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담는 면이 높은 그릇에 대한 연구-이중기 기법을 중심으로 : Study about Bowl with High Surface Based on Double Walled Vess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유리

Advisor
황갑순, 허보윤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담는 면이 높은 그릇제기이중기높이부피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2015. 2. 황갑순, 허보윤.
Abstract
본 논문은 이중기 기법을 중심으로 하는 담는 면이 높은 그릇에 대한 연구이다. 음식 담는 면을 높게 띄운 그릇은 큰 키로 하여금 조형적 긴장감을 유발시키고 이에 따라 우아하고 고고한 이미지를 풍기게 된다. 또한 조형성과 더불어 일반 그릇과는 다른 특별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다. 담는 면이 높게 올라온 접시는 왠지 모를 신성함과 존귀한 이미지를 뿜어낸다. 예로부터 이러한 그릇이 의례 용기로 사용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릇의 담는 면을 높이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기물에 굽이나 다리, 또는 받침 같은 구조적 장치를 더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구조물 없이 기물의 형태자체에 변형을 주는 방법이다. 기물을 뒤집어 단상처럼 사용하거나 이중기 방식으로 담는 면을 높이는 방법이 후자에 해당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여러 방법 중에서 이중기 기법이 가져오는 부피감과 높이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중기는 두 기물을 접합하여 내벽과 외벽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기물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생기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과거에는 이중기 기법이 주로 투각 장식을 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오면서 많은 작가들이 이중기의 높이와 부피감에 주목하였고, 그에 따라 부피감 자체를 하나의 조형적 요소로 재해석한 작품들이 등장하였다. 연구자 또한 기물의 높이와 부피감을 강조하고자 이중기 기법을 택하였다.
담는 면이 높은 그릇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이중기 기법을 활용하여 시리즈를 제작하였다. 연구 작품을 내벽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직접 음식을 담아봄으로써, 담는 면이 높은 그릇이 주는 시각적 효과와 정서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