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복잡성을 기반으로 한 패턴 그래픽에 대한 표현연구 - 한과의 패턴 아이덴티티 연구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Expression about Patterning Graphics based on Complexity : Visualization of Patterning Identity of HANGW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지연

Advisor
김경선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Issue Date
2015-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패턴 그래픽복잡성패턴 아이덴티티확장장식한과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2015. 2. 김경선.
Abstract
패턴(pattern)은 인류의 역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발전해 온 하나의 시각적인 양상으로서, 시각적 혹은 주술적인 효과 등을 위하여 모든 민족과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패턴의 기원을 정의내리기는 힘들지만, 일반적으로는 공백의 공포를 벗어나려는 인간의 본능적인 장식욕구에서 그 뿌리를 찾고 있으며, 일종의 에크리튀르(Écriture, 근원문자)로서의 표현의 욕구를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식의 역사와 맥락을 함께하는 패턴은 피장식물(被裝飾物)에 대해 종적(從的)인 관계를 맺어왔다. 우리는 다양한 제품이나 공간 등에 적용되어진 패턴들을 통하여 패턴과 피장식물의 다양한 관계성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패턴은 전통적으로 피장식물과 별도로 논해질 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 소비사회에 들어서면서 수많은 상품들은 다양한 컨텍스트(Context) 아래에서 판매되어지게 되었고, 그로 인해 자체의 유용성만으로 판단받기보다는 일종의 종합적인 유희성을 지닌 가제트(gadget)로서의 잣대를 통하여 소비되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의 맥락은 상품들을 브랜딩의 시대로 접어들게 하였다. 브랜딩의 시대의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브랜드마다의 고유한 이미지를 상품에 부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색채와 같은 여러 시각적 요소들이 부각되었으며, 이때 관습적으로 발전해온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패턴이다. 가제트의 매력지수를 높이는 패턴은 더 이상 과거의 피장식물과의 주종관계에서 벗어나, 그 자체가 주체로써 소비되는 대상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인류에게 뿌리내려온 강한 시각문화로서의 패턴을 장식성과 복잡성이라는 키워드를 통하여 재고한다. 또, 디지털 크래프트 그래픽스(Digital Craft Graphics)라고 칭해지는 현대의 디지털 패턴들을 패턴 그래픽(Patterning Graphic)으로 칭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패턴 그래픽들이 갖는 다양한 현상과 시각적 효과 그리고 기능의 확장으로서의 패턴 아이덴티티(Patterning Identity)를 연구자의 표현연구 과정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논문의 전체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피장식물과의 패턴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기원과 역사 및 다양한 기능과 그 유형들에 대하여 설명하며, 패턴의 고유성(heritage)에 대하여 다룬다.
(2) 패턴이 갖는 성질로서의 복잡성(Complexity)의 근원과 효과를 수공예성과 엔트로피 증대효과 등을 통하여 살펴본다.
(3) 앞서 정리된 다양한 패턴의 특성들을 높은 복잡성을 지닌 패턴의 선행연구 서울, 조선을 통하여 제시한다.
(4) 소비사회와 디지털 사회에 들어서의 패턴 그래픽과 그 확장으로서의 패턴 아이덴티티에 대하여 살펴본다.
(5) 디지털 크래프트 그래픽스로서의 패턴 그래픽의 성질과 음식의 유사성을 살펴보며, 이를 통하여 한과의 패턴 아이덴티티에 대한 최종작업을 제시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피장식물의 일부로만 취급되어 온 패턴을 재조명하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이후에도 다양한 패턴의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visual aspect developing throughout the history of humanity, patterns have been a part of all ethnic groups and cultures for either visual effects or charms. There are limits in defining the origin of patterns, but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ir roots are found in the instinctive human desire for decoration and also that they, as a sort of Écriture, embody the desire for expression. Sharing context with the history of decoration, patterns have formed vertical relations with objects of decoration. While one can observe the variety of relationships between patterns and their objects of decoration via patterns applied on diverse products and spaces, the implication of such observation is that the realm of patterns had traditionally been inseparable from the objects of application.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numerous products are purchased under various contexts. They are hence consumed under standards regarding their value as gadgets of comprehensive amusement rather than goods of practical utility. This social context drove commercial products into the era of branding, in which designers began to utilize diverse visual elements to incarnate unique images of respective brand on their products. Through a series of phas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visual elements - such as color - was magnified, and patterns were one of such visual elements that customarily evolved throughout the era. As essential attractiveness-reinforcing agents of the gadgets that they cover, patterns have diverged from its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decoration
they themselves became the subject of consumption.

In this study we examine patterns as a firmly established visual culture of humanity, employing decoration and complexity as key words of research. Furthermore, through our study of expression, we intend to explain patterning identity as a variety of phenomenons, visual effects and an expansion of functions driven from patterning graphics: modern digital patterns referred to as digital craft graphics. The overall process of research goes as follows.

(1) An explanation of the heritage of patt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and the objects of decoration, the origin and history of patterns as well as their various types and functions.
(2) A look into the origin and effects of complexity as a nature of patterns via characteristics found in handicraft and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constant increase in the sum of entropies.
(3) A presentation of the properties of the patterns organized in previous chapters with reference to Seoul and Joseon, two preceding researches on patterns of high complexity.
(4) A look into patterning graphic and its expansive form - patterning identity -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and digital world.
(5) An examination of the similarity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tterning graphics - as digital craft graphics – and food, followed by corresponding final work suggesting the patterning identity of HANGWA(Korean traditional sweets).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significance in that it sheds new light on patterns that have been perceived merely as part of the objects of decoration, thus encouraging follow-up studies on the more diverse use of various patterns.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