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빗물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도서지역 수환경 계획 :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우전마을을 대상으로 : Island Water Environmental Plan Based on Rainwater Management System : Focusing on Woo-Jeon Village in Jeung-Do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유미-
dc.contributor.author김지수-
dc.date.accessioned2017-07-19T07:06:55Z-
dc.date.available2017-07-19T07:06:55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other00000002210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2973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 2014. 8. 이유미.-
dc.description.abstract3,201개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도서지역은 예로부터 지리적 특성상 고질적인 물문제로 불편을 겪어 왔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88년부터 종합개발계획을 통해 급수·전기시설 등 생활 기반 시설을 확충해 왔다. 하지만 최근 현대적 라이프 스타일로의 변화와 도서지역의 관광개발화로 인해 물 부족 문제가 더 극심해졌다. 뿐만 아니라 개발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와 기존 수환경의 부정적 변화는 수순환을 단절시키고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현재 도서지역에서는 지표수, 지하수, 해수담수화 기술, 빗물관리를 통한 용수공급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저수지와 지하 관정 개발, 해수담수화 시설 등은 개발에 비용이 많이 들고, 집중식 물 관리법으로 중앙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단수가 되어 도서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위협하는 등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분산식 빗물관리는 비교적 유지비용이 적고 전문가가 아닌 주민도 물 관리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며, 생태계와 환경을 보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관리 시스템의 세 가지 기능인 집수, 정화, 침투 기능을 활용한 수환경 계획을 통해 첫째, 보조용수공급원을 확보하여 도서지역의 용수공급의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둘째, 개발로 인한 수순환 체계의 파괴를 개선하며, 마지막으로 지역 자산인 수환경 요소를 재생하여 친수 커뮤니티 공간의 회복으로 마을 주민들의 전통적인 생활관습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에 대상지에서 활용하였던 빗물탱크와 처마의 빗물받이, 홈통을 재배치하고 관리하여 빗물을 차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붕을 집수면으로 하여 집수된 빗물은 상수도 공급량을 최소 31%에서 최대 66%까지 대체할 수 있어 보조용수공급원으로서 생활용수와 관광객을 위한 서비스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빗물관리 시스템의 정화와 침투 기능을 적용하여 단절된 수순환 체계를 회복할 수 있다. 대상지에서 가치 있는 지역 자산인 모래치와 둠벙, 도랑을 회복하여 빗물이 저류, 정화, 침투될 수 있도록 하고 배수로를 개선하여 빗물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또 기존 침투지역을 보존하고 자연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면적을 계획하여 지하수위를 회복해 우물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으로 물을 공유하며 교류하였던 지역주민들의 생활관습을 보존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로 정비하기 위해 친수 커뮤니티 공간을 회복하는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마을 입구의 커뮤니티 공간부터 둠벙을 따라 모래치로 이어지는 산책로와 깃밭 커뮤니티 센터의 레인 가든과 물 놀이터를 계획하여 지역 주민간의 소통과 교류가 수공간을 중심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지의 전통적 수환경 요소와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요소, 지역 주민의 생활관습을 면밀히 관찰하여 계획에 적극 반영했다는 데 의의가 있고, 우리나라의 여러 도서지역이 현재 대상지와 같은 물 부족 문제와 개발로 인한 파괴된 수환경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회복할 수 있는 마을 단위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요소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절 연구의 범위 4
1. 공간적 범위 4
2. 내용적 범위 5
3절 연구의 방법 6
4절 선행연구 고찰 7
1. 관련 선행연구의 흐름 7
2. 시사점 및 차별성 10

제2장 이론적 고찰 12
1절 빗물관리 시스템 12
1. 집중식·분산식 빗물관리 12
2. 분산식 빗물관리 시스템의 국내외 사례 14
2절 빗물이용현황 16
1. 일본의 빗물이용 17
2. 독일의 빗물이용 18
3. 미국의 빗물이용 19
3절 도서지역 수자원 이용 20
1. 도서지역 용수공급현황 20
2. 도서지역 수자원 관리 22
3. 국내도서지역 용수공급 및 사용 사례 24
4절 도서지역 빗물활용 27
1. 지역 주민 생활에서의 활용 28
2. 외부인 및 관광객의 활용 29
5절 도서 관광개발 계획 30
1. 도서종합개발계획 30
2. 지속가능한 도서관광개발 33
3. 지속가능한 도서관광개발 국내외 사례 35

제3장 대상지의 이해 39
1절 대상지의 개요 39
1. 대상지 위치 39
2. 대상지 일반현황 40
3. 대상지 관련 계획 및 법규 40
2절 대상지의 인문·사회적 이해 43
1. 대상지 일반 통계 43
2. 대상지 역사·문화 45
3. 대상지 개발의 흐름 47
3절 대상지의 생태·환경적 이해 48
1. 대상지 생태자연도 48
2. 대상지 마을 경관 요소 현황 51
4절 대상지의 수자원 현황 58
1. 우전마을 수자원 현황 58
2. 대상지 수자원 인식분석 61
3. 대상지 강수량 분석 67
4. 우수 관거 및 유역 69
5. 수자원 활용 요소 현황도 71
5절 설계 대상지 분석의 종합 75

제4장 우전마을 수환경 계획 78
1절 계획의 기본방향 및 구상 78
1. 계획의 기본방향 78
2. 계획의 구상 80
2절 전체 수환경 계획 83
3절 집수역별 수환경 계획 85
1. 주거지역 86
2. 서비스지역 88
3. 농업지역 89
4. 집수역 외 지역 92
4절 요소별 수환경 계획 93
1. 빗물탱크, 빗물받이, 홈통 93
2. 모래치 96
3. 배수로 98
4. 담장 101
5. 깃밭 커뮤니티센터 104


제5장 결론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10
[Abstract] 113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113227 bytes-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빗물관리-
dc.subject빗물재이용-
dc.subject수순환-
dc.subject수환경-
dc.subject도서지역-
dc.subject.ddc712-
dc.title빗물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도서지역 수환경 계획 :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우전마을을 대상으로-
dc.title.alternativeIsland Water Environmental Plan Based on Rainwater Management System : Focusing on Woo-Jeon Village in Jeung-Do-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Jisu-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itation.pagesⅷ, 115-
dc.contributor.affiliation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dc.date.awarded2014-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