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Patterns of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Parental Support : Comparing South Korea, Japan, Taiwan and Thailand in the Mid-2000s : 부모부양 태도와 행위패턴에 관한 비교연구 : 2000년대 중반 한국, 일본, 대만, 태국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경

Advisor
은기수
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arental SupportAttitude and BehaviorIntergenerational RelationEast Asian FamilyDifferences between CountriesAge and Gender Differences부모 부양부양 의식 및 행위세대간 지원관계동아시아 가족국가간 차이성별 및 연령별 차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12. 8. 은기수.
Abstract
본 연구는 저출산 및 고령화에 따라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아시아의 인구학적 변화에 있어, 부모부양에 대한 의식과 행위의 다양성을 포착하고, 현재 어떠한 방향성을 띠며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부모부양에 대한 의식과 행위 사이의 간극을 읽어내고 이와 같은 양상이 다른 국가에서는 어떠한 흐름으로 전개되는지 한국, 일본, 대만, 태국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특히 한국사회의 변화를 진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2006년도에 실시된 동아시아사회조사(EASS, East Asian Social Survey) 2006 가족에 관한 모듈과 2010년도 태국 가족 조사(Thailand Family Survey) 원자료 분석을 통해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기술적인 연구방식과 다중회귀분석에 따라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부양태도에 있어서 기혼남성이 본인부모에게 지원하는 경우는 태국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대만, 한국, 일본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혜자가 본인부모가 아닌 아내의 부모가 되는 경우에 대만과 일본 남성의 태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은 태국이나 한국의 양상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과 마찬가지로 한국 기혼남성들의 경우 본인의 부모 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부모에게도 경제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여성의 경우에도 비슷한 양상이 발견되었는데, 일본과 태국 여성들은 배우자의 부모보다 자신의 부모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식이 높은 반면, 한국과 대만 여성들은 본인의 부모보다도 배우자의 부모를 돌봐야 한다는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양의 문제에 있어서 부계 중심성을 탈피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연령에 대한 일관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혼여성이 본인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의식은 한국과 대만에서 증가되고 있는 양상이 포착되었다.
의식과 더불어 부양행위에 대한 패턴이 경제적 지원, 도구적 지원, 정서적 지원의 세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첫째, 기혼남성의 친부모 및 배우자의 부모에 대한 경제적 지원 빈도를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태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만은 여전히 양가 지원행위에 있어서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이는 앞서 대만의 부양의식에 부합하는 결과인 반면에 한국은 부양의식과 행위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즉 한국 남성들은 배우자의 부모에게도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태도를 지니면서도 실제 의식이 행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식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드러났다. 기혼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태국여성이 본인부모에게 가장 빈번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고, 배우자의 부모에게는 한국여성이 가장 잦은 지원빈도를 보이고 있어, 남성친족관계 중심의 부양시스템이 재확인되었다. 또한 한국과 대만에서 젊은 세대로 갈수록 기혼여성이 본인부모를 더 많이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편으로 부부관계의 민주화와 여성이 경제적 독립성을 확보해나가는 과정에서 기존의 가부장적 직계중심 부양시스템이 수정되고 있는 지점이 밝혀지는 한편, 며느리의 역할이 줄어들지 않는 상황에서 딸의 역할이 강조되는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났다. 즉, 돌봄의 책임이 가족의 영역을 탈피하지 못하고 다시금 딸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국가 및 사회적 역할분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제적 지원 뿐만 아니라, 도구적 지원에 있어서는 한국과 대만의 남성직계중심적 부양패턴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특히 한국에서 기혼남성은 본인부모를, 기혼여성은 시부모에게 더 빈번한 돌봄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딸만 있는 노부모의 돌봄의 문제가 붉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서적 지원에 있어서는 경제적 지원이나 도구적 지원과는 달리 태국보다 한국과 대만에서의 행위가 잦은 것으로 드러나, 형식적 지원과 친밀성 사이의 간극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결과 4가지 경우(기혼남성이 친부모에게, 기혼남성이 배우자의 부모에게, 기혼여성이 본인부모에게, 기혼여성이 배우자의 부모에게) 모두 부양태도가 부양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간의 차이는 각 경우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국가를 통제했을 때의 연령별 차이는 크게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에서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와 노인단독가구의 증가와 같은 인구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을 제외한 세 국가에서 부모부양의 책임이 여전히 국가보다는 가족에 놓여 있으며, 향후 친족관계 변화의 방향성 논의와 부양패러다임의 미래를 진단해 볼 수 있게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stem of family support amid recent demographic transitions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South Korea, Japan, Taiwan and Thailand.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flow of family support towards parents to reveal how the settings have changed in regards to relations between older parents and adult children, husband and wife, son and daughter, the old and the young. In this study, the East Asian Social Survey 2006 Family Module and Thailand Family Survey 2010 were used to examine the patterns and effects of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parental support. The finding shows that Thailand is the most actively involved in supporting both sides of parents while Japan is generally the least. However, South Korea and Taiwan still demonstrates a patriarchal supporting system even among younger age groups. In addition, supporting elderly parents is not weakening but strengthening along with the role of daughters as an important caregiver in South Korea.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issue of elderly care is still circulating within the realm of family rather than moving out toward the public sphere in Korean society. Regression analysis also confirms that attitude on parent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and different patterns exist in each model and by country.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1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