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披麻皴과 雨點皴을 활용한 내적 고요함의 표현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윤진

Advisor
김성희
Major
미술대학 동양화과
Issue Date
2013-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내적 고요함자연물단순화반복 행위피마준우점준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동양화과, 2013. 8. 김성희.
Abstract
본 논문은 2004년부터 2012년까지자연의 이미지를 통한 내적 고요함의 표현을 주제로 제작한 본인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제작 동기 및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 조형적 특성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작업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바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작품연구 논문이다.
많은 예술가들은 자연을 모티브로 자신의 창작 세계를 펼쳐나간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작가의 주관적 감정 이입과 자연에 대한 재해석을 포함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어진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작업은 작가의 정체성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인 역시 예술 활동의 창작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자연을 소재로 내적 심상을 표현하여 다른 이들과의 소통을 추구하고 있으며 작품을 통해 본인만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연은 각박한 현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숨 쉴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마음의 풍요를 선물한다. 본인에게 또한 자연은 삶의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안식처이자 치유의 공간이다. 이러한 자연과의 소통을 통하여 우리는 자신을 돌아보고 한 박자 쉬어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더 멀리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게 된다. 또한 자연이 주는 고요함은 우리의 마음을 포근하게 해주며 좋은 에너지로 채워준다. 본인은 작업을 통하여 이러한 고요함을 전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자연이 주는 생동하는 고요함, 에너지가 담긴 고요함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위하여 끊임없는 시도와 탐구를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인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통해 나무와 돌을 소재로 하여 동양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점, 선, 면의 기본 요소로 대상을 표현하기로 하였다. 이는 본연의 모습에 충실하고자 함이며 대상의 근본을 고찰하여 꾸밈없이 나타내고자함이다. 특히 준법을 연구하여 활용하고 이를 통해 수묵산수화에서 나타나는 사의성(寫意性)을 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Ⅰ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 목적, 연구 내용, 연구 방법과 그 중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내적 고요함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1절에서는 내면세계의 탐색 과정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2절에서는정
(靜)과동(動)의 관계를 살펴보고 형상화 하고자 하는 고요함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내적 고요함을 표현하는데 있어 자연물에 투영하여 심상을 나타내고자 함을 밝히고 1절에서 이에 바탕이 되는 동양의 자연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나무와 돌의 상징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내적 고요함을 형상화하는 과정과 화면 구성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대상을 단순화 시키는데 있어 형(形)의 단순화와 색(色)의 단순화과정을 살펴보았고 2절에서는 화면의 평면성에 대하여 논하며 먹의 농담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3절에서는 효과적 전달을 위한 화면 크기의 확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4절에서는 선으로 면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위적 반복과 그에 따른 시간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피마준(披麻皴)과 우점준(雨點皴)을 활용한 표현기법에 대하여 분석,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1절에서는 준의 개념과 전개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중 피마준과 우점준에 대하여 2, 3절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2절에서 피마준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의 변형과 활용된 표현을 서술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업(나무 연작과 섬, 나라 연작의 암석부분을 중심으로)에서 보여지는 선준(線皴)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3절에서는 우점준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의 변형과 활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업(감정 덩어리 연작, 섬, 나라 연작의 나무 부분)을 분석하였다. 제 Ⅵ장에서는 본문에 다루어진 내용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 평가하여 이를 통하여 깨달은 바와 앞으로의 작업 전망과 목표에 대하여 언급하며 마무리된다.
본인은 이 논문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작업의 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분석, 정리하며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할 수 있었고 이러한 탐구의 시간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이렇듯 발전적인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이론적 탐구의 시간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표현 기법의 연구와 연습과정의 필요하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다 나은 후속 작업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artworks based on my work created from 2004 to 2012 with the theme ofExpressing Inner Serenity Based on Natural Images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through artworks by analyz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drawing techniques with a systematic approach.
Various artists have created their work inspired from the motifs of nature. However, as they imbue their personal feelings to reinterpret nature, artworks of each individual ar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An artwork represents the identity of an artist. I also seek to communicate with others using internal imagery of natural subject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art creation.
For me, nature is not only a safe haven but a place for healing where I can replenish energy for life. Nature enables people living in a heartless modern society to take a breather in their inner and outer worlds and brings abundance to our minds. While taking a short rest by communicating with nature to reflect on our selves, we can gain a driving force to keep go further for a longer period. The serenity of nature fills warmth in our hearts and infuses us with positive energy. I would like to deliver this kind of serenity through my artworks. In other words, I will make a series of attempts and investigate various methods to visualize and express natures serenity full of life and energy.
Using trees and rocks as subjects, I express them with key elements like dot, line, and plane based 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This holds a purpose to focus on their appearance per se and represent them truthfully without artificiality by studying the fundamentals of each subject. In particular, I wanted to contain the characteristic ofSa-ui(寫意. placing more emphasis on spirit rather than form), which is represented in ink landscape paintings, by studying and usingJunbeop(皴法, brush stroke techniq
ues).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 Ⅰ, it presents the purpose, content, methodology,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Chapter Ⅱ, it describes inner serenity that is intended to beexpressed visually. While the search process of the inner world and its necessity is discussed in Sub-chapter 1, in Sub-chapter 2,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Jeong(靜, stillness) andDong(動, movement) and identifies the imagery of serenity.
In Chapter Ⅲ, it presents the intention of representing imagery that projects nature to express inner serenity, and the foundation, the oriental view of nature, is examined in Sub-chapter 1. InSub-chapter 2, it describes the symbolic meanings of tree and rock.
In Chapter Ⅳ, it analyzes the imagery process of inner serenity and the method of composition. The process of simplifying a subject in terms of shape (形) and color (色) is explored in Subchapter1, while planar characteristics of a picture and light and shade (濃淡) of ink is discussed in Sub-chapter 2, and expansion in picture size to deliver dramatic effects is described in Subchapter3. In Sub-chapter 4, it explains the repetitive work process making lines into a plane and its characteristic of lapse of time.
In Chapter Ⅴ, it analyzes and studies the drawing techniques of Pima-Jun(披麻皴, hemp-fiber stroke) andWoojeom-Jun (雨點皴, raindrop stroke). In Sub-chapter 1, it presents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Jun (皴, brush stroke), and a specific analysis of Pima-Jun and Woojeom-Jun is provided in Sub-chapter 2 and 3. In Sub-chapter 2, it studies Pima-Jun and describes its variation and usage.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ine brush stroke based on my artworks (mainly the series of tree paintings and the part of rocks in the series of island and nation paintings). In Sub-chapter 3, it studies Woojeom-Jun and examines its variation and usage. Moreover, it analyzes my artworks (mainly the series paintings of a lump of emotion and the part of trees in the series of island and nation paintings).
In Chapter Ⅵ, it summarizes the body of the thesis, analyzes and assesses the results, and concludes by mentioning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prospects and goals for the next series of artworks.
This research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and clarify the future direction for my work. Once again, I could experiencethe value of research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order make more progress in creating art,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study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rawing techniques along with sufficient practice. I expect to create a more advanced version of art through continued research.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89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