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백두대간 생물권보전지역 용도구획 설정을 위한 환경과 인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for Zoning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s Biosphere Reserv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경훈

Advisor
손용훈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6-08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Keywords
생물권보전지역백두대간환경과 인간지수유네스코인간과 생물권 계획보호지역용도구획용도구역지표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환경조경학과(조경학전공), 2016. 8. 손용훈.
Abstract
백두대간은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보고로써,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생활의 터전이며, 우리나라 국토의 상징이다. 하지만, 경제개발 시대를 거치며 대규모 개발 행위로 생태계가 심하게 훼손되었다. 이에 정부는 백두대간을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에 힘쓰고 있으나, 규제로 인한 지역주민들과의 마찰과 시설위주의 주민지원 사업 등 갈등의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백두대간이 지속가능하게 보전되기 위한 합리적인 관리계획이 요구된다.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의 생물권보전지역은 지역 고유의 자연생태계, 역사문화 자원들을 보전을 함으로써 인간이 사회·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활용하는 국제보호지역으로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국내의 생물권보전지역은 관련법과 지원정책의 부재와 관리부서가 불분명하여 운영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생물권보전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관리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가치와 갈등을 지닌 백두대간이 지속가능하게 관리되기 위해 필요한 제도인 생물권보전지역을 적용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용도구획을 설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구획에 주목하여 구획 설정에 필요한 지표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3장에서 다루어지는 생물권보전지역의 지표인 환경과 인간지수 구축을 위해, 제2장 문헌연구를 통하여 생물권보전지역과 관련 보호지역들의 지표를 검토한 후 수집하였다. 수집된 지표를 지표선정 원칙에 의해 선정한 후, 통합 및 재분류하여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후, 각 지표의 기준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근거를 제시하고, 생물권보전지역의 기능을 점수로 적용하여 주제도를구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표의 현실성, 객관성을 검증받고, 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에 비일관성 비율을 적용하여 신뢰도를 높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각 주제도에 가중치로 적용하여 환경과 인간지수를 구축하였다. 제4장에서는 환경과 인간지수를 백두대간에 적용하여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구획을 설정한 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Arc Gis 10.2.1)을 활용하여 주제도와 환경과 인간지수를 구축하였고, AHP 분석은 웹 기반 프로그램(I Make It)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두대간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구획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외 문헌을 통해 생물권보전지역의 지표는 물리적요소의 표고, 경사, 수계, 생태적 요소는 생태자연도, 밀도, 영급, 관리적 요소는 토지피복, 거주인구, 보호지역으로 총 9개 지표를 선정하여, 보전(3점), 완충(2점), 활용(1점)의 가치를 부여하여 9개의 주제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요소는 활용의 가치가 높으며, 생태적 요소와 관리적 요소는 보전의 가치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AHP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를 각주제도에 적용한 후 통합하여 환경과 인간지수를 구축한 결과, 토지피복, 밀도와 영급, 수계, 표고, 경사, 보호지역, 생태자연도, 거주인구 순으로 중요도가 높다고 분석되었다. 이후, 환경과 인간지수를 백두대간에 적용하여 백두대간 생물권보전지역의 용도구획을 구축하였다. 용도구획별 상위 3순위를 살펴보면, 핵심구역은 보호지역, 토지피복, 밀도와 영급순으로, 완충구역은 토지피복, 밀도와 영급, 수계순으로, 협력구역은 토지피복, 표고, 경사의 순으로 용도구획 설정에 중요도가 높은 지표로 분석되었다.

백두대간에 인간과 환경지수 적용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백두대간생물권보전지역과 백두대간보호지역을 비교 했을 때, 생물권보전지역의 전체 면적이 백두대간보호지역 전체면적의 약 4.67배가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생물권보전지역이 백두대간보호지역보다 완충구역의 면적이 넓어 핵심구역 보전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백두대간이 지속가능하게 관리되기 위해서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생물권보전지역과 관련 보호지역을 검토하여 그동안 학술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던 생물권보전지역의 지표를 구축하였고, 둘째, 용도구획 설정과정에 지역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까지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자연환경과 인간의 공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환경과 인간지수를 통하여 보호지역 외 보전의 가치가높아 생태적으로 잠재력 있는 공간을 도출하였다.
생물권보전지역 내 용도구획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는 추후에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생물권보전지역의 운영관리는 지역주민들의 의지와 참여가 중요하기 때문에 지자체는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해 지속적인 교육과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해야하며, 지역주민들은 주인의식을 가지고 지역문화, 자연경관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백두대간 생물권보전지역은 추후 예비 생물권보전지역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국가의 브랜드로써 효율적으로 보전관리 되어야 할 것이다.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s a symbol of Korean Peninsula which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as well as a significant ecological value for diverse fauna and flora. However, Baekdudaegan has been highly damaged by extensive development during economic development period. To preserve the ecological value of Baekdudaegan with systematic management, government designated the mountain range as Baekdudaegan protected area, bu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residents and government due to the restriction and facility based pro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 reasonable management for a sustainable conservation of Baekdudaegan.
The Biosphere Reserve of UNESCOs MAB(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is an international protected area which aims at coexistence of nature and man by conserving the local ecolog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owever, according to the absence of national legislation, policy and dedicated management department, the struggle remains with the management of Biosphere Reserve in Korea,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guideline regarding a reasonabl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Biosphere Reserve of Korea.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zoning of Biosphere Reserve for a sustainable management of Baekdudaegan which has diverse values and conflicts at the same time by focusing on necessary indices.

Research methods consist of literature review, expert survey using AHP, GIS Analysis and so forth. Firstly, prior to the formation of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at Chapter 3, environmental indices of Biosphere Reserve and related protected area in general were collected by literature review at Chapter 2. After choosing the indicators by the principles of indicator selection, final indices were chosen through the unification and reclassification of selected indices. Referr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 basis of indices was set and the thematic map was established by applying function of Biosphere Reserve in score to each indicator.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survey of expert is consist of two steps.
First step is to verify the reality and objectivity of the indices. Second step is to identify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based on the result derived from the inconsistency value. With the result approved by AHP surve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by weighting each element of the thematic map. In chapter 4, zoning of the Biosphere Reserve of Baedudaegan is designated by applying the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Thematic
map and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were made using Arc GIS tool, and relative importance was produced by the analysis of AHP using I make it the web basis tool.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9 thematic maps consist of elevation, slope and watershed in physical elements, ecological naturalness,crown density and forest ages in ecological elements and land cover,resident population and protected area in management elements which are rated by the value of conservation (3 point), buffer (2 point) and development (1point). It was analyzed that the physical elements have a high value of development while the ecological and management elements have a high value of conservation. After establishing the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integrated by applying the relative importance derived from AHP analysis to the thematic map, land cover, crown density, forest ages, watershed, elevation, 'slope',protected area, ecological naturalness, resident population were found to be essential in order of importance.

Hereafter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was applied to the zoning of Baekdudaegan Biosphere Reserve. Considering the top three indices of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within each zone, protected area, land cover and crown density had respect to the core zone, land cover, crown density and watershed had respect to the buffer zone and lastly land cover', elevation and slope had respect to the transition area with an order of importance.

Overall results acquired from application of the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to Baekdudaegan are as follows. In comparison with Baekdudaegan Biosphere Reserve and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area of Biosphere Reserve is about 4.67 times larger than the area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Besides, Biosphere Reserve is more effectiv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ore area because it has a larger buffer area tha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refore, the designation of Biosphere Reserve is prominent for a sustainable management of baekdudaegan in a long term point of view.

The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established the indices of Biosphere Reserve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by academic research by reviewing Biosphere Reserve and relative protected area. Secondly, it proposed the potential of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man by integrated approach up to the residential area near the protected area in the process of zoning. Lastly, through the coexistence index of environment and man, it was possible to find additional areas with an ecological potential according to the high conservation value.

The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zoning in Biosphere Reserve will have to be continued. Especially, because the volition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e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Biosphere Reserve, government will have to educate and promote about Biosphere Reserve to the residents. Most of all the residents of Biosphere Reserve need to seek for the coexistence of themselves and the nature by preserving and utilizing both cultural and natural landscape with an owner spirit.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297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