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성 대원사 일대 불교문화생태공원화 설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선규

Advisor
성종상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Keywords
종교관광현대 사찰템플스테이사찰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조경학전공), 2015. 8. 성종상.
Abstract
국문초록


보성 대원사 일대 불교생태문화공원화 설계

한 선 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지도교수 : 성 종 상

21세기를 맞이하여 사람들은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로 예전처럼 직장이나 일의 성취도를 우선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가족의 건강, 여가나 문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런 트렌드와 같이 성장한 종교 관광은 물질만능주의의 현대사회에서 정신의 황폐화, 그리고 도덕성 상실 등을 경험한 현대인들에게 명상과 같은 내면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국내 여가문화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삼국시대에 처음 정착했다고 알려진 우리나라의 불교는 통일신라, 고려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시대적 그리고 사회적 상황에 부응하면서 현재 국내 전통문화를 창조하는 주역이 되었다. 전통 불교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건들 중 조선시대 억불숭유 정책의 피해로 사찰은 도시외각지역으로 옮겨가 산중 사찰의 형태를 가지게 되면서 대중과 멀어졌으나, 현대에 이르러 불교 이념과 역할은 과거와 달리 상당히 변화되었고, 이제는 더 이상 예불 기능만으로는 대중들과 가까워질 수 없기 때문에, 본질적인 예불 기능 외에 각종 사회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찰 이용자들의 방문 목적과 행태를 연구하며 주변 자연콘텐츠와 문화콘텐츠가 많다는 지리적 장점을 이용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현대인들의 요구조건에 따른 형태, 공간 기능적 특징을 파악하여 사찰에 필요한 공간을 규명하여 설계하기 불교문화생태공원을 제시하였다.
불교문화생태공원의 개념과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여 주로 고려해야하는 핵심 가치를 종교 가치, 문화 가치, 생태 가치, 관광 가치를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첫째, 사찰이 존재하는 이유인 종교 가치이다. 본 연구는 사찰의 종교 가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공간 배치와 동선 계획을 제안하였다. 공간 배치는 사찰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고 그 사이에 전이공간을 둠으로써 세속과 사찰 사이의 완충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동선 계획을 통해 지형적 한계로 인해 분절된 사찰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찰의 수련 여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찰 영역을 개방하여 사찰이용자로 하여금 사찰이 가진 종교 가치를 보다 쉽게 접하도록 하였다. 사찰이용자는 불교문화를 보다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자아 성찰의 기회를 가진다.
둘째, 사찰이 보유한 문화유산 가치이다. 불교의 사찰들은 국내 문화유산의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문화유산가치를 설정하였다. 이 가치는 사찰과 그 안에 소장된 문화재에 대한 보존 및 관리 기능을 하고, 각 사찰이 갖는 고유 의식의 공유하며, 국내외로 한국 전통 불교문화 전파를 이끈다.
셋째, 불교의 생명존중사상의 일환인 생태 가치이다. 최근 사회에서는 환경 문제를 과학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자연에 대한 태도에 관한 문제라 인식하기 시작했다. 생태가치는 쇠퇴를 부르는 즉흥적인 개발을 막고, 사찰 주변의 생태환경 개선을 목표로 한다.
넷째, 지속적인 종교관광의 증가를 위한 종교 가치이다. 그동안 사찰 내부로 정체된 행사와 프로그램들을 주변의 여러 콘텐츠와 연결하고, 사찰 고유의 관광자원을 개발한다면, 더 많은 대중에게 포교하며 그들에게 심신의 치유와 깨달음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불교문화생태공원을 제시함으로써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훼손되어가는 전통 사찰 및 문화재와 사찰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사찰이용자에게 보다 나은 관광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계획될 여러 사찰 구상안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관련 선행연구의 부족과 연구에서 제시한 가치를 반영한 실제 사례가 매우 드물어서 불교문화생태공원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를 통해 사찰이 더 이상의 환경오염과 문화제 훼손이 없는 우수한 수련 시설이자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국내 대표 관광 자원이 되도록 전문적인 계획 및 정책이 필요하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7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