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Beyond the gaze formative function of "I" : 시선 너머에 "I"의 형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Heesoo Agnes Kim

Advisor
Oh, Gwi Won
Major
미술대학 조소과
Issue Date
2016-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olitics of selfAcculturationSocial influenceAmbivalenceConstructed identityMirror stageNarcissis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소과, 2016. 2. 외귀원.
Abstract
My work pertains to notions of life and self-identification. It plays upon the notion of dreams and deals with issues of self-identification and the social influences that affect how a personality is constructed. I am exploring a range of possibilities, from metamorphosis to transformation to questioning the construction of a self relayed through nature, animal masks, childhood toys and stories as the means to communicate my concerns.
Between the reality of existence and the search for truth the vitality of my art practice is tempered. The purpose of our existence is not to meet the expectations we create of an idealized world, but to destroy the strength and virtue of ideals. The essence of life then is to search and the artistic concerns in my art are the struggles of self. Social goals may continue for generations, but they are initially expressed through individuals.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NTRO part discusses the influences of the study, personal acculturation experience and artists researches relate to politics of self and constructed identity. Second, WORKS part presents ten art works produced during MFA. In order to contemplate formative function of I in my art practice
a double ambivalence is involved in narcissism and mirror stage. Constructed identity is the concept of the total from diverse disciplines in all the aspects of this study. Ten art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Identity through repeated actions, Politics of identity through symbol and place, and Identity revealed in motion. Lastly, concludes with FINDINGS.

본인의 작업은 삶과 자기인식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다. 사회적 환경과 교육 안에서 형성되는 정체성에 대한 고민에 대해 소통 하기 위해 자아의 형성, 주체의 구성이라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본인은 꿈의 개념과 관련해 작업으로 표현해 보려고 했으며 주체의 구성이라는 주제를 사회적 영향관계의 측면에서 다룬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자연, 환경, 동물의 탈, 유아적 장남감과 사회적 기호를 비롯한 이미지 등을 사용한다.
인간 본연의 자아는 자신이 속해있는 환경 그리고 과거 속 자신의 모습들과 밀접하게 관련하여 실현된다. 실존하는 것들과 진실을 향한 탐구 사이에서 본인 작업의 생명력은 단련된다. 사회적 목표라는 것은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지지만, 그것을 가장 먼저 표출하는 것은 한 개인이며,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상적이라고 여겨지는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정해진 이상의 힘과 덕목이라 여겨지는 것에 도전하기 위해서라는 생각을 한다. 그렇다면 삶의 본질은 탐구하는 행위로 귀결되고 본인의 작업 내부의 예술적 고민은 자신과의 투쟁이라고 할 수 있다.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미술대학)Dept. of Fine Art (미술학과)Sculpture (조소전공)Theses (Master's Degree_조소전공)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