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야금 줄풍류의 전승 지역별 음악적 특징 : The Musical Features of Gayageum Jul-Pungryu by Region of Transmiss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우진-
dc.contributor.author이슬기-
dc.date.accessioned2017-07-19T06:16:28Z-
dc.date.available2017-07-19T06:16:28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19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596-
dc.description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과, 2014. 8. 김우진.-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초 록
조선 후기 풍류 문화가 발달하면서 부유한 중인 지식층이나 선비들을 중심으로 연주되었던 줄풍류는 각 지역과 개인마다 다양한 특색을 가지고 전승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서울・호서・호남・영남・북한 등 크게 5개 지역의 줄풍류와 지역 줄풍류에 뿌리를 두면서도 독자적인 음악 색깔을 지닌 산조 명인들에 의해 전승된 줄풍류를 총망라하여 모두 15개의 줄풍류를 중심으로, 다스름부터 굿거리까지 전 악장을 대상으로 하여 줄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장별 구분 및 각 수, 조현법(調絃法), 구음(口音) 등을 살펴보고, 선율 및 연주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 및 상호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먼저 각 지역별 줄풍류에서 본령산・상령산, 잔령산・세령산・소영산, 환입・도드리, 다스름・계면조 조음(調音)・풍류치음(風流治音)・치음(治音) 등의 명칭은 혼용되었고, 해탄(解彈), 당학 등의 명칭이 나타난다.
또한 각 지역별 줄풍류에서 상령산부터 군악까지의 전체적인 각 수는 크게 차이가 없으나 장별 구분, 반각의 위치 등은 다르게 나타난다.
각 지역별 줄풍류의 조현법과 구음에 관하여 살펴본 결과 정악가야금의 조현법을 사용하는 서울・구례・군산 풍류 및 13현 5괘법을 사용하는 북한 풍류는 제5현 黃을 당으로 구음하고, 산조가야금의 조현법을 사용하는 이리・정읍・경주・강태홍・김윤덕・성금연 풍류는 제4현 黃을 당으로 구음한다. 또한 심상건・김죽파 풍류는 겹청조현법과 관련한 겹청구음법을 사용한다.

각 지역별 줄풍류의 선율 및 연주법을 비교・분석한 결과 서울 및 대전 풍류는 골격음 위주의 선율이 나타나고, 구례・이리・정읍 풍류는 옥타브 아래 청(淸) 및 간음이 첨가되며, 영남 풍류는 추성을 통한 뒤꾸밈음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군산 풍류는 퇴성과 추성, 요성 등이 자유롭게 나타나며, 북한 풍류는 남한의 풍류와 골격음은 유사하되 잔가락의 붙임새가 다르게 나타나는 등 세부적인 선율 진행의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하여 서울에서는 이왕직아악부의 정악 연주법을 이어받아 농현이 굵지 않고 절제되어 있는 비교적 간결한 풍류를 탔고, 대전・이리・정읍・구례・영남 등 각 지역의 풍류방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율객들은 거문고 혹은 양금을 중심으로 한 가락의 틀 안에서 간음 및 장식음을 첨가하여 자유로움을 추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심상건・김죽파・성금연 풍류는 산조적인 수법과 리듬, 시김새를 사용하여 보다 자유롭게 잔가락을 첨가하고, 김윤덕 풍류는 이들 명인들의 풍류보다는 잔가락이 많지 않은 담백한 선율 진행이 나타난다. 강태홍 풍류는 시가를 지닌 간음보다는 앞짧은꾸밈음이 장식음으로 첨가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산조의 유파를 형성한 명인들은 산조의 농현과 주법, 리듬 등의 음악 어법을 풍류에 사용하여 풍류를 보다 개인의 음악성이 반영된 독창적인 예술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풍류가 각 지방과 개인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전승되었고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악원을 중심으로 전승된 서울 풍류를 풍류의 기준 혹은 표준으로 삼아 여타 풍류를 향제 풍류 혹은 민속・민간 풍류로 분류하기보다는 각각의 풍류에 전승 지역 및 전승자의 이름을 붙여 이들을 보다 독자적 가치를 지닌 풍류로 인식하고자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각 지역별 줄풍류는 인접 지역의 풍류 혹은 사사 계보 및 출생・성장・활동 지역의 풍류를 통해 상호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전 풍류는 정악과 민속악의 특징이 섞여서 나타나며, 선율의 골격음 위주로 진행하고 시김새의 표현이 절제되어 있는 등 서울 풍류의 영향을 받아 그 음악적 특징이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호남 풍류의 굿거리가 대전 풍류에 전승되는 것으로 보아 경기 지역 뿐 아니라 호남 지역 음악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내포 풍류와 대전 풍류는 지역적으로 근접하고 대전의 풍류객 권용세를 중심으로 이어져왔으므로 그 뿌리는 같다고 볼 수 있으며 선율 및 음악적인 표현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김창조와 한성기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정되는 강태홍의 풍류는 김창조-한성기-김죽파로 이어지는 김죽파 풍류와 비교해볼 때 선율적 연관성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 강태홍 풍류는 구한 말 일제시대 풍류에서 비교적 변화가 안 되었으나, 김죽파 풍류는 죽파가 서울에 상경한 이후 새로운 음악 어법을 풍류에 담아내면서 변화되었으므로 강태홍 풍류가 김죽파 풍류에 비해 더 고형(古形)의 풍류일 것으로 추측된다.
강태홍은 전남 무안 출생으로 19세 이후 경주, 대구 등지에서 음악 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호남 풍류에 뿌리를 둔 그의 풍류가 영남 지역의 풍류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강태홍의 풍류는 동래 줄풍류라는 이름으로 부산을 중심으로 한 경남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강태홍 풍류와 영남 이말량의 풍류는 특별한 선율적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
심상건 풍류와 김죽파 풍류의 타령은 선율과 리듬이 유사한 부분이 많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김죽파가 심상건의 겹청조현법으로 풍류를 연주했음으로 미루어 김죽파 풍류는 전남제 풍류에 더하여 심상건 풍류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전북 정읍에서 출생한 김윤덕은 정읍・이리・구례 풍류와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실제로 김윤덕 풍류와 정읍・이리・구례 풍류는 유사한 선율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전남 나주군 출생의 안기옥과 정남희의 풍류는 전남제 풍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1958년 안기옥・정남희의 『가야금 교측본』이 발행된 후로 그들의 교측본이 평양대학의 가야금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호남 풍류가 현재 북한 풍류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겠다.

본 논문을 통하여 높은 품격과 정중동(靜中動)의 미를 담고 있는 풍류 음악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를 바라며, 나아가 풍류 음악의 다양성이 회복되고, 생명력 있는 풍류 음악의 연주가 더욱 활발히 일어나기를 기대해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Ⅰ. 서론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범위 및 방법 7

Ⅱ. 줄풍류의 전승 양상 17
1. 지역별 줄풍류의 전승 및 계보 19
1) 서울 풍류의 전승 및 계보 19
2) 호서 풍류의 전승 및 계보 22
3) 호남 풍류의 전승 및 계보 27
4) 영남 풍류의 전승 및 계보 45
5) 북한 풍류의 전승 및 계보 46
2. 지역별 줄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48
1) 서울 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49
2) 호서 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49
3) 호남 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50
4) 영남 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53
5) 북한 풍류의 악곡 구성 및 명칭 53
3. 지역별 줄풍류의 장별 구분 및 각 수 57
1) 본풍류 57
2) 잔풍류 60
3) 뒷풍류 66
4. 지역별 줄풍류의 조현법(調絃法) 69
1) 서울 풍류의 조현법 70
2) 호서 풍류의 조현법 71
3) 호남 풍류의 조현법 72
4) 영남 풍류의 조현법 76
5) 북한 풍류의 조현법 -13현 5괘법 76
5. 지역별 줄풍류의 구음(口音) 79

Ⅲ. 줄풍류의 선율 및 연주법 비교 83
1. 본풍류 83
1) 다스름 83
2) 상령산 88
3) 중령산 101
2. 잔풍류 113
1) 세령산 114
2) 가락덜이 124
3) 상현도드리 129
4) 잔도드리 135
5) 하현도드리 146
6) 염불도드리 155
7) 타령 164
8) 군악 173
3. 뒷풍류 182
1) 계면가락도드리 183
2) 양청도드리 189
3) 우조가락도드리 196
4) 굿거리 202

Ⅳ.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 및 상호 연관성 208
1. 지역별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 208
2. 지역별 줄풍류의 상호 연관성 215

Ⅴ. 결론 223

참고문헌 229
Abstract 234
참고자료 239
참고악보 248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056631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야금-
dc.subject줄풍류-
dc.subject서울 풍류-
dc.subject호서 풍류-
dc.subject호남 풍류-
dc.subject영남 풍류-
dc.subject북한 풍류-
dc.subject줄풍류 조현법-
dc.subject줄풍류 구음-
dc.subject.ddc780-
dc.title가야금 줄풍류의 전승 지역별 음악적 특징-
dc.title.alternativeThe Musical Features of Gayageum Jul-Pungryu by Region of Transmiss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Seul-gi-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itation.pagesⅻ, 417-
dc.contributor.affiliation음악대학 음악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