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미지의 시지각적 재해석을 통한 표현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xpressio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Images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With a Focus on the Researchers Own Work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중일

Advisor
정형민
Major
미술대학 동양화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이미지상징매체도식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동양화과, 2012. 8. 정형민.
Abstract
시각예술은 보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우리는 보는 것으로부터 가장 많은 정보를 외부로부터 받아들이고, 이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 본다는 행위가 가지는 주관적인 측면을 쉽게 잊어버린다. 눈을 통해 본다는 것은,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의 방식으로만 볼 수 있다. 눈이 없는 생물은 빛이 없는 환경에서도 다른 정보들을 이용해 살아간다. 인간으로서 무엇을 본다는 행위는 객관적이며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능동적인 행위이다. 본다는 행위의 상대적인 특성은 더 나아가 각 개인에게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의한 자신만의 고유한 시각적 상징체계, 즉 보는 법을 가지게 한다.
보는 법은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둘러싼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수정되고 발전된다. 보는 법은 철로와 같다. 우리는 어떤 철로를 달릴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기관사일 수 있지만 철로가 없이는 아예 기차가 달릴 수 없다. 무언가를 알아본다는 것은 이미 그것에 대해 철로가 놓여있는 것이다. 새로 생기는 지점이나 사라지는 길들은 기차들의 흐름과 앞서 존재하는 철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앞서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보기 위해 우리는 매체를 학습해야 한다. 여기서 매체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어제와 오늘을 이어 주는 광범위한 사회적 연결망이다. 이 매체는 시대, 사회마다 다르다. 과거에는 이러한 차이들이 자연환경과 지리적 거리에 기인했지만, 오늘날에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 변화의 방향은 무엇보다도 빠른 정보의 전달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빠르게 정보가 교환되어 질수록 매체는 단순히 사람과 사회를 이어주는 기능을 넘어 제2의 세계, 가상세계가 되었다. 새로운 매체의 변화는 예술가에게 매체에 대한 이해를 새로운 과제로서 요구한다.
이 논문은 보는 법에 대한 위의 내용들을 크게 두 장으로 나누어 본인의 작업과 관련하여 분석하려 하였다. 먼저, 눈의 빛을 받아들이는 시각구조상의 특징을 이용하여 착시를 유도한 작업을 진행하였고, 더 나아가 감각적 착시만을 이용하는 것을 넘어 문화적으로 고정된 보는 법에 개입하여 지각적 착시를 유도하였다.
둘째, 기존의 유명한 도상들을 차용하여 현재 일어나고 있는 매체의 변화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진행하기위해, 차용한 각 도상의 상징을 현 시점에 통용되고 있는 의미로 분석하고, 이를 응용해 새로운 상징을 도상결합을 통해 만들어내었다.
위와 같은 일련의 작업들은 석사과정 동안 해왔던 여러 가지 생각들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한 것이다. 작업들의 이미지 자체는 사실 아무것도 아니다. 이는 내 생각을 전달하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또한 이 논문의 목적 역시 내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나의 역할을 정의하는 것에 있다. 즉, 예술가는 상징의 교환을 통하여 실재와 허구를 뛰어넘어 지각적 차원에서 관람자에게 이상적인 꿈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배역이다.

주요어 : 상징, 이미지, 시각, 복제, 매체, 도식, 착시
학 번 : 2010-21265
The visual arts are based on seeing. Because we receive the greatest amount of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rough and live by depending on seeing, we easily forget the subjective aspect of the act of seeing. Because we are human beings, even seeing with the eyes can occur only in a human way. Living beings without eyes live even in environments without light by using other types of information. The act of seeing as a human being is not an objective and passive one but a relative and active one. Furthermore,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ct of seeing prompt each individual to possess a unique visual symbol system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way of seeing.
Ways of seeing are modified and developed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humans adapt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they grow. They are like railroads. While we may be engineers who can decide which railroad to travel, trains cannot travel at all without railroads. Recognizing something means that there already is a railroad to that object. Nor can newly generated points and disappearing roads be free from the flow of trains and preexisting railroads.
To see preexisting sociocultural phenomena, we must study media. Here, media are broad social network that connect one person to another and yesterday to today. These media differ for each era and society. In the past, such differences arose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distance
today, they are changing swiftly. The direction of such changes is determined above all by the rapid rates at whi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With the increasingly rapid exchange of information, media have become a second world, a virtual world, transcending the role simply of connecting people and society. Changes in new media make a demand, as a new task, that artists understand them.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above contents regarding ways of seeing in two parts, with respect to the present researchers artistic works. First, it created optical illusion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tructure that receives light and, moreover, created cognitive optical illusions by intervening in culturally fixed ways of seeing, transcending merely sensory optical illusions.
Second, to express metaphorically current changes in media by borrowing famous existing symbol images, the symbolism of each of the borrowed images was analyzed in terms of currently common significance and, by applying this, new symbolism was created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symbols.
The series of tasks above are visual concretization of diverse ideas that the present researcher held throughout the masters program. In fact, however, the images from these tasks are nothing. They are but the means to deliver my thoughts, not the end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ikewise lies not in explaining my artistic works but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present age and to define the role of the present researcher in it. In other words, the artists role is to allow the viewer to experience ideal dreams on a cognitive level by transcending actuality and fiction and through the exchange of symbols.

Keywords: Symbols, images, vision, replication, media, schemata, optical illusions
Student ID: 2010-21265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