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의 조각의 신체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poreality' of Anish kapoor's Sculp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솔구

Advisor
김정희
Major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니쉬 카푸어신체성현상학모리스 메를로-퐁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미술경영, 2013. 8. 김정희.
Abstract
연구자가 카푸어의 조각에서 흥미롭게 느꼈던 점은 30여년의 작업 기간 동안 소재나 감상의 맥락에서 인간의 신체를 고려해왔다는 사실이다. 그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진 주제는 신체성(corporeality)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신체성은 그의 조각에서 세 가지 방식으로 드러난다. 첫째로 그의 조각에는 인체의 일부나 기관을 연상시키는 형태가 자주 등장한다. 70년대 후반의 안료 시리즈부터 2012년 완성되어 대중 출입이 허용된 에 이르기까지 대다수의 작품들은 인체의 일부를 확대하거나 추상화한 형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조각은 추상적 요소와 구상적 요소를 공유하면서 인체를 암시할 뿐만이 아니라 상징성도 내포하는 것들이다. 둘째 그의 조각은 관람 시 인체의 크기를 고려해 제작함으로써 규모(scale)가 크다. 그는 건축적 규모의 조각에서 관객의 몸에 의해 발생하는 지각과 경험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특징은 현상학을 바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셋째 그의 조각은 관객의 몸을 거울처럼 비춤으로써 인체가 작품의 일부로 만든다. 관객을 비치게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과 관객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쟈크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과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현상학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카푸어의 작품에서 신체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었고 그러한 관심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관객의 몸이 조각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지에 대한 연구이다.
본문의 첫 장은 카푸어의 조각 속에서 신체성이 표현된 양상에 따라 그의 작품을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1 절에서는 인체의 형상과 구조를 직·간접적으로 닮은 조각을 세 가지의 주제로 분류하여 연대기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2절에서는 관객의 참여가 반영되는 방식으로 신체성이 드러나는 조각을 소개했는데, 관객의 키를 고려해 압도적인 느낌을 주는 건축적 규모의 조각과 관객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비추는 재료를 사용한 조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장은 카푸어에게 있어서 신체성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생겨났는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연구자는 인체 형태를 닮은 조각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에 주목했다. 그 특징은 여성성과 남성성, 돌출과 함몰, 내부와 외부, 있음과 없음 등 인체의 대립되는 특성들이 한 작품 안에서 공존한다는 것이다. 카푸어는 대립항의 가능성을 모호하게 만드는 내러티브를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서양의 이원론적 개념을 해체하려 시도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연구자는 3장의 1절에서 대립항이 표현되는 방식들을 분석하고, 3장의 2절에서는 작가가 이러한 사고 방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을 배경을 살펴보았다.
4장은 관객의 몸이 카푸어의 조각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대해 분석했다. 몇몇 연구가들은 카푸어의 조각을 해석하는데 있어 현상학적 접근 가능성에 대해서 짧게 언급할 뿐 그의 조각을 분석하는 이론으로서 다루지는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이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고자 한다. 1절에서는 건축적 규모의 조각이 몸과 관련된 사유와 인식의 문제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해석했다. 그의 조각이 만들어내는 체화된 의식(embodied consciousness)의 개념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1945)과 「눈과 정신」(1960)을 중심으로 기술했다. 마지막으로 관객의 몸이 거울처럼 비춤으로써 현상학적인 경험을 이끌어내는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을 분석했다. 우선 많은 연구가들이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에서 대두되는 소외개념을 바탕으로 조각과 관객 사이에서 일어나는 거울작용을 설명한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시도했는데, 여기에는 메를로-퐁티의 후기저작인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완성되는 존재론적인 살의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Kapoor has produced an extraordinarily varied body of work over a career nearly thirty years. Even though the diversity in his art practice, it is clear that the whole of Kapoor's art coheres around a fundamental, related concern, 'corporeality'. In his Sculptures, this corporeality appears in three ways
At first, many of his sculptures reminds us of parts of body and organs. From pigment sculptures in the late 1970s to opened in 2012, his sculptures hold a position between abstract and concrete, not only connoting human body but also implying symbolic meaning. Second, his sculptures take count of a scale of body of audience. body perception and body experience are primary concerns in his 'sculptures at an architectural scale'. These features can be explained by based on the phenomenology. At last when viewers appreciate some sculptures, their body becomes a part of the sculpture being reflected on the mirrored surface. This reciprocal action between the viewer and the stainless steel sculpture is related to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and Maurice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notion.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corporeality found in Kapoor's sculptures, in respect to 1) how the corporeality is expressed in his sculptures, 2) how he became interested in the corporeality and 3) how his sculptures are experienced by audience's body.

In Chapter 2, I examined Kapoor's sculptures dividing them into two groups. The categorization regards to how the corporeality is expressed. First, the sculptures which resembles human body were classified in three sub-themes and interpreted chronologically. Second, the sculptures which provoke audience participation were sorted into two sub- themes
the large-scale sculptures considering body scale and the stainless steel sculptures mirroring audience's body directly.

Chapter 3 focused on how Kapoor became interested in the corporeality. I found a common ground that his sculptures which have some analogy with human body thrive on the coexistence opposition. He explores polarities, convexity and concavity, exterior and interior, presence and absence which derived from maleness and femaleness. I analyzed how this opposition coexists in his sculpture. And, I looked over his indian background and modern western(european) philosophy in order to explain this ambivalence.

Chapter 4 discussed how his sculptures are experienced by audience's body. Although some former researchers have referred to phenomenological approach possibility, they have not adapted to it as a major theory to explain Kapoor's sculptures. Therefore, this paper is trying to improve this concept and deepen the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Kapoor's art. In the first place, I revealed that architectural scale sculptures arouse the matters of thought and cognition related to physical body. The concept of 'embodied awareness' was delineate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y of Perception(1945) and "Eye and Mind(1960)" written by Merleau-Ponty. After that, I described the features of Kapoor's stainless steel sculptures. They are often viewed to make viewers feel 'self-alienation', a psychoanalytic concept of Lacan. Furthermore I tried to interpret the interaction between mirrored sculpture and viewers based on the ontological concept of flesh defined by Merleau-Ponty's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196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