지털화와 전지구화(globalization)를 이룬 현대사회를 분석하는 틀로 사용되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예술계에서도 다양한 국가와 경계들을 넘나들며 하나의 표현양식 또는 작품형식에서 탈피하는 예술가들을 노마드라 부르며 이들의 유목적 성향의 미술과 실험적 작품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들뢰즈와 가타리, 자크 아탈리 그리고 야스민 아바스가 각자 제안한 노마디즘 개념을 분석하고, 노마드 미술의 특성으로 변동성과 재생산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예술계의 노마디즘 현상과 다양한 노마드-예술가들의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한국 출신의 노마드-예술가들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한국 출신 노마드-예술가로는 미국에서 거주하는 서도호, 영국에서 거주하는 신미경, 독일에서 거주하는 양혜규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들은 각자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지만 한국에서의 미술교육을 바탕으로 국제적인 예술가로 거듭나 작가들 특유의 유목적 성향의 작품들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출신의 노마드-예술가들의 작품에 어떠한 유목적 성향과 특징을 보이는지를 연구하여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노마디즘은 예술계에서 노마드 미술과 노마드-예술가들을 등장 시켰다. 노마드 미술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노마디즘에 기반을 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예술행위이다. 물리적인 형태나 장르, 사상과 개념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변동 가능하고 재생산 가능한 현대적 미학의 노마드 미술은 노마드-예술가들에 의해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창조적 영역 외에도 실질적으로 자신의 위치와 정체성을 설정하는 데 있어 하나의 공동체, 국가 또는 문화적 배경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롭게 여러 지역과 사상을 넘나드는 존재들이다.
전지구화의 영향으로 급증한 현대미술계의 노마드-예술가들은 각기 다른 배경과 환경에서 이동을 시작하고 그 과정에 대해 다른 감정과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을 기준으로 노마드-예술가들을 크게 세 그룹(디아스포라적 노마드-예술가, 의도적/전략적인 노마드-예술가 그리고 여행하는 노마드-예술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된 한국 출신 작가들은 개인적인 발전과 관심사에 의해 이동을 시작한 의도적/전략적 노마드-예술가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부류의 노마드-예술가들은 공통적으로 국제적인 활동을 위해 전략적으로 어느 한 곳 또는 획일화된 존재성을 설정하지 않고 그 사이 어딘가에서만 볼 수 있는 관점으로 작업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 이들은 보다 개인적인 관심사에 의거하여 선정된 전지구적인 이슈들을 작품에서 다루는 경향을 보였다.
세 명의 한국 출신 노마드-예술가들은 전지구적 이슈들에 대해 직접적인 메시지 또는 비판적 의식을 표출하기보다는 오브제 또는 환경/공간을 옮기거나 재창조하며 전지구화 현상 속의 자아와 이동하는 존재로서의 상태 또는 깨우침을 섬세하고 미묘하게 표현하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소재를 선정하여 수공예에 가까운 방식으로 감각적인 조각 또는 설치작업을 위주로 활동하였다. 서도호는 천으로 고향집의 형태를 완벽하게 만들어 언제 어디서든 다시 펼쳐볼 수 있는 추억의 공간을 재생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신미경은 한국 미술교육에서 중시하던 원본에 대한 완벽한 재현을 바탕으로 서양 또는 동양의 유물들을 원본보다 더욱 투명하고 향기로운 비누조각으로 재탄생 시켰다. 양혜규는 쉽게 구할 수 있는 공산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정체성과 감정을 드러내는 오브제 또는 설치작품을 만들었다.
한국인 노마드-예술가들의 미술은 전지구화 시대에 집을 떠난 한국인의 경험으로 얻은 정서와 관점을 내포하는 한국 현대미술의 한 줄기의 흐름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새로운 성격의 노마드적 존재들이 예술계에서 지속적으로 생겨날 것이다. 이러한 작가들의 시각과 창조적 사고는 한국 현대미술의 다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아직 표면에 나타나지 않은 노마드-예술가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Nomadism is a concept that reflects the lifestyle of a nomad, who has no permanent adobe and moves from place to place in pursuit of a better living condition. This concept was first introduced by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in modern philosophy, then became emphasized even more during the digit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Contemporary artists who cross over multiple styles, medium and disciplines without any territorial boundaries are considered as nomad and their experimental creations and nomadic tendencies came into the spotlight.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key concepts of Nomadism proposed by Deleuze and Guattari, Jacques Attali and Yasmine Abbas and further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Nomad Art. Sinc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Nomadism in Contemporary Korean Art, three Korean Nomad-Artists are selected and their major artworks are closely examined. Three selected artists are Do Ho Suh working and living mostly in the Unites States, Meekyoung Shin in the United Kingdom and Haegue Yang in Germany.
Nomad Art is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artistic mode, which is distinctively characterized by continuous changeability and reproducibility. Nomad-Artists do not settle for a single form of expression, genre, medium or a concept. Instead, they move freely among various expressive means, nationalities and cultural identities. It is difficult to theorize the complex nomadic tendencies of dramatically increasing Nomad-Artists in the globalized art world.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ommonly sharing characteristics of diverse Nomad-Artist.
Diasporic Nomad-Artists Intentional/Strategic Nomad-Artists and Traveling Nomad-Artists are the three classifications of Nomad-Artists proposed for the study. Each group shares similar mobile experience and common attitude towards the nomadic way of life. Diasporic Nomad-Artists are the ones who have experienced separation from their homeland due to oppressive causes, but as time passes they overcome their trauma and becomes global nomads. Intentional/Strategic Nomad-Artists are the group of artists who willingly left home for better recognition in the globalized art world. Traveling Nomad-Artists are the ones, who were born in the environment where they experience frequent relocation, therefore they see mobility as universal and ordinary phenomenon of current society.
The three Korean artists selected for the study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tional/Strategic Nomad-Artists. This group of artists commonly share the merit of expressing their personal opinion on current issues of the globalized world through creative works. Do Ho Suh made 1:1 fabric representation of the house he grew up in Korea. By using this light weighted material, he was able to carry part of his history and identity anytime and anywhere he travels. Meekyoung Shin made realistic duplicates of ancient marble sculptures and Asian ceramic vases by using soap to express the fragility of translation process. Haegue Yang made sensuous installation and objects with everyday industrial products and proved that her personal ideas and emotion can be expressed universality without timely and spatial restric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Nomad-Artist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streams of Contemporary Korean Art, because their artworks reflect the viewpoints and sentiments of the Koreans who left home in the globalization era. The developments of Korean Nomad-Artists will continuously grow and act as a stimulus for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a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tter acknowledge their existence and organize a systematical research on these types of artist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Korean Ar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