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Community Garden for the Activation of Commun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 희 영

Advisor
조경진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텃밭공동체 활성화영향요인공동체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2. 8. 조경진.
Abstract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도시텃밭 관련 사업은 도시텃밭의 공동체 회복으로의 기능이 부각됨으로 인해 지역공동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매개수단으로 도시농업을 활용하려는 흐름을 가진다. 도시텃밭은 단순히 생산기능뿐만이 아닌 도시민들의 여가와 레저, 문화적 기능을 동시에 가지며, 도심 속에서 크고 작은 공동체를 형성하고 기존 공동체 내에서 공동체를 재활성화 시킴으로써 공동체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시텃밭의 지속성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공동체 형성에 있으며, 도시텃밭공간이 하나의 공동체 문화 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에 있다. 앞으로 공동체 활성화를 목적으로 텃밭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의 입장을 고려한 계획과 공동체의 특징을 전제로 한 공동체 중심의 체계적인 시스템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텃밭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성공요인 분석과 텃밭공동체 참여자의 의식을 고려하여 도시텃밭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텃밭 공동체를 유형화한 뒤, 유형별로 나타나는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 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고려하여 도시텃밭을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3단계의 도시텃밭을 활용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 계획과정을 나타낸다. 텃밭참여자 의식을 고려한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을 도출단계, 텃밭공동체 유형별로 나타나는 영향요인 간 차이분석 단계, 마지막 과정으로 앞서서 나타낸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도시텃밭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계획방안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텃밭참여자들의 의식을 고려한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 분석결과 7개의 활성화 요인과 20개의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텃밭공동체의 활성화와 지속성을 위해서는 텃밭프로그램, 지역협력네트워크, 시설/공간디자인, 텃밭공동체 참여자 특성, 커뮤니티 모임 , 리더의 역량,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의 총 7개의 활성화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각 영향요인을 설명하는 20개의 세부요인들은 텃밭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7개의 활성화 영향요인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로 구성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도출한 예상영향요인과는 다른 분류체계를 가졌으며,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은 실제 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텃밭참여자의 입장을 통해 재분류 될 수 있기 때문에 영향요인을 반영한 계획에 있어서 텃밭 참여자 의식을 반영한 영향요인 도출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텃밭공동체를 크게 다계층 다지역형(유형 1), 1계층 다지역형(유형 2), 다계층 1지역형(유형 3)의 3가지로 유형화하고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영향요인 중에서 ⌜텃밭프로그램⌟ ,⌜지역협력네트워크⌟, ⌜텃밭공동체 참여자 특성⌟, ⌜참여유도 프로그램⌟의 4개의 요인이 공동체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유형별 영향요인 간 차이점을 살펴보면, 유형1의 경우 다른 유형과 비교하여 텃밭프로그램, 지역협력네트워크 요인이 유형1의 공동체 활성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요인에서는 자원봉사 프로그램, 정기적 프로그램, NPO참여, 지역민 운영관리참여,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요인이 높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2의 경우 공동체 활성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텃밭프로그램 요인이었으며, 세부요인에서는 전문가와의 협력 요인이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3의 경우 다른 텃밭공동체 유형과 비교하여 지역협력네트워크, 텃밭공동체 참여자 특성, 지역민 참여유도 프로그램 요인이 유형3의 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요인에서는 지역민운영관리참여, 지역 내 시설 연계, 참여자 연령층의 다양성,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요인이 다른 공동체에 비하여 높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텃밭공동체의 유형별로 공동체가 가진 특징이 상이하며, 텃밭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대한 텃밭참여자들의 의식 또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공동체 활성화 계획 시에는 공동체 특성에서 나타나는 영향요인 간 차이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계획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앞서 도출한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도시텃밭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계획방안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국내외 텃밭공동체 성공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중요 계획단계는 4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초기기반 조성단계, 2단계는 참여단계, 3단계는 조직화 단계, 4단계는 자립단계이다. 각 텃밭공동체 유형별로 공동체 활성화의 목적, 텃밭공동체 참여대상,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요주체 등에 있어서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며 이를 통합적으로 고려한 공동체 활성화 계획방안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계획단계에 있어 유형별 차이를 간략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유형1의 다계층 다지역 형의 경우, 지역내부, 외부 지역민을 대상으로 한 공동체 형성에 목적을 두기 때문에 다른 공동체와 비교해 볼 때, 초기기반 조성단계에서의 협력단체 구성과 조직화 단계에서의 지역민위주의 운영조직의 설립이 중요하다. 또한 참여단계에서는 다양한 지역외부와 내부 지역민의 참여유도를 위한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이나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고려한다. 유형2의 1계층 다지역 형의 경우, 대부분 공동체 내부에 리더나 조직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정 계층이나 연령대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에 목적을 둔다. 따라서 기반조성단계와 참여단계에 있어서 기존 공동체 내부의 구성원의 지속적 참여를 위한 계획에 중심을 둔다. 지역협력네트워크 방식에 있어서는 다른 유형들과 달리 멘토링이나 공모사원 지원 등의 간접적인 방식의 접근이 공동체 활성화에 유리하다. 유형3의 다계층 1지역형의 경우, 지역의 경계가 뚜렷하고, 지역 내부 공동체 활성화에 목적을 둔 경우이며 마을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장 높게 가지는 경우이다. 초기기반조성단계에서는 지역내부에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조직화 단계에서는 지역 내 중심기관이나 중심조직을 중심으로 시작하여서 점차적으로 지역외부로 확산시켜나가는 방안을 구상한다. 또한 자립단계에서는 커뮤니티 비즈니스로 성장할 수 있는 경제적 방안마련을 위해 적정수준의 텃밭공간을 지역 내에서 확보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로써 실제 도시텃밭공동체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텃밭공동체 참여자의 의식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공동체 계획방안에 있어서 공동체 형성과정에 따른 단계별 계획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있어 공동체 활성화를 목적으로 텃밭공간을 활용하거나, 도시농업공원이나 시민농업 등과 같이 시작단계에 있는 공동체 활성화 목적의 도시텃밭 계획 시에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공동체 목적의 텃밭계획 시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한 공동체 중심의 단계적 텃밭계획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텃밭공간의 공급이나 제도의 정비, 혹은 협력체계의 구축뿐 만이 아닌, 공동체 구성원과 텃밭의 주된 이용자인 지역민과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시간과 역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views an urban community garden as a potential space to build various communities and re-vitalize existing communities in a city. It has been long that urban community garden is used for the purpose of community and thus it can be regarded as a community plan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For the plan, a systematic scheme focusing on the community that is agreed on the needs of the members and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are asked to come to existence. In this study an attempt to derive influencing factors on community revitalization was made.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embers of an urban community garden to draw th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community sense.
The analytical process and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rived by selecting the first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success cases, and expert interviewing and by considering the community sense of actual participants in an urban community garden community.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as statistical verification. As a result, 7 revitalization factors and 20 sub-factors methods were composed as the impact factors on the revitalization of an urban community garden community.
In the order of importance, Factor I is community garden program that consists of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training program, volunteering program, regular program, operational committee of participants in community garden, and cooperation with experts. Factor II is local cooperation network that comprises NPO participation,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linking of facility in the area, Factor III is facility/space design and includes convenient facilities, meeting space, and space deign, Factor IV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 garden community which consists of the diversity of interest and age of the participants and of participant groups. Factor V is a community club. It comprises the communicational capability of a promoter (individual/group) and participant-centered small meeting. Factor VI is leaders competence that includes leaders building emotional closeness, (individual/group), leaders capability of planning program and event. Factor VII is the program of inducing residents-to participation and it includes associated program to a community and arts and culture program.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parts from the first classification system. It could be known through this that individual influencing factors on community vitalization that the participants thought of didnt have impact but affected in an integrated and persistent manner.
In the second analytical process, first a community garden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3 types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influencing factors of community vitalization will be different by type of community garden community. This study confined the scope of community on the focused basis of class and area and sub-categorized it into multi class-multi area (Type 1), one class-multi area (Type 2) and multi class-one area (Type 3). After that the study selected the case of kitchen community suitable for each type.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were carried out between each type of the community garden community and 7 major vitalization factors.
As a result, 4 factors of 7 major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 of community. 4 factors were community garden program (Factor I), local cooperation network (Factor II),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a garden community (Factor V), and the program of inducing residents-to participation. That is, it was kn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urban community garden community by the type of the community. For more specific understating, Scheffe Post-Hoc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each type in an attempt to know what difference exists among 4 factors. As a result, the community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the type and purpose of community, so had the community sense of the participants of influencing factors over the vitalization. Last,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mmunity vitalization and the factors by type in consideration of community sense derived before were considered and a step-by-step plan of vitalizing local community by using urban community garden were suggested by the type of the commun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most in that it derived the influencing actors through the actual participants community sense and attempted to bring in a plan to utilize urban community garden for community vitaliz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hen community garden for the purpose of a community is planned, those influencing factors and the opinions of community members foun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for a gradual plan.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6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