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 비즈니즈 공간디자인의 초(超)비즈니스 공간화 현상 : A Study on changing phenomena of contemporary business space design to hyper-business spa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지희

Advisor
권영걸
Major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초 비즈니스 공간비즈니스 공간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인지심리학조형심리학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13. 8. 권영걸.
Abstract
기업들은 차별화된 제품디자인과 포장, 광고, 로고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전시효과에 노력해왔다. 타 브랜드와 쉽게 식별되도록 공간화한 건축물을 통해서 특별한 브랜드 이미지효과를 구축하며, 브랜드의 긍정적인 모습을 고객의 감성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서 제공한다. 기업이 요구하는 이러한 전략을 건축가나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디자인 스타일을 적절하게 해석하여 표현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건축가, 디자이너 개인의 표현 뿐 아니라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방문자들의 문화욕구, 가치욕구, 행위욕구, 휴식 등의 고차원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영역 외부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심리학, 행동경제학, 인문학, 경영학, 철학 등의 영역에 대해서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은 분리되어있는 영역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었고, 여러 분야와의 조화와 균형을 기반으로 인간에게 적합한 총체적인 것으로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은 여러 가지 변수들로 인해서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개념과 관점이 변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사회 환경과 인간의 지적요구, 가치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가와 디자이너들은 이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지만 실제 디자인을 함에 있어서 과거의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개념과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실무적인 관점에서 변화되고 있는 현대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개념을 인문학적 고찰과 특정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는 디자인의 배경지식, 요소, 수단으로 자세히 분석하고 제시하였다.

현대 비즈니스 공간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재질 및 재료, 색채, 동선 등과 같은 공간디자인의 중요 요소들은 경험디자인, 미디어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스토리텔링 등의 수단으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심리와 비즈니스 공간과의 관계에 관련된 인지심리학, 조형심리학, 환경심리학, 행동경제학 등과 깊게 관련되어 설명된다.

이때, 비즈니스 공간은 디자이너가 디자인하는 대상으로써의 공간적 의미와 사람들이 이러한 공간을 인지하고 이용하는 객체로써의 공간적 의미를 갖고 있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심리학은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에서의 단순한 고려 대상이 아닌 지배적인 기준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특징은 이전과 같이 제품의 판매나 홍보를 위한 단순한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개념과 같이 볼 수 없음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비즈니스 공간을 더 이상 단순한 비즈니스 공간으로써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가치를 즐기고, 이에 따른 양질의 정서적, 문화적 가치를 얻기 위한 공간으로써 인지하고 방문하게 되는 것이다. 공간의 작은 요소들마저도 인간의 심리와 깊게 상호작용하는 모습은 더 이상 비즈니스 공간의 방문자의 모습이라 볼 수 없다.

엄밀한 의미의 비즈니스 공간은 이 공간을 디자인 하는 디자이너에게도, 방문하는 방문자에게도 더 이상 과거의 단순한 비즈니스 공간으로 인식될 수 없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대 비즈니스 공간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공간 디자인 개념의 변화를 초 비즈니스 공간화 현상이라 명명하였으며,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의 본질적 원칙을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비즈니스공간을 선도해야할 책임을 가지고 있는 공간 디자이너에게는 이러한 개념의 변화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비즈니스 공간 디자인의 구체적인 설계안을 제시하기보다 연구자가 제시한 초 비즈니스 공간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축가나 디자이너가 비즈니스 공간을 디자인 할 때, 심리학과 같이 인간의 내적 요인들에 집중하는 관점 변화의 필요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공간 디자이너는 단순한 보급방식과 상품적 가치로 비즈니스 공간을 디자인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의 심리를 다루는 심리학적인 전문성을 지녀야 한다. 비즈니스 공간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경영자적 관점이 아닌 디자이너의 디자인 공간으로서의 초 비즈니스 공간화 현상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질 것이며, 비즈니스 공간디자인 뿐만 아니라 공간 디자인의 총체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될 것이다.
Enterprises have been making efforts for the demonstration effect of business space design in order to demonstrate its brand image effectively through differentiated product design, packing, advertisement and logo. They construct a special brand image effect through spaced buildings to easily distinguish them from other brands and provide the positive aspect of brand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of customer's emotion. For such strategy demanded by enterprise, architects or designers express their own design style with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They are now in the era that they have to think even about non-design domain such as psychology, behavioral economy, humanities, business adminstration and philosophy which are beyond the design domain in order to satisfy not only the personal expression of architect or designer but also high dimensional desires such as cultural desire, value desire, behavioral desire and relaxation of the visitors to business space design.

Business space design has been formed in the relations with the separated domains and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one appropriate to human based on harmony and balance with various fields. The existing business space design has been changing its concept and viewpoint due to various variables. Consequently, even though there are continuously growing social environment and human demand for knowledge and views, architects and designers did not break from the concepts and thoughts of conventional business space design in their actual design even 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m.

Based on such problem recogn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modern business space design that is changing in the working-level viewpoint through humanity contemplation and specific case analysis, and analyzed it in detail into design's background knowledge, elements and means and proposed them.

The major elements of space design such as display, quality of material, raw material, color and traffic line that appear in modern business space design are used as a means of empirical design, media design, service design and storytelling, which can be explained in a deep relation with cognitive psychology, architectural psychology,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related to the relations between human psychology and business space.

At that time, business space has a spatial meaning as a subject for design and also a spatial meaning as an object that people recognizes and uses such space. For designers, psychology becomes dominant criteria rather than simple consideration in space design, and such design characteristics show that it cannot be considered as a same concept as that of simple business space design for product sales or promotion. People no longer recognize business space as a simple business space but as a space that people enjoy the design value that the space itself has and, accordingly, seek for emotional and cultural value in good quality. The deep mutual interaction between even a small element of space and human psychology shows that it is no longer an appearance of a visitor of business space.

In the strict sense, business space can be no longer recognized as a simple business space in the past either by the designer who designs it or by the visitors who visit this space. The author named the series of change in the concept of modern business space as a phenomenon of hyper-business space. For the space designers who have a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 fundamental principle for business space design and lead the sustainable business spac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cognize the change in such concept. Hence, the author intended to call the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change in viewpoint, rather than to propose a concrete design solution for business space design, that architects or designers, when they design a business space, should concentrate more on the people's internal elements such as psycholog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for the phenomenon of hyper-business space that the author suggested.

Space designers should have a psychological specialty that can treat human psychology beyond the viewpoint of designing business space in a simple supply method and commercial values only. For designing a business space, the phenomenon of hyper-business space will be continuously demanded not as a business space from the viewpoint of business management but as a design space for designers, which shall provide a clue to the solution and a foothold to satisfy people's desire, not only for business space design but also for the overall problem of space desig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