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about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차이의 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마리아 유진 페레즈 버거

Advisor
Baek Myung Jin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ulticulturalWestEastSocietyRespectLove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2016. 8. Baek Myung Jin.
Abstract
그리스식 교육 제도에 크게 영향을 받은 서구 사회에서 공부하면서 나는 사랑에는 한 가지밖에 없다고 배웠다. 이러한 사랑은 어떤 사람을 미치게 좋아하는 감정으로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이런 감정이 나타날 때는 쉽게 알아볼 수 있다고 배웠다. 나는 주님에 대해서 배울 때는 종교적인 측면에서 욕정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욕정은 사랑과 구별되는 것으로 지적인 욕망이 아니라 육체적인 욕망인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심포지움(향연)에서 여러 유형의 사랑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데 욕정도 사랑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사실 플라톤은 아가톤을 기리기 위한 심포지움에 참석한 일곱 명의 연사가 발표한 사랑에 대한 일곱 가지 관점을 기록하고 있다. 모두들 사랑에 대해 기막힌 정의를 제시하고 있지만 한 여성의 정의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우사니아스(Pausanias)가 제시한 평범한 사랑과 천상적인 사랑이라는 이론의 차이와 디오티마(Diotima)가 심포지움에서 보여준 중요한 역할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플라톤의 향연 중에 소크라테스는 자기가 젊었을 때 디오티마로부터 사랑의 철학을 배웠다는 것을 인정한다. 디오티마는 여사제였으며 사랑의 계보를 소크라테스에게 주면서 그가 지략과 요구의 아들이라고 말했다. 티오티마가 보는 사랑은 신을 관조觀照하는 경지에 오르는 수단이다. 디오티마는 다른 인간을 올바로 사랑한다는 것은 신을 사랑하도록 그의 마음을 인도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디오티마의 말에 의하면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상대방은 정신과 영혼을 고무하여 영적인 것에 관심을 갖도록 이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아름다움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개인과는 관계없이 존재하는 미 자체를 이해하고 미의 원천인 신을 생각하고 신을 사랑하게 된다는 것이다.

학창시절 동안 많은 영향을 받았던 오랜 전통의 디오티마의 가르침을 따르면서, 극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미美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구하고자 한다. 문화적인 차이가 심한 어떤 사람과 사랑을 할 때 문화적 미를 통해 시대에 따른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게 된다. 문화적 미를 통해 사랑 때문에 만나게 되는 새롭고 낯선 문화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문화적 미는 육肉을 초월하는 정신적인 사랑의 개념을 보다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문화적 미를 통해 우리는 실재적인 것과 신적인 것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며 문화적 미에는 사라지거나 바래지거나 퇴물이 되지 않는 전통이 들어 있다.
I have been taught during my scholar years in the Western world under the highly influence Greek-based educational system, that there exists one type of love. I have been taught that is a feeling of overwhelming liking to someone else, hard to describe, yet easy to recognize when it appears. I was raised during my dedicated years to learn the word of the Lord to be aware by means of religion that Lust also exists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Love, being that it is desire for what is physical but not intellectual. In Plato's Symposium, Plato speaks of several different types of love, loves that can be taken as lust as well. In fact, Plato writes about seven different points of view on love coming from the speakers that attend the symposium in honor of Agathon. Although all these men bring up remarkable points on their definitions on love, it is Diotima, a woman, that makes the best definition to be known.

During Plato's Symposium Socrates recognizes that in his youth he was taught "the philosophy of love" by Diotima, who was a priestess and gave him a genealogy of love, stating that he is the son of "resource and need." In her view, love is a means of ascent to contemplation of the Divine. For Diotima, the most correct use of love of other human beings is to direct one's mind to love of Divinity. In her sayings, it is ensure that with genuine Platonic love, the beautiful or lovely other person inspires the mind and the soul and directs one's attention to spiritual things. One proceeds from recognition of another's beauty, to appreciation of beauty as it exists apart from any individual, to consideration of divinity, the source of beauty, to love of divinity. Following the long tradition of Diotima's teachings that influenced my years as a scholar is that I intend to explore what is the appreciation of cultural beauty in spite of the existance of dramatic differences. Beauty in that learns to appreciate what is different in times when being in love with someone whose cultural differences seem menacing. Beauty in that knows how to cope with the new and the strange because of love. Beauty that increases my appreciation for the concept of Platonic love that trascends what is physical. Beauty that directs one's attention to what is real but also towards what is Divine and by approximation include traditions that don't fade, wither or grow old.

Cultivating a global citizen perspective towards a diversity-mapped multiculturalism must start with an understanding of what are cultural values, perceptions, manners, demography, social structure, and decision-making practices in different regions. Along this line the research has brought light onto cultural differences in a global setting which has already produced some tangible guidelines for cross-cultural understanding led by digital software initiatives as successful as Facebook or less popular as the latest mobile phone.

As graphic designer creating visual communication thats consumed by the masses there are issues about social responsibility related to respect, acceptance, understanding and love that are important to emphasize.

The world has become a global village with Easterns-Westerns moving around the world.
Due to our rapidly changing world, all cultures today are in transition and depends on our capability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to make it happens in peace, unprejudiced.

As human beings, love seems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our lives: our lives go better when we are loved and when we love others.

Love is all WE need.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