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상잔여물의 발견과 기록 과정을 통한 탈각된 기억의 재인식 : Re-realization of Castoff Memories through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Recording the Residues of the Commonpl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채은

Advisor
김춘수
Major
미술대학 서양화과
Issue Date
2014-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퇴화와 흔적일상잔여물망각의 상기현장과 지표시간의 간극탁본의 여과와 포착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양화과, 2014. 2. 김춘수.
Abstract
현대 소비사회의 맹목적인 분주함은 상실감과 허무감을 불러일으킨다. 나에게 있어서 생산성과 성과주의에 치우쳐 있는 도시의 일상은 사색에 빠지고자 하는 욕구를 일으켰다. 이러한 정신적 부유는 특히 삶 주위에 만연한 대체이미지들이 문득 생소하게 다가오면서 진행되었다. 신속하게 변경되고 대체될 수 있는 이미지들의 세계에서 밀려난 것들. 즉 폐건물, 쓰레기더미, 방치된 자연, 통행제한구역 등과 같은 일상의 잔여물들은 급변하는 환경에서 대체가능성을 상실한 뒤 바로 유기된다. 이렇게 버려진 대상들은 현실가치를 이미 탈각한 상태로 남아 있어 더 없이 낮아진 실재의 위상과 그로 인한 공허감을 자각하게 한다. 나는 이처럼 지나간 시간과의 간극으로 인해 기존의 가치를 상실하고 방황하는 정체성을 갖게 된 대상으로부터 퇴화에 대한 새로운 국면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작업은 반복적이고 흔한 일상으로부터 수명을 다한 뒤 버려진 대상에 주목하고, 그곳에 새겨진 시간의 흔적들을 탁본으로 기록, 수집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뜨기 기법의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체험을 통하여 무의미해진 표면의 정체성과 세월의 흔적은 여과되고 포착된다. 퇴화한 흔적들은 탁주머니와 직접 맞닿는 작업 속에 흘러간 시간을 발현시키고, 습관적 일상에서 지각할 수 없었던 실재를 체감하게 한다. 이 결과물들은 이미 현실 속에 있었던 것이지만 수집됨으로써 이질적인 양태로 발견되고 생소함이라는 상태를 견디게 함으로써 일상에서 이루어진 틀에 박힌 의식들을 해제한다.
기록, 수집된 결과물들은 현장의 지표성을 지니게 된다. 산 중턱에서 소멸을 기다리는 산업부산물, 개발로부터 해체되는 자연환경, 세대변화 속 은닉된 권역 등에 대한 기록과 수집은 각각이 지닌 폐허의 부산물을 수거해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요소로 인한 변질을 정지시키고, 대상의 과거와 사건을 되짚어 보게 한다. 이로써 시간으로부터 비롯된 대상의 가변성을 가늠할 수 있다. 이는 과거와의 맹목적인 단절이 아닌 잊힌 정체성을 다시 소환하고 그것을 재인식, 재발견되는 과정들을 의도한다. 개인의 이러한 고고학적 행위는 흔적들의 틈새에 함축되어 있는 지역 안의 기억과 정서에 대한 복합체로서 망각의 역사를 상기시킨다. 유기된 일상잔여물을 발견하고 이를 고찰하는 행위는 성장과 생산의 포화가 진행되는 현실 속에서 습관적으로 수행된 진보의 관행을 멈추고자 한 것이다. 관객은 대상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스토리들을 가로질러 어느덧 유물이 되어버린 지표들을 직면할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흔한 종속적 가치들로부터 해방되어 일탈적이며 초시간적인 체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폐물적 상상(김홍중,리좀으로서의 전통과 다리의 시간풍경,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p.345.)을 통해 억압되어 있던 욕망과 비현실(여기에서 말하는 욕망은 라캉이 프로이트의 원칙을 빌려 나 속에서 내 것으로 인식되지 않은 낯선 욕망을 설명한 것으로 이는 법과 질서에서 비롯되는 윤리적인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 욕망이 아닌 쓸모없음을 적극적으로 끌어안는, 현실질서의 틀을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나는 폐물을 통해 관념에 사로잡힌 현실에서 배제되어 온 욕망과 비현실과 같은 것들을 인식하기를 기대하였다.(김용수, 『자크 라캉』, (파주: 살림, 2012), p.9~10, 15~16.p.19 인용.))에 대한 몽상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이라는 이름으로 엄습해 들어오는 것들에 대한 저항적 예술 행위가 될 수 있다. 다만, 급박하게 돌아가며 유지되는 한국사회의 일상에서 폐물적 상상에 집중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폐물을 통해 무감각해진 도시일상, 즉 사물과 장소의 본래적 의미와 가치를 망각하고 진부해진 표상들로 뒤덮인 일상을 성찰하고자 했다. 이에 폐물을 통하여 포착하려한 실재의 의미를 살피고 그 과정과 당위성을 서술하려 한다. 본론에서는 작업의 동기와 배경, 작업과정의 의의를 정립함과 동시에 일상적인 소재가 관념을 탈피하는 매개가 될 수 있는 방식을 소개한다. 어떠한 대상이 기계적인 일상에서 멀어진 뒤 문득 우발적으로 재인식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누락되었던 가치들을 소생시키고 변화와 생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현실 가치에서 벗어나서 퇴화를 직면하는 작업이 지금과는 다른 진화를 시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blind rushing life of the contemporary consumer society often generates a sense of loss and void to the members of society. To me, the city life that falls into the logic of productivity and outcome is the main reason inducing me to retreat from the life and to contemplate. This mental peregrination within me has developed while proliferated surrogate images of life uncannily appeared. There are things that forfeit their own right from the world of image in which everything can be swiftly replaced and exchanged. Those things are derelict buildings, heaps of trash, abandoned nature, no trespass areas, and so on
no sooner have such residues of the commonplace been deprived of their exchange value in the precipitating environments than those are discarded immediately. Therefore, these deprived objects, already left in a castoff state, degenerate into inferior objects in the stratification of reality, making ones recognize a sense of emptiness. In this broad picture, I, the author, have strived to disclose new dimensions of degeneration from which the abandoned objects lose their previous values and attain only transient identities because of the gulf between passed temporalities.
I have attended to objects deserted from the repetitive and trivial everyday usage, and conducted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vestiges of time etched on the objects surface. Through visual and tactile experiences of the frottage technique, the diluted identity carved on the surface and the traces of time are extracted, and finally reveal themselves. And at the same time, the degenerated indexes scintillate past times with the dabs of the frottage pestle, I have come to realize the real, the presence of which is elusive in ones habitual daily life. This enhanced recognition itself has already existed in our reality, however, it disarms the stereotypic consciousness clotted in everyday life
that recognition of collected things, found in heterogeneous forms: things, subsequently enduring the state of the strangeness.
Things thus collected and recorded come to bear the index of sites from which these were removed. To enumerate such things, those are
industrial wastes waiting for its final dissipation halfway on a mountain: natur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dissolution by the exploitation: neglected domains in generational shifts. My act of collecting and recording of which first retrieves each ruins material dregs, pauses their natural or human-involved process of degradation, thereby makes it possible for ones to perceive the past of objects and events retroactively. As a result, one can estimate the objects variability, which is derived from its own history. This activity intends, not to blindly sever the object from its history, instead to call up its forfeited identity and bring about certain processes of the re-recognition and the rediscovery of it. And this archaeological activity of an individual recalls to ones buried histories, histories as a compound structure of memories and events of regions embedded in interstices of such vestiges. The act of discovering abandoned daily remains and contemplating them is also to subvert an old convention of the progress, which was automatically integrated into the reality principle where the saturation of growth and production meet with their limits. My audiences would traverse socio-cultural-ecological narratives around which the objects accumulate, and confront the indexes, solidified as relics. Liberated from the existing mundane and subordinative value system, the audiences would be able to finally have transgressive and trans-temporal experiences.
Practicing with reveries about desires and the unreal(Yongsu Kim, Jackques Lacan, Sallim Publication: Paju City, 2012, p. 9~10, 15~16, 19. Desire I am uttering here is the desire, which Lacan exposits with principles, derived from Freud, as alienated desires inside the subject I that are not identified with myself. The desire refers to, not the desire that can be judged by the ethical principles inside jurisprudence and disciplinary domains, but the desire deviated from the reality principle, actively embracing the uselessness. I therefore have expected that via the means of the desuetude, one would be able to recognize desires and the unreal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reality obsessed by idea.), repressed by an imagination of the desuetude(Hong-jung Kim, Tradition as Rhizome and the Vista of Bridge, The Congress of Social Science Dissertation Anthology, Korea Social Science Association, 2007. P. 345,), can be an art practice, subversive of things by which one is deluged in the name of reality. Although such a cathexis – concentrating ones psychological emotion on a specific object – on the imagination of the desuetude is far from easily achieved in the daily life of Korean society where things are ceaselessly urged to be replaced and so maintained, my effort was far from insignificant. From the body of my thesis, I aim to critically reflex, by means of waste, the insensate city life, i.e. everyday life, in which one forgets the inherent meanings and values of objects and sites, and banal icons are ubiquitous. In this process, I intend to observe the significance of the real, which I strive to grasp with the residues, and to describe the process and its justifiable characters. In the body chapter, I will establish the basis for the motivation, backgrounds, and the importance of my art practice, thereby introducing a methodology that can prevent mundane materials from merging with idea. All these processes, beginning from the wastes distantiation from a mechanical daily life to a sudden re-realization of things, resuscitate omitted values and enable a novel perspective toward changes and the production. I hope my current works of art in this thesis, escaping from the reality principle, and facing degeneration, can shift to advance steps evolved from my previous work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8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